와이파이 다이렉트 기술의 저변 확대한다
CSR, 최신 와이파이 다이렉트-레디
무선 연결 플랫폼 CSR9100™ 출시
개인용 무선 통신 및 블루투스 기술 전문 기업 CSR은 오늘 최신의 와이파이 다이렉트-레디 (Wi-Fi Direct™ ready) 무선 연결 플랫폼인 CSR9100제품을 발표하였다.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술은 와이파이 얼라이언스(Wi-Fi Alliance)의 신규 표준으로 AP(액세스 포인트) 없이 와이파이 기기들이 상호 연결될 수 있는 새로운 상호 접속 기술로 업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는 기술이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휴대폰을 간단하게 모바일 핫스팟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 기기 간 파일 공유와 다른 디바이스의 3G 데이터 접속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CSR9100 무선 플랫폼은 와이파이 얼라이언스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술 인증을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요구 사항에 부합할 뿐 아니라 최신 블루투스 기술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제품이다. 또한, CSR9100은 기존 블루투스 기술에 저에너지 블루투스, HD 보이스(광대역 음성) 그리고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술까지 모두 지원하여 고객들의 다양한 요구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업계 유일한 고성능의 제품이다.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술은 2가지 동작 모드를 지원한다. 첫째는 핫스팟(Hotspot)이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진 AP로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것으로, 다수의 와이파이 스테이션과 디바이스가 여기에 연결되어 서비스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이 기능은 Wi-Fi를 통해 연결된 많은 스테이션들이 사용자들의 3G 또는 4G 데이터 망을 공유하는 '모바일 워리어(Mobile Warrior)' 기능도 구현할 수 있다. 둘째는 일대일 동작 모드로, AP 또는 라우터가 없더라도 프린트, 동기화, 콘텐츠 공유 같은 작업을 위해 와이파이 디바이스들이 특정 그룹에 직접 연결되는 기능이다. 이 옵션은 사용자에게 극대화된 편의성을 제공하는 직접적이며 빠른 데이터 연결 방법이다.
이미 모바일 네트워크 사업자들은 핫스팟의 가치를 인식하여, 이를 지원하는 수 많은 디바이스들을 출시한 바 있다. 이 같은 핫스팟 디바이스는 통신 사업자들에게 추가적인 데이터 트래픽 또는 정액제 요금을 통해 매출을 늘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반면, 최종 사용자에게는 연결 방식을 다양하게 하여 높은 유연성과 편리성을 제공한다.
CSR의 칸와 차다(Kanwar Chadha) CMO는 "CSR은 더 많은 대중들이 선택하는 기술이 바로 표준화의 핵심이라고 믿어왔다. 이런 측면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와이파이 연결을 좀 더 직관적으로 만들어, 향상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자 하는 CSR의 비전과 일치한다"면서, "CSR은 블루투스 1:1 연결 분야에서 광범위한 경험을 갖추고 있으며, 우리의 고객사들이 새로운 표준을 성공적으로 구현하고 제품을 빠르게 출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와이파이 다이렉트 사양에 따른 연결은 일반적인 와이파이 속도와 범위 안에서 동작하며, WPA2™ 인증 보안 프로토콜 보호 기능과 WMM? 서비스 품질 메커니즘을 갖추게 된다. 또한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최종 사용자들에게 기존 디바이스에 대한 포괄적인 지원과 상호 운용성, 그리고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데, 일반적으로 이 같은 기능들은 ‘소프트 AP’를 통해서는 구현할 수 없다. 특히 와이파이 다이렉트가 지원하는 ‘전력 절감(Power Save)’ 기능은 휴대폰 동작 시간을 큰 폭으로 늘려준다.
CSR9100의 핵심 기술은 바로 CSR의 Synergy for Android (SfA) 소프트웨어이다. Synergy for Android는 안드로이드 시스템을 위한 완벽한 플러그 앤 플레이 연결 패키지로 블루투스, FM, 와이파이, GPS 기능을 포함하며 블루투스 v3.0 인증을 완벽하게 통과하였다. SfA는 CSR의 최신 와이파이 다이렉트 지원 제품들이 안드로이드 버전 2.2를 비롯한 다양한 최신 버전을 완벽하게 지원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CSR의 새로운 단독형의 와이파이제품인 CSR6030과 CSR6031를 통해서도 지원될 예정이다.
CSR9100 연결 플랫폼과 CSR6030, CSR6031은 이미 설계 투입 단계에 있으며, 최종 제품은 2011년에 출시될 예정이다. - 노트포럼(www.noteforu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