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니어 테크놀로지 코리아(대표 홍사곽)는 납축전지와 리튬 배터리를 위한 동기식 벅부스트 배터리 충전 컨트롤러(제품명 LT8490)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 제품은 자동 최대 전력점 추적(MPPT,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기능과 온도 보정 기능을 제공하며, 조절된 배터리 부동 전압보다 높거나 낮은 또는 같은 입력 전압에서 동작한다. LT8490의 다기능 배터리 충전기는 선택할 수 있는 수많은 정전류 정전압(CC-CV: constant-current constant-voltage) 충전 프로파일을 제공하며, 연축전지(sealed lead acid), 겔셀(gel cell), 플러디드 셀(flooded cell)을 포함해 다양한 리튬 또는 납축 배터리 타입을 충전하는 데 이상적이라고 회사측은 전했다. 모든 충전 종료 알고리즘은 온보드로 제공되어 별도의 소프트웨어나 펌웨어의 필요성을 없애 줘 설계 시간도 단축된다고.
▲ MPPT 기능의 80V 태양광 납축 & 리튬 배터리 충전기
LT8490은 6V ~ 80V에 이르는 폭넓은 입력 전압 범위에서 동작하며 4개 스위치 동기식 정류로 단일 인덕터를 사용하여 1.3V ~ 80V 배터리 부동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디바이스는 외장형 FET의 선택에 따라, 최고 10A까지 높은 전류로 충전할 수 있다. LT8490의 MPPT 회로는 태양광 패널의 전체 동작 범위를 스윕(sweep)할 수 있게 하여, 패널의 부분적 쉐이딩(shading)으로 발생되는 로컬 최대 지점이 존재한다고 해도, 최대 전력점(power point)을 찾게 해 준다. 일단 진정한 최대 전력점이 발견되면, LT8490은 그 지점에서 동작할 것이며 한편으로는 로컬(local) 최대 전력점에서 변화를 신속하게 추적할 수 있도록 디더링(dithering) 기법을 사용한다. 이 방법론을 이용하게 되면, LT8490은 이상적이지 않은 동작 환경에서도 태양광 패널에서 생성되는 전력을 최대한 활용하게 된다.
LT8490은 배터리에 외장된 써미스터를 감지함으로써 배터리 충전 전압의 자동 온도 보정을 수행한다. STATUS 및 FAULT 핀은 LED 표시기 램프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충전 전류 제한은 단지 1개 또는 2개의 저항만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충전시간 범위는 적절한 저항 디바이더를 사용해 선택할 수 있다. 이 디바이스의 다른 특징으로는 입력 및 충전 전류 제한 핀, 3.3V 조절된 LDO 출력, 상태 핀, 동기화가 가능한 고정 스위칭 주파수가 있다.
리니어 테크놀로지 코리아가 공개한 LT8490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LT8490은 로우 프로파일 (0.75mm) 64핀 7mm x 11mm QFN 패키지로 이용할 수 있다. 이 디바이스는 -40°C ~ 125°C의 동작 범위에서 보장될 수 있는 E 및 I 등급 모두로 제공된다. E 등급 제품에 대한 가격은 1,000개 수량 기준으로 개당 10.35 달러에서 시작한다. 자세한 정보는 www.linear.com/product/LT8490 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김원영 기자 goora@noteforum.co.kr
[디지털 모바일 IT 전문 정보 - 노트포럼]
Copyrights ⓒ 노트포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