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seye 기술을 적용한 LED 모니터, BenQ GL2055

2012.05.31 컴퓨팅 김원영 기자 : goora@noteforum.co.kr

 

 

모니터의 크기가 점점 커지고 있다. 물론 모니터의 크기가 크면 시각적인 만족감이 훨씬 상승하긴 하지만 심플한 용도로 PC를 사용하는 유저들의 경우 굳이 대화면 모니터가 필요 없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비용을 들여 대형 모니터를 구입할 수 밖에 없다. (23형 이상의 제품들이 대중화 되다 보니 브랜드 제품중에서 23형 이하의 제품들을 찾는 것이 쉽지 않다.)

 

이번에 리뷰를 진행 할 BenQ GL2055 는 23형 이상의 모니터에 부담을 느끼는 유저들을 위한 모델로 부담없는 가격에 뛰어난 화질을 지원해 사무용이나 가정용으로 손색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련된 디자인과 뛰어난 화질의 벤큐 제품으로 굳이 대형 모니터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대기업 제품을 선호하는 유저들에게 충분히 어필할 수 있는 모델이다.)

 

벤큐 특유의 고급스럽고 깔끔한 디자인이 먼저 눈에 들어온다. 리뷰를 통해 화질, 기능 등을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자.

 

 

 

☆ 본제품은 테스트 용 기기로 실제 판매 제품과 스펙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FULL KIT 의 모습으로 모니터를 비롯해 사용설명서 CD, 보증서, 퀵메뉴얼 등을 지원하며 전원 케이블 및 DVI, D-SUB 케이블이 포함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71 x 491 x 164 mm 의 크기와 3.0Kg 의 무게로 뛰어난 공간 활용성을 자랑하고 있다. (23형 이상의 제품들은 책상에 설치할 때 넉넉한 여유공간을 필요로 한다. 이에반해 GL2055 는 크기가 부담스럽지 않아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무게도 상당히 가벼운 편으로 한손으로 들어도 부담이 없었다.)

 

기기의 디자인은 상당히 심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블랙 컬러를 적용해 차분하고 중후한 맛을 살린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전/후면의 군더더기 없는 깔끔함이 인상적이고 배젤에 하이그로시를 적용해 포인트를 준 것 또한 상당히 마음에 든다. (화려하거나 사이버틱한 느낌을 주지는 않지만 고급스러운 맛은 충분히 살아있다.)

 

 

 

20형 디스플레이를 지원해며 1600 x 900 해상도를 지원해 오피스나 웹서핑은 물론 동영상 감상시에도 답답함을 느끼지 않을 것이다. 또한 안티 글레어 타입을 적용해 난반사로 인한 눈의 피로가 적을 뿐만 아니라 CCFL을 적용한 저가형 모니터와 달리 LED 백라이트를 장착해 보다 밝고 선명한 영상을 구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LED를 적용해 발열도 적고 전기도 절약할 수 있다.)

 

 

전면 하단부의 모습으로 제품의 주요 특징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Senseye3 는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따라 최적화 된 컬러를 구현해 시각적인 만족감을 극대화 하는 기술로 스탠다드 / 에코 / sRGB / 포토 / 무비 / 게임 등 다양한 모드 지원으로 번거로운 설정 없이 최상의 화질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기 우측면의 모습으로 OSD 버튼이 장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버튼의 피드백도 확연하며 전면에 기능이 프린팅 되어 있어 간편하게 OSD 및 각종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기 후면부의 모습으로 중앙에 베사홀이 설치되어 별도의 스탠드를 설치하거나 벽에 걸어 사용할 수 있으며 우측 하단에 켄싱턴 락 홀이 지원되어 도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듯 통풍구가 설치되어 안정성을 높여주고 있다. (LED 백라이트가 탑재된 제품으로 10시간 이상 사용후 후면을 만져 보았는데 전혀 뜨겁지 않았다.)

 

 

전원부가 내장된 모델로 전원 어댑터를 사용하는 모델들과 달리 케이블 하나만으로 전원 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우측면에는 PC 및 노트북 등을 연결해 사용할 수 있도록 D-SUB, DVI 단자를 지원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받침대의 모습으로 하이그로시를 적용했으며 디자인이 상당히 멋드러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별도의 공구 없이도 간편하게 분해/조립 할 수 있으며 바닥면에는 고무 패드가 부착되어 유리면 등에서도 미끄러지지 않는다.)

 

 

틸트 기능을 지원해 사진과 같이 자유로운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기본 제공되는 액세서리의 모습으로 D-SUB, DVI 케이블, 전원 케이블을 기본 지원하며 퀵메뉴얼, 사용설명서 CD, 보증서 등을 제공하고 있다.

 

 

 

본격적으로 GL2055를 테스트 해 보도록 하자. 상단의 사진은 테스트를 위해 필자의 책상에 설치한 모습으로 23형 이상의 제품들에 비해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었다. (전원 버튼에 LED 가 장착되어 작동 상황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 모니터의 받침대가 좀더 높았으면 하는 바램이 있었지만 틸트를 지원하기 때문에 모니터를 사용하는데 불편은 없었다.

 

 

 

기본 제공되는 CD를 구동한 모습으로 사용 설명서 및 사양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글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국가의 매뉴얼이 저장되어 있다.) @ 사용 방법은 무척 간단하다. 초보자들도 기기를 셋팅해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1600 x 900 의 해상도를 지원해 FULL HD 해상도 지원 제품들과 달리 2개의 웹페이지를 펼쳐놓을 경우 다소 답답한 느낌이 든다. 하지만 크기 조절만 한다면 두 개의 창을 열어두고 원할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

 

 

 

OSD 설정 버튼에서 바로가기를 지원해 자주 사용하는 Picture Mode 등을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디스플레이 설정에서는 자동으로 화면설정을 최적화 하는 자동조정 및 가로/세로 이동 등을 지원하며 픽쳐 설정에서는 밝기, 선명도, 명암 뿐만 아니라 디테일 한 컬러 설정이 가능하다. @ 고급형 모델에서 지원되던 AMA 기능이 빠진 것이 다소 아쉽다.

 

 

고급 픽쳐 설정의 모습으로 표준, 동영상, 게임, 사진, sRGB, 에코 등의 모드를 지원하며 픽쳐 모드에서 선택한 모드로 화면 이미지의 미리보기를 표시하는 센스아이 데모 및 최적의 대비를 생성하는 동적대비 등을 지원한다. 또한 오버스캔, 최대, 화면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모드 설정이 가능하며 컬러 포맷 설정을 지원한다.

 

@ Picture Mode - 표준 (기본 PC 프로그램에서 사용), 동영상 (동영상 감상시 사용), 게임 (비디오 게임 실행시 사용), 사진 (사진 감상시 사용), sRGB (주변 장치에서 원본에 더 가까운 색상이 표현됨), 에코 (밝기를 최소화 해 전원을 절약)

 

@ Display Mode - 오버스캔 (입력 이미지를 약간 확대해 가장자리의 노이즈를 숨김), 최대 (입력 이미지를 스크린에 맞도록 조정), 화면 (입력 이미지의 왜곡없이 최대 디스플레이로 표시)

 

 

시스템 메뉴의 모습으로 입력소스 선택 및 OSD 설정이 가능하며 디스플레이 정보확인 및 초기화를 지원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DDC/CI를 지원해 모니터의 버튼을 사용하지 않고 PC 의 소프트웨어 (캘러브레이션) 를 통해 모니터의 OSD 조절이 가능하다.

 

 

 

시야각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으로 광시야각의 IPS, VA 패널과 달리 반전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시야각에 민감한 유저라면 GW2750HM 과 같은 VA 패널 탑재 모델을 구입하기 바란다. GL2055 의 경우 테스트와 같은 극단적인 각도에서나 시야각으로 인한 불편함이 발생할 뿐 일상적이 사용시에는 전혀 불편이 없기 때문에 사용에 어려움은 전혀 없을 것이다.

 

@ 테스트 파트의 대부분의 결과물은 화면 캡쳐가 아닌 직접 촬영한 이미지로 어느정도의 한계는 감안하고 사진들을 확인하기 바란다.

 

 

 

모니터 테스트 프로그램을 이용해 화질 및 색감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으로 고급형 모델들과 같이 확연한 구분감을 경험할 수 있었으며 컬러들도 무난하게 표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LED 백라이트가 지원되어 저가형 LCD 모니터 보다는 훨씬 밝은 영상을 구현한다. (밝은 화면을 보면 눈에 피로감을 느끼는 유저라면 꼭 OSD에서 밝기를 조절하기 바란다.

 

 

스펙 상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 고급형 제품들 보다 명암비가 낮긴 하지만 차트를 완벽하게 구분할 수 있을 정도의 수준을 보여 주었으며 폰트 가독성 또한 나무랄 때가 없었다. (칼 같은 선명함을 보여주지는 못하지만 오래 보고 있어도 눈에 피로감은 없어 오피스 용으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으리라 보여진다.)

 

 

TN 패널의 경우 시야각이 좁은 단점이 있지만 응답속도는 다른 패널들에 비해 상당히 빠른 장점이 있다. 상단의 사진은 응답속도를 테스트 하고 있는 모습으로 (셔터스피드 1/100 로 촬영) 잔상이 거의 남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테스트 시 잔상 때문에 눈이 아픈 다른 패널들에 비해 확실히 눈에 피로가 덜했다.)

 

 

 

포토샵을 이용해 사진편집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으로 약간은 소프트한 느낌을 주긴 했지만 컬러 표현력은 나무랄 때 없었을 뿐만 아니라 암부의 표현력도 기대 이상이었다. (리뷰를 위해 촬영한 GL2055 의 사진을 보정할 때 예상과 달리 확연한 구분감을 제공하고 그림자의 그라데이션도 무난하게 표현해 큰 불편없이 작업할 수 있었다.)

 

 

 

다양한 고화질 동영상을 재생해 화질을 테스트 하고 있는 모습으로 다른 테스트와 달리 만족감이 상당히 컷다. 빠른 움직임에도 잔상이 전혀 남지 않는 것은 물론 선명도도 뛰어나 눈의 피로도 적었으며 전체적으로 밝고 화사함이 무척 마음에 들었다. (멀티미디어 용도로 활용할 경우 충분한 만족감을 느낄 것이라 자신한다.)

 

 

게임을 실행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었일까? 필자는 응답속도와 밝기라 생각한다. GL2055 는 5ms 의 빠른 응답속도를 지원해 FPS 게임중 잔상이나 버벅임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LED 백라이트가 적용되고 사진과 같이 게이밍 모드를 지원해 암부 표현력도 상당히 뛰어나다. (TN 패널의 장점을 그대로 보여 주었다. 게임을 좋아하는 유저들에게는 충분한 만족감을 주리라 보여진다.)

 

 

[BenQ GL2055 디자인 & 구동 동영상]

 

 

 

20형의 아담한 크기, 보급형 에서 흔히 사용되는 TN 패널 채용 등 고급형 모델들과는 분명한 차이를 가지고 있는 모델이다. 하지만 단지 스펙만으로 제품을 평가하지는 말아주기 바란다. 전문적인 용도로 활용될 만한 모델은 아니지만 깔끔한 디자인과 기대 이상의 선명한 화질 만으로도 충분한 만족감을 경험하리라 자신한다.

 

GL2055 의 가장 큰 장점을 필자는 빠른 응답속도와 밝은 영상이라 말씀드리고 싶다. 빠른 화면전환이 필수적인 게임은 물론 고화질 동영상 등을 감상 했을 때 잔상으로 인한 눈의 피로가 전혀 없었을 뿐만 아니라 LED 백라이트 및 픽쳐모드 지원을 통해 어떠한 환경에서도 밝고 선명한 영상을 구현하는 것이 무척 인상적이었다.

 

깔끔하고 고급스러운 디자인도 무척 마음에 들며 중소기업 모델들과 달리 다양한 OSD 설정이 가능해 원하는대로 영상을 설정할 수 있는 것 또한 큰 매리트라 보여진다.

 

부담없는 가격에 가정 및 업무용 모니터를 구입하고 싶어하는 유저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만족스런 화질에 뛰어난 공간 활용성, 깔끔한 디자인 등이 더해진 모델로 시중에 판매되는 저가형 모델과는 확연한 차이를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김원영 기자 goora@noteforum.co.kr

 

[디지털 모바일 IT 전문 정보 - 노트포럼]
Copyrights ⓒ 노트포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동영상리뷰

HOT REVIEW

LASTEST REVIEW

NOTEFORUM
노트포럼 대표 김원영 사업자번호 : 635-02-00945 주소 : 서울시 용산구 효창원로 94, B1 등록번호 : 서울 아04916 제호 : 영테크
발행·편집인 : 김원영 등록 : 2018.01.09 발행 : 2018.01.09 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원영 이메일 : master@noteforum.co.kr
2006-2025 NOTEFORUM. Co. All Rights Reserved.

02-711-2075

월-금 09:00-18:00 / 주말,공휴일 휴무
News 52,634 Review 3,424
2006-2025 NOTEFOR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