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 미래 지향적인 협력 관계를 통한
스마트폰 시장 공략 및 윈도우폰 7의 새로운 기능 발표
마이크로소프트의 스티브 발머 최고경영자(이하, CEO)는 14~17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 이하 MWC) 2011'의 개막에 앞서 진행된 기조연설을 통해 미래 지향적인 협력 관계를 통한 스마트폰 시장 전략 및 윈도우폰 7에 새로 추가될 기능을 발표하며, 스마트폰 시장 공략에 대한 자신감을 나타냈다.
▲ 2011 MWC의 개막에 앞서 기조연설 중인 스티브 발머 마이크로소프트 CEO
스티브 발머 CEO는 지난 2010년 MWC에서 처음 발표된 윈도우폰 7은 출시 후, 두 달 만에 200만대의 판매고를 기록했으며, 현재 8,000개 이상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2만8000명의 개발자들이 등록돼 있다고 밝히며, 윈도우폰 7은 전 세계 30개국의 60개 이동통신사(mobile operator)를 통해 판매 및 서비스되고 있고 전 세계 고객들로부터 93%의 만족도를 기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MWC 기간 동안, 마이크로소프트와 노키아는 전략적 협력 관계 구축을 발표했다.
이번 전략적 제휴를 통해, 노키아의 하드웨어 개발 및 산업용 디자인 개발 역량과 마이크로소프트의 소프트웨어 개발 역량의 제휴의 시너지 효과가 클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또한 시장 공략 측면에서도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강자 노키아와 전 세계 시장에서 탄탄한 입지를 갖춘 마이크로소프트가 향후 개발자 및 소비자 친화적인 모바일 디바이스 개발에 나설 예정이다. 윈도우폰 7을 탑재한 첫 번째 노키아 윈도우폰 7은 올해 안으로 발표될 예정.
스티브 발머 CEO는 2011년 3월과 하반기 두 차례에 걸쳐 윈도우폰 7에 다음과 같은 새로운 기능을 업데이트 할 것이라고 밝혔다.
▲ 윈도우폰 7에 새롭게 업데이트 되는 기능 ;
(왼쪽부터) 인터넷 익스플로러 9 모바일, 클라우드 기반의 오피스 지원,
윈도우폰 7의 피플 허브(People Hub)를 통한 트위터 직접 연동 기능
한편, 윈도우폰 7의 개발을 총괄하고 있는 조 벨피오레(Joe Belfiore) 마이크로소프트 부사장은 윈도우폰 7 단말기를 비디오 게임기 Xbox 360의 동작인식 기기인 키넥트(KINECT)와 연동하는 데모를 시연하기도 했다. 이 기술은 현재 개발 단계로 향후 다양한 콘솔, 디바이스 및 소프트웨어의 연동 및 결합에 윈도우폰 7이 그 중심에 설 전망이라고 밝혔다. - 노트포럼(www.noteforu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