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세대 인텔코어 프로세서. 용도에 맞게 사용하자.

2015.08.31 컴퓨팅 김원영 기자 : goora@noteforum.co.kr

대작 게임등이 꾸준히 출시되며 PC를 업그레이드 하거나 새롭게 조립하는 유저들이 무척 많아지고 있다. 사용기간이 2년 정도에 불과한 모바일 디바이스와 달리 한번 제품을 구입하면 3년 이상 사용하는 데스크탑PC 특성상 기본적인 부품 조합이 무척 중요하다 할 수 있다.


고성능 게임을 즐기는데 펜티엄이나 코어 i3 프로세서를 구입하면 성능에 한계를 느낄 수 밖에 없으며 단순한 웹서핑, 오피스 용도로 PC를 사용하는데 코어 i7 프로세서를 구입하면 돈만 낭비하는 꼴이 된다. 프로세서간 가격차가 있기 때문에 최소의 비용으로 최고의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우선 자신이 어떤 용도로 PC를 구입하거나 업그레이드 할 것인지 생각할 필요가 있다. 핵심적인 부품인 프로세서를 선택하고 그에 걸맞는 메인보드와 메모리 용량을 정하면 기본적인 부품 선택이 끝나게 된다.


게임의 실행 유무에 따라 내/외장 그래픽을 선택하고 체감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SSD 및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파워 서플라이 등을 정해주면 PC의 구성이 완료된다.


이번 시간에는 PC를 구입할 때 가장먼저 선택해야 할 프로세서 선택방법을 알아볼 예정이다. 특히 다양한 라인업으로 용도별 선택이 가능한 인텔코어 프로세서 라면 대부분의 유저가 손쉽게 PC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초보자들의 경우 프로세서가 세분화 되어 있어 어떤 제품을 선택해야 할지 궁금할 것이다. 그럼 이제부터 용도별 프로세서 사용법을 하나하나 살펴보도록 하자.




인텔 프로세서중 서버용인 제온을 제외하고 가장 높은 가격대에 판매되고 있는 i7 시리즈는 사용하는 유저들의 목적이 분명한 프로세서라 할 수 있다. 30만원을 넘어가는 고가에 메인보드나 그래픽카드, 스토리지 등도 최고 스펙으로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가격대 성능비와 같은 문구는 어울리지 않는다 할 수 있다.


투자되는 비용 보다는 얼마나 빠르게 작업물을 처리할 수 있느냐에 초점을 맞추는 유저들을 위한 제품으로 높은 성능이 필수적인 전문 S/W 사용자에게 적합한 모델이라 할 수 있다. 포토샵과 같은 2D 그래픽 소프트웨어는 물론 마야,3D MAX 와 같은 3D 제작 소프트웨어에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전문가들의 경우 랜더링 타임이 길 경우 업무 효율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Core i7 프로세서와 쿼드로 그래픽 카드 등이 필수라 할 수 있다.


최근 이슈화 되고 있는 고화질 동영상 편집에서도 Core i7 프로세서는 꼭 필요한 부품중 하나라 할 수 있다. 1920 x 1080 의 FHD 해상도 대비 4배 선명한 UHD (4K) 동영상의 경우 프리미어나 애프터이펙트 등의 S/W 사용시 일반PC에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시간이 곧 돈으로 연결되는 프로페셔널 작업자들의 경우 빠른 편집을 위해 Core i7을 기반으로 한 고성능 PC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고성능 게임을 즐기는데 Core i7 프로세서가 빠질 수 없다. 온라인 게임이나 일반 3D 게임의 경우 Core i5 만으로도 충분한 퍼포먼스를 구현할 수 있지만 최근 큰 인기를 끌고 있는 GTA5를 비롯해 베틀필드, 크라이시스 등의 게임은 Core i7을 사용했을 때 좀더 쾌적한 게이밍 환경을 경험할 수 있다.


특히 배수 조절이 가능해 손쉽게 오버클럭을 할 수 있는 데빌스캐년의 경우 하드코어 게이밍 유저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데빌스캐년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Z시리즈의 전용 메인보드를 사용해야 하는등 좀더 많은 비용이 필요하지만 확연한 성능 향상을 경험할 수 있어 많은 유저들이 구입해 사용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Core i5 시리즈는 인텔의 메인스트림 프로세서였다. 대부분의 작업에서 최적의 사용성을 발휘할 수 있는 성능을 보여주기 때문에 다용도로 PC를 활용하는 유저들에게 가장 어울리는 프로세서라 할 수 있다. 특히 하스웰 리프레시는 저전력과 높아진 성능으로 유저들에게 큰 사랑을 받고 있다.


Core i5 프로세서는 가격적인 부담을 최소화 하면서 높은 성능을 경험하고 싶어하는 유저들을 위한 제품이라 할 수 있다. 특히 Core i7과 같이 배수조절이 가능한 K 프로세서가 별도로 판매되고 있어 높은 성능을 기대하는 유저들을 충분히 만족시키고 있다. 특히 3GHz 이상의 높은 클럭과 리얼 쿼드코어 설계로 빠른 성능을 구현하며 6MB의 넉넉한 L3캐시를 지원하는 것도 보급형 프로세서와는 차별화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인 게이밍PC 구성에서 Core i5를 사용하면 만족스런 성능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고성능 그래픽카드나 메모리 와의 궁합도 좋아 각 부품의 성능을 최대로 끌어올릴수 있기 때문에 Core i7에 가격부담을 느끼는 많은 유저들이 Core i5 4690 등을 이용해 PC를 구성하고 있다.


업무용으로도 손색없는 모습을 보여준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띄어두고 동시에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유저들의 경우 속도의 저하없이 깔끔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인텔 특유의 빠른 인코딩 타임으로 동영상 등의 변환이 많은 유저들에게도 적합하다. 그래픽 등의 S/W를 사용할 경우 대용량 메모리와 SSD 조합을 통해 체감성능을 높일 수 있어 프로페셔널 유저들의 작업용으로도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오랜시간 PC를 사용할 계획이며 게임, 작업, 멀티미디어 등 다용도로 PC를 사용하는 유저들에게 가장 어울리는 프로세서라 할 수 있다. 높은 판매량이 말해주듯 가격과 성능의 밸런스가 가장 이상적이다 할 수 있다.




PC를 조립하는데 있어 많은 비용을 투자할 수 없거나 라이트한 용도로 운용하고자 한다면 Core i3 가 정답이 될 수 있다. 20만원을 훌쩍 넘어가는 상위 프로세서와 달리 10만원 초반대에 구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함께 사용되는 메인보드, 메모리, 스토리지 등도 보급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 내장 그래픽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그래픽 카드 구입으로 인한 추가 비용이 없어 비용을 절약 하면서도 만족스런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단, 전문적인 S/W를 실행하거나 고성능을 필요로하는 3D 게임을 구동하는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다. 가정에서 고화질 동영상을 즐기거나 웹서핑 등의 작업을 쾌적하게 즐기기에 적합한 퍼포먼스를 구현하며 주로 오피스나 자체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업무용으로도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또한 가벼운 온라인 게임 정도는 무난하게 구동할 수 있기 때문에 게임용으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메모리 용량을 늘리거나 SSD 등을 함께 사용할 경우 체감성능이 훨씬 좋아지기 때문에 저가격 고성능PC를 만드는 것도 어렵지 않을 것이다.



최근 모바일 디바이스가 큰 인기를 끌고 있긴 하지만 성능이나 활용성, 확장성 면에서 데스크탑PC와 비교가 되지 않는다. 특히 컨텐츠를 생산하는데 있어 윈도우OS 기반의 데스크탑 PC 는 모바일OS 기반의 디바이스에서는 꿈꿀수 없는 다양한 작업이 가능하다. 이런 측면에서 데스크탑PC를 조립하는데 부품 선택이 중요하며 특히 PC의 근간이 되는 프로세서 선택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


인텔 프로세서는 다양한 라인업으로 제품이 출시되어 어떤 용도의 PC를 조립한다 하더라도 선택에 스트레스는 없을 것이다. 제품에 따라 가격, 성능, 지원기술 등이 현저히 다르기 때문에 조금만 관심을 가진다면 만족스런 프로세서 선택이 가능하다.


자신이 어떤 용도로 PC를 사용할 것인지 생각하고 그에 맞는 예산으로 프로세서를 선택한다면 오랜시간 만족스런 PC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특히 인텔 프로세서 기반의 조립PC를 판매하는 업체도 많기 때문에 선택이 그리 어렵지는 않을 것이다. 모든 유저들이 불필요한 비용소모 없이 만족스런 PC 라이프를 즐기길 기대한다.


김원영 기자 goora@noteforum.co.kr


[디지털 모바일 IT 전문 정보 - 노트포럼]
Copyrights ⓒ 노트포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동영상리뷰

HOT REVIEW

LASTEST REVIEW

NOTEFORUM
노트포럼 대표 김원영 사업자번호 : 635-02-00945 주소 : 서울시 용산구 효창원로 94, B1 등록번호 : 서울 아04916 제호 : 영테크
발행·편집인 : 김원영 등록 : 2018.01.09 발행 : 2018.01.09 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원영 이메일 : master@noteforum.co.kr
2006-2025 NOTEFORUM. Co. All Rights Reserved.

02-711-2075

월-금 09:00-18:00 / 주말,공휴일 휴무
News 52,634 Review 3,424
2006-2025 NOTEFOR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