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나 노트북의 구성 부품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가' 라도 묻는다면 대부분의 유저들이 CPU 라 말할 것이며 게임을 즐기는 유저들의 경우 그래픽 카드를 예기할 것이다. 하지만 필자는 PC 나 노트북에서 가장 중요시 생각해야 할 부품으로 저장장치를 말씀드리고 싶다.
CPU 는 사람의 뇌에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하긴 하지만 고사양을 요하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라인업 간 체감성능이 크지 않다. (그래픽 카드 또한 고사양 게임 에서는 라인업간 확연한 차이를 보이지만 심플한 작업에서는 별다른 성능 차이를 느끼지 못한다.) 하지만 저장장치의 경우 다른 부품들과 달리 물리적으로 작동되는 HDD 의 경우 속도가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NAND 플래시 방식의 SSD를 사용해 심플한 작업시에도 확연히 다른 체감성능을 경험할 수 있다.
@ 필자는 다소 성능이 떨어지는 샌디브린지 i3 프로세서를 사용하고 있지만 S-ATA III를 지원하는 SSD를 사용해 성능에서 전혀 부족함을 느끼지 않는다. (오히려 빠른 부팅과 프로그램 로딩, 신속한 파일 복사 등이 가능해 i5 이상의 프로세서 + HDD 조합보다 훨씬 만족하고 있다.)
이번에 리뷰를 진행 할 삼성 SSD 840 PRO 는 모든 것을 (성능, 기능, 안정성 등등) 만족시키는 SSD 를 구입하려는 유저들을 위한 모델로 830 시리즈에서 대대적인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품 발표회에 참석 했는데 엄청난 성능에 입이 다물어지지 않았다.)
기존에 테스트 했던 모델들과 비교해 얼마나 뛰어난 모습을 보여줄지 무척 궁금하다. 리뷰를 통해 디자인, 특징을 살펴보고 기본 제공되는 S/W 및 다양한 벤치마크 테스트를 통해 성능을 확인해 보도록 하자.
☆ 본제품은 테스트 용 기기로 실제 판매 제품과 스펙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00 x 69.85 x 6.8 mm의 크기와 53.5g (128GB : 52.5g) 의 무게로 대부분의 PC 및 노트북에 장착해 사용할 수 있다. (HDD 나 기존 모델들과 비교해 가볍기 때문에 휴대성이 중요한 노트북에 장착해 사용할 경우 다소나마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디자인은 로고를 가려도 삼성 제품임을 알 수 있을 정도로 대단히 고급스럽다. 최고급형 모델 답게 블랙 컬러를 적용해 중후한 느낌을 살렸을 뿐만 아니라 전면에 실버 라인을 적용해 포인트를 준 것 또한 상당히 마음에 든다. (PC 나 노트북에 내장되어 보이지 않는 부품이지만 고급스런 디자인을 적용해 제품의 가치를 높인 점은 높이 평가하고 싶다.)
이번에 출시된 840 PRO 시리즈 또한 기존 모델들과 같이 외부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인 하우스 방식으로 제조 되었다. 다양한 제조사에서 관련 부품을 받은 후 조립하는 대부분의 SSD 와 달리 삼성 모델의 경우 디램이나 낸드 플래시를 자체 개발할 뿐만 아니라 가장 중요한 부품 중 하나인 컨트롤러도 직접 개발에 적용하고 있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통해 보다 빠르고 명확한 피드백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제가 생겼을 때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
기기 상단부의 모습으로 삼성 SSD 문구가 표시되어 있으며 S-ATA 와 전원 단자부를 삼각형으로 표시해 쉽게 단자부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 SSD 840 은 두가지 버전으로 출시된다. 리뷰를 진행하는 840 PRO 는 IT 전문가나 하이 퍼포먼스를 지향하는 전문가들을 위한 모델로 TLC 방식의 낸드 플래시를 적용한 840과 달리 MCL 낸드 플레시를 탑재 했으며 극한의 환경에서도 오랜시간 성능저하 없이 빠른 속도를 유지한다. (5년의 보증기간을 지원하며 가격도 840 에 비해 높은 편이다.)
기기 우측면의 모습으로 PC 및 노트북 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이 제품은 SATA II를 지원하는 구형 모델들과 달리 SATA III (6Gbps)를 지원해 최신 노트북 및 메인보드에 연결할 경우 최대 540MB/s 의 읽기와 520MB/s 쓰기가 가능하다. (최신 인터페이스 S-ATA 3.1도 지원하고 있다.)
기기 상단과 하단부의 모습으로 노트북 가이드나 데스크탑 2.5형 베이 장착을 위한 홀이 설치되어 손쉽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 830 이나 경쟁 제품들과 비교해 소비 전력을 획기적으로 줄인 모델이다. (작동시 : 0.068W) 0.1W 도 되지 않는 저전력 설계는 840 시리즈 만의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기기 바닥면의 모습으로 가이드 장착을 위한 홀이 설치되어 있으며 기기의 용량 및 사양, 인증 등이 표시된 스피커가 부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MCX 컨트롤러를 사용한 830 과 달리 MDX 컨트롤러를 탑재 했으며 (트리플 코어, ARM Cortex-R4, 300MHz) 2배 늘어난 512MB 용량의 저전력 DDR2 캐시 적용으로 한층 쾌적한 성능을 경험할 수 있다. (128GB 는 256MB 지원)
일반적인 2.5형 저장장치와 크기에서는 별다른 차이가 없다. 하지만 7mm 의 슬림함으로 9mm 저장장치를 지원하지 않는 몇몇 노트북에서도 완벽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 HDD 와 무게를 비교한 모습으로 훨씬 가벼운 것을 알 수 있다. (이동성을 중요시 생각하는 노트북에 사용할 경우 매리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 SSD 840 PRO 의 무게는 노트포럼 자체 측정으로 스펙과 다소 다른 것을 감안하기 바란다.
기기의 디자인 및 특징을 살펴 보았다. 이번에는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S/W 및 활용성을 알아보고 각종 테스트를 통해 성능을 확인해 보도록 하자.
3.5형 가이드를 이용해 간편하게 데스크탑 PC에 설치할 수 있다. 사진과 같이 볼트를 이용해 가이드와 SSD를 고정시킨 후 케이스의 3.5 베이에 쑥 밀어넣은 후 볼트를 이용해 측면을 고정시켜 주면 모든 작업이 끝나게 된다. @ 최근 출시되는 고급형 케이스의 경우 2.5형 베이를 기본 지원해 가이드 없이도 쉽게 장착할 수 있다. PC 조립에 서투른 유저라도 부담없이 설치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대부분의 노트북이 2.5형 HDD를 사용하기 때문에 장착이 무척 간편하다. 사진과 같이 설치된 HDD를 분리하고 SSD와 노트북의 커넥터만 맞추어 넣어주면 모든 작업이 끝나게 된다. @ 디자인 부분에서도 말씀 드렸지만 840 시리즈는 7mm 의 슬림함으로 모든 노트북과 완벽하게 호환된다. (9mm 의 일반 모델들의 경우 두께 때문에 설치하지 못하는 몇몇 노트북에서도 불편없이 사용 가능하다.)
본격적인 테스트에 앞서 기본적인 테스트 사양을 확인해 보도록 하자. 상단의 사진은 필자가 집에서 사용하고 있는 PC의 모습으로 SATA III 를 지원하는 메인보드에 샌디브릿지 i3-2100, 8GB DDR3 메모리를 사용 했으며 SATA III 케이블을 이용해 테스트를 진행했다. (고사양 PC는 아니기 때문에 SSD 의 최대 성능을 발휘할 수는 없지만 기본적인 테스트에 문제는 없으리라 보여진다.) @ 256GB 제품을 이용해 테스트를 진행했다. 128GB 모델과는 성능이 다소 다르다는 것을 인지해 주기 바란다.
OS 설치 및 부팅시간 테스트 시 바이오스에서 ACHI 모드로 설정했다. @ ACHI 모드는 시리얼 ATA 방식의 저장장치를 SCSI 방식으로 인식시키는 기능으로 헤드의 움직임을 최소화 해 수명을 늘리고 입출력 속도를 향상 시킨다. (프리징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트림 기능도 완벽하게 사용할 수 있다.) SSD를 사용한다면 꼭 ACHI 모드로 설정 후 사용하기 바란다.
OS 설치 시간을 확인하기 위해 840 PRO 시리즈를 장착하고 USB 메모리를 이용해 MS Windows 7 Home Premium K 64bit 를 설치하고 있는 모습으로 윈도우 7 설치하기를 누른 후 바탕화면이 보일때 까지 11분 16초 가 소요 되었다. (HDD 의 경우 30분 이상 소요되며 일반적인 저가형 SSD 는 최소 15분 이상 소요된다.) 또한 OS 설치 및 기본적인 셋팅을 마치고 부팅 시간을 측정해 보았는데 (전원 버튼을 누른 후 바탕 화면이 보일때 까지) 21초 3 이 소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필자의 PC는 메인보드 바이오스 로딩 시간이 9초에 육박한다. 상당히 빠른 시간이라는 것을 알아주기 바란다.)
Samsung Data Migration을 이용해 백업을 마친 후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으로 예상했던 대로 완벽한 체험지수 스코어를 보여 주었다. (7.9 이상으로는 점수가 올라가지 않는다.)
Anvil's Storage Utility 와 AS SSD Benchmark를 이용해 기기의 성능을 확인하고 있는 모습으로 그동안 리뷰를 진행했거나 간접적으로 보아왔던 제품들과는 차원이 다른 성능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순한 읽기, 쓰기 속도는 일반 모델들과 큰 차이가 없다. 하지만 랜덤 읽기, 쓰기 속도의 경우 엄청난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현재 사용하고 있는 S-ATA III 지원 SSD 의 AS SSD Benchmark 최종 스코어가 324점 인데 840 PRO 시리즈는 1156 점을 보여주었다.
일반적인 벤치마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성능을 확인하고 있는 모습으로 프로그램간 결과값의 차이는 다소 있었지만 대부분 만족스런 스코어를 보여 주었다. @ 프로그램을 설치 하거나 파일을 복사할 때 HDD 와는 비교되지 않을 만큼 빠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온라인 FPS 게임 실행시 프레임이 높아지지는 않지만 가장 먼저 로딩이 완료되어 빠르게 게임을 즐길 수 있었다.
이번에 출시된 840, 840 PRO를 비롯해 전작인 830, 470 시리즈 와 호환되는 백업 프로그램 Samsung Data Migration을 기본 지원해 편의성을 높였다. 상단의 사진은 별도로 840 PRO 를 USB 에 장착해 백업을 진행하고 있는 모습으로 PC 조작이 서투른 유저들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을 만큼 무척 심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기존에 사용하던 SSD 에 OS를 비롯해 각종 S/W 가 설치되어 있었다. OS 설치, 드라이버 설치, 프로그램 설치, 윈도우 업데이트 등을 하다보면 하루가 금방 가 버릴 정도로 많은 시간이 소요 되는데 Data Migration을 이용해 20분 안에 동일한 환경을 만들 수 있었다. (C: 의 모든 데이터를 빠짐없이 840 PRO 에 복사해 준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원본 디스크와 대상 디스크가 표시되며 (대상 디스크의 용량보다 원본 디스크의 데이터 용량이 크면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없다.) 복제시작 버튼을 누르면 하단의 사진과 같이 디스크 복제 작업이 시작된다. (시중에서 흔히 사용하는 복제 프로그램의 경우 설정이 복잡해 초보자는 쉽게 사용하지 못한다. 하지만 Data Migration 의 경우 버튼만 두세 번 눌러주면 복제가 되기 때문에 전혀 어려움을 느끼지 않을 것이다.)
@ 840 시리즈를 USB로 연결해 작업하면 속도가 다소 느리다. 빠르게 작업을 진행하고자 할 경우 PC의 S-ATA 단자에 직접 연결하기 바란다. 훨씬 빠른 속도로 복제가 가능할 것이다. (840 시리즈의 테스트에서는 USB를 이용해 17분 8초가 소요된데 반해 직접 연결한 840 PRO 는 4분 23초가 소요 되었다.)
별도의 관리툴을 지원하지 않는 대부분의 SSD 와 달리 삼성 제품들은 'Magician' S/W를 기본 제공해 편의성을 높였다. (HDD 와 달리 SSD 는 사용자의 손길을 요구하는 부분들이 있다. 일반 SSD 의 경우 이런 작업을 수동으로 해 주어야 하는데 840 PRO 시리즈의 경우 Samsung SSD Magician을 이용해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자체적인 벤치마크 기능을 제공하며 성능 및 OS 최적화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간편하게 SSD의 펌웨어 업그레이드가 가능해 항상 최신의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초기화 및 데이터 삭제를 지원하며 디스크 복제 기능도 지원된다. 또한 상단의 사진과 같이 Over Provisioning을 통해 SSD 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프로페셔널 사용자를 위한 제품답게 엄청난 성능을 보여 주었다. (840 시리즈와 분명한 성능 차이를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ATA 인터페이스의 한계점에 도달한 제품이라 생각되며 본격적인 PCIe 인터페이스 모델이 나오기 전까지는 왕좌의 자리를 내려놓지 않을 것이라 예상된다.
이 제품의 가장 큰 장점은 단연 강력한 성능이라 할 수 있다. 벤치 스코어를 보면 알 수 있듯 830 시리즈를 비롯한 현재 출시된 모델들과 확연히 비교되는 랜덤 읽기, 쓰기 속도를 지원해 어떠한 환경에서도 쾌적한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모델로 하이 퍼포먼스를 지향하는 유저들에게 100% 이상의 만족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LC 낸드 플래시를 사용한 840 시리즈와 달리 MLC 낸드 플래시가 사용 되었으며 Advanced 20nm Class Toggle 2.0 NAND 및 ARM Cortex-R4, 3코어, 300MHz 저전력 컨트롤러, 512MB 저전력 DDR2 캐시 탑재로 완벽한 하드웨어적 업그레이드를 이룬 모델이다.)
간단하게 기존 사용 환경을 그대로 복사할 수 있는 Data Migration 과 손쉽게 840 시리즈를 관리할 수 있는 Magician S/W 지원 또한 빼 놓을 수 없는 장점이라 말씀 드리고 싶다. (최대 1시간 이내에 기존 환경 그대로 셋팅이 가능하며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항상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840 시리즈를 비롯해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대부분의 SSD 보다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그에 걸맞는 성능과 안정성을 보여주는 모델로 고성능 PC나 노트북 환경을 지향하는 유저들에게 충분한 만족감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현존하는 S-ATA 인터페이스 SSD 중 최고 성능의 제품을 구입하고 싶어하는 유저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충분한 만족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 이 글은 삼성전자로부터 제품 체험 기회와 소정의 저작권료를 지원 받았습니다.
김원영 기자 goora@noteforum.co.kr
[디지털 모바일 IT 전문 정보 - 노트포럼]
Copyrights ⓒ 노트포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