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NYO Xacti VPC-CG9

2008.05.26 디지털이미징 편집.취재팀 기자 :

 

 

최근 출시되는 디지털 카메라와 캠코더는 (DSLR 제외) 대부분 사진 촬영 및 동영상 촬영을 모두 지원하여 유저들이 많은 비용부담 없이도 두가지 기능 모두를 한 개의 기기에서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캠코더의 경우 동영상 화질은 월등하지만 사진의 퀄리티가 아쉬운 제품들이 많으며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사진의 퀄리티는 만족 스럽지만 동영상 촬영 기능이 만족스럽지 못한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이번에 리뷰를 진행하게 될 SANYO 의 디지털 카메라는 차별화된 동영상 촬영 기능을 통해 사진과 동영상 모두를 만족시키는 제품을 출시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예전부터 동영상 기능이 좋은 디지털 카메라를 추천할 경우 반드시 Sanyo 제품을 선택하곤 했다.) 이번에 리뷰를 진행 할 Xacti CG9 또한 940 만 화소의 고화질 사진 촬영과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제품으로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며 휴대성이 뛰어나 유저들의 큰 사랑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 및 동영상의 화질, 지원되는 기능 등 궁금한 점이 많다. 리뷰를 통해 기기의 디자인, 기능, 성능 등을 하나하나 확인해 보도록 하자.

 

 

 

 

 

FULL KIT의 모습으로 본체를 비롯하여 충전기, AV케이블, USB 케이블을 기본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사용설명서 및 보증서, S/W 가 동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렌즈 캡도 기본 제공된다.)

 

 

73.8 x 101 x 38.6mm 의 크기와 180g 의 무게로 휴대성은 무척 뛰어난 편이다. 한손에 속 들어올 만한 사이즈와 가벼운 무게로 최근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DSLR과 달리 언제 어디서나 휴대하며 사진 및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제품이라 할 수 있다. 기기의 디지인은 기존의 Xacti HD, C 시리즈와 크게 다르지 않다. 그립감을 고려한 디자인 설계가 돋보이며 라운딩 처리된 외관은 귀여운 느낌을 준다. (리뷰를 진행하고 있는 화이트 컬러 이외에도 블랙, 핑크 컬러로 제품이 출시될 예정이다.) @ 하지만 HD1000 과 같은 사이버틱 하고 고급스러운 느낌이 다소 반감된 것이 아쉽다.

 

 

기기 전면부의 모습으로 상단에는 광학 5배줌을 지원하는 렌즈와 사진 촬영시 활용할 수 있는 플래시가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5~3.7의 가변조리개를 지원하는 제품으로 4룩스의 최저 피사체 조도를 지원하여 야경이나 어두운 실내에서도 선명하게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좌측 하단의 사진과 같이 렌즈캡을 기본 제공하여 렌즈의 오염이나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다.)

 

 

기기 우측면의 모습으로 자유자재로 회전 가능한 LCD (285도 회전가능) 가 장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단에는 스피커가 부착되어 동영상 재생 시 음성을 들을 수 있으며 LCD 커버 부분에는 2개의 스테레오 마이크가 부착되어 사운드를 보다 디테일하게 레코딩 할 수 있다.

 

 

23만 픽셀을 지원하는 2.5인치 TFT LCD가 장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을 지원하지 않는 것은 다소 아쉽지만 글레어 타입으로 선명도가 무착 뛰어난 것은 장점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내부에는 전원 버튼이 부착된 것도 확인할 수 있다. (총 60배 디지털 줌이 지원되는 제품이다.)

 

 

기기 후면부의 모습으로 각종 버튼 및 레버가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단 좌/우측에는 사진 및 동영상 촬영 버튼이 부착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줌 레버가 장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재생모드에서 줌 레버를 W로 당기면 썸네일이 표시된다.) 상단에는 촬영된 영상을 재생하는 Play 버튼이 부착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기능 설정을 위한 Menu 버튼 및 기능 선택을 위한 십자버튼이 부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단부에는 렌즈캡과 연결할 수 있도록 스트랩 고리가 준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하단에는 메모리 슬롯이 설치되어 SD메모리를 장착하여 사진을 저장할 수 있다. (기기에서 40MB 의 메모리를 기본 지원할 뿐만 아니라 SDHC를 완벽하게 지원하여 최대 32GB까지 용량으로 사진 및 동영상 촬영이 가능하다. HDD가 장착된 제품은 아니지만 저장 용량에 대한 부담은 전혀 없는 제품이라 말씀 드리고 싶다.)

 

@ 간편한 조작은 이 제품의 큰 장점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사진과 동영상 촬영버튼이 각각 준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버튼만 누르면 바로 레코딩이 진행 되거나 촬영 모드로 진입하여 원하는 영상을 보다 빠르게 촬영하고 저장할 수 있다. (동영상 촬영중 사진촬영 기능도 지원하여 지나치는 순간을 놓치지 않고 촬영할 수 있는 제품이다.)

 

 

기기 좌측면의 모습으로 하단의 커버를 들어 올리면 배터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720mAh 용량의 리튬이온 배터리가 장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195장의 사진과 70분의 동영상 촬영, 160분의 재생이 가능하다.)

 

 

기기 바닥면의 모습으로 USB케이블이나 AV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전용 단자가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삼각대를 연결할 수 있는 장착홀이 설치되어 흔들림 없는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이 가능하다.

 

 

이 제품 뿐만 아니라 Xacti HD, C 시리즈의 가장 큰 장점은 그립감이 아닐까 생각한다. 제품의 크기는 작지만 세로가 긴 형태이기 때문에 손이 큰 유저들도 안정적으로 기기를 잡을 수 있으며 후면부에 버튼부가 집중되어 조작이 무척 간편한 정점이 있다. (대부분의 컴팩트 카메라는 그립감이 그다지 좋지 않으며 캠코더의 경우 스트랩이 필수적이다. 이런 측면에서 Xacti HD, C 시리즈 제품들은 상당한 매리트를 가지고 있다 할 수 있다.)

 

 

악세사리의 모습으로 사용설명서 및 Quick 매뉴얼, S/W 가 동봉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배터리 충전기 및 전원 케이블, 외부 영상기기와 연결할 수 있는 AV 케이블 및 PC와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USB케이블 등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기의 디자인 및 특성을 확인해 보았다. 이번에는 어떤기능을 제공하는 제품인지 하나하나 확인해 보도록 하자. 상단의 사진은 메인 화면의 모습으로 사진 및 동영상 촬영정보가 상단에 표시되며 각종 기능을 설정했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단에서 이야기 한 것 처럼 동영상 및 사진 촬영이 무척 간편한 제품이다. 전용 모드로 들어갈 필요 없이 사진 및 동영상 버튼만 누르면 자동으로 모드가 변환되어 작동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근 출시되는 다른 제품들과 마찬가지로 기기 사용에 서투른 초보자를 위해 별도의 모드를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단의 사진은 심플모드로 설정한 모습으로 복잡한 노멀모드와 달리 촬영에 중요한 해상도, 포커스, 플래시 메뉴만 제공되어 간단한 설정 만으로 사진 및 동영상 촬영이 가능하다.

 

 

심플모드의 재생설정 모습이다. 슬라이드 쇼 설정이 가능하며 스피커의 음량 설정 및 파일삭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촬영 메뉴부터 확인해 보도록 하자. 상단의 사진은 동영상 및 사진의 해상도 설정 메뉴의 모습으로  동영상의 경우 최대 640 x 480 60fps 촬영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 UCC 용도로 촬영하기에는 차고 넘칠 만한 수준이다.) 또한 940만 화소를 지원하는 제품으로 최대 4000 x 3000 해상도의 사진 촬영이 가능한 것도 알 수 있다. (대형 인화도 무리없는 수준의 제품이라 할 수 있다.) @ 사진 촬영 및 동영상 촬영은 물론 음성녹음도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환경에서 좀 더 쉽게 촬영을 할 수 있도록 장면선택 메뉴를 제공하며 필터 기능을 지원하여 색다른 사진 및 동영상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플래시 모드 및 셀프타이머를 지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플래시 기능은 사진촬영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촹영 메뉴 2의 모습으로 손떨림 보정 기능이 지원되는 것이 가장 눈에 뛴다. (사진 촬영 뿐만 아니라 동영상 촬영 에서도 손떨림 기능이 지원되고 있다.) 또한 포커스 기능을 제공하여 거리에 따라 설정 후 사진 및 동영상 촬영이 가능하다. (접사 기능도 완벽하게 지원하는 것을 테스트로 확인했다.)

 

 

포커스 모드 및 측광방식 설정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최대 1600 ISO 설정이 가능하여 어두운 실내나 야간에도 불편함 없이 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

 

 

 

촬영메뉴 3 의 모습으로 화이트 벨런스 설정을 통해 어떤 환경에서도 정확한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최신제품 답게 얼굴인식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고감도 설정 및 디지털 줌 설정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지정된 ISO 보다 훨씬 밝게 촬영하고 싶을 경우 고감도를 설정하면 된다.)

 

 

 

재생메뉴를 확인해 보도록 하자. 상단의 사진은 재생화면의 모습으로 줌 레버를 통해 미리보기 형식을 설정할 수 있다. (사진과 동영상의 별도로 관리 되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물론 구별은 쉽게 되긴 하지만 먼가 복잡하다는 느낌이 강하다.)

 

 

재생메뉴 1 의 모습이다. 슬라이드 쇼 설정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BGM 기능을 지원하는 것이 인상적이다.) 재생시 음량설정 및 파일 삭제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촬영된 이미지의 회전 기능을 지원하며 크기조정도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재생메뉴 2의 모습이다. 촬영된 사진 및 동영상의 편집 기능을 제공하며 (적목현상 보정 및 대비 보정, 동영상의 잘라내기 및 합치기가 가능하다.) 또한 DPOF 인쇄 예약 기능을 제공하며 (인쇄매수 지정 및 날짜 표시여부 등을 지정하여 프린팅 할 수 있다.) 내부 메모리와 외장 메모리 간의 파일 복사 기능도 제공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기기의 환경설정이라 할 수 있는 선택메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날짜 및 시각 , 시작, 조작음 등을 설정 할 수 있으며 촬영된 데이터의 촬영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미리보기 시간 설정 및 기록폴더 지정도 가능하다.)

 

 

 

선택 메뉴 2 의 모습으로 SET버튼의 바로가기 지정이 가능하며 노이즈 감소 기능을 제공하여 보다 깨끗한 화질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선명도 등을 지정할 수 있으며  FR플리커 보정을 통해 형광등 아래에서 동영상을 촬영할 때 생기는 깜빡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LCD의 밝기 조절도 가능하다.) @ 총 13개 언어를 지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선택메뉴 3의 모습으로 TV출력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절전기능을 지원하여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파일번호 지정 및 포맷, 초기화 기능을 지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G9 에서 지원되는 다양한 기능을 확인해 보았다. 이번에는 테스트를 통해 영상의 퀄리티를 확인해 보도록 하자. 상단의 사진은 촬영한 영상을 외부 기기를 통해 재생하고 있는 모습으로 기본 제공되는 AV케이블을 이용하여 CG9와 TV를 연결하여 간편하게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 외부 기기에 연결할 경우 기기의 LCD는 자동으로 꺼지게 된다.

 

 

상단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동영상과 사진이 하나로 관리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동영상 파일의 경우 필름 모양의 테두리가 보이기 때문에 구별하는데 어려움은 없다.) 동영상의 경우 얼마전 리뷰를 진행했던 FULL HD 캠코더와는 다소 화질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UCC나 단순 감상용으로 사용 하기에는 전혀 무리없는 수준이며 60fps를 지원하여 끊킴없이 재생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이 제품은 디지털 카메라로 캠코더와 동영상 퀄리티를 비교할 생각은 없다. 동급의 디지털 카메라 들과는 비교되지 않을 정도로 만족스러운 동영상 퀄리티를 보여주는 제품으로 사진과 동영상 촬영을 모두 만족 시킬 수 있을 만한 제품이라 생각된다.

 

 

최대 해상도로 사진을 촬영한 후 리사이즈 작업을 진행한 이미지로 다른 제품들에 비해 다소 소프트 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대부분의 사진을 AUTO로 촬영 했기 때문에 발생한 현상이 아닌가 생각된다.) 원색의 만족스러운 편이며 왜곡 현상도 전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회전 LCD를 지원하는 제품으로 자유로운 앵글로 사진 촬영이 가능한 것이 무척 인상적이었으며 포커스도 정확하게 맞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사진의 퀄리티에 있어 DSLR과 다소 차이를 보이는 부분은 아쉽지만 휴대성이 뛰어나고 자유로운 앵글로 사진 촬영이 가능한 제품으로 최대 4000 x 3000 해상도를 지원하기 때문에 대형 인화 및 웹용 으로 활용하기에 전혀 부족하지 않은 제품이라 할 수 있다.)

 

 

ISO 설정에 따른 사진의 퀄리티를 확인해본 모습으로 800 정도 까지는 리사이즈 작업을 진행할 경우 웹용이나 작은 사진 인화에 무리없는 수준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600 또한 노이즈가 눈에 뛰긴 하지만 웹용으로 활용하기에 큰 무리가 없는 수준이다.)

 

 

기본 지원되는 필터 기능을 테스트 한 모습으로 화장의 경우 별다른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흑백 사진이나 세피아의 경우 눈에 뛰는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ANYO Xacti VPC-CG9 디자인 & 구동 동영상]

 

 

 

최근 UCC가 대세로 자리잡고 있다. (청계천에서 진행되었던 평화촛불행진을 실시간으로 중계하는 것을 보고 무척 놀랐다. 이제 전문가가 아니라 하더라도 동영상을 촬영하고 웹에 업로드 하는 것이 그다지 어렵지 않다. 국내에 모든 인프라가 갖추어 져 있기 때문에..) Sanyo 제품들은 이런 UCC 트랜드에 가장 큰 수혜자가 되지 않을까 예측된다. (동영상 기능에 특화된 제품을 꾸준히 출시하여 사진 및 동영상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제품을 구입하려는 유저들에게 큰 사랑을 받고 있다.)

 

 Xacti CG9은 40만원을 넘지 않은 저렴한 가격의 제품이지만 지원되는 기능을 가격을 뛰어넘고 있다. 640 x 480 의 해상도에 최대 60fps을 지원하여 상업용 촬영을 제외한다면 충분히 만족할 만한 영상을 보여준다. 또한 손떨림 보정기능이나 얼굴인식 기능이 기본 지원되어 편리성을 도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타 제품들이 따라올 수 없는 그립감 또한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라운딩 처리된 디자인은 약간 심플하다는 느낌을 주기도 하지만 귀엽다는 느낌이 먼저 다가와 여성들이 무척 선호하리라 생각된다. (리뷰를 진행한 화이트 컬러 이외에도 핑크컬러로 제품이 출시되어 여심을 사로잡기에 충분하다.)

 

편리하며 빠른 조작이 가능한 것도 큰 장점이 될 수 있으리라 보여지며 그동안 테스트 했던 다른 제품들과 달리 음성의 퀄리티가 뛰어난 것도 인상 적이었다. (LCD 전면부에 장착된 스테레오 마이크의 성능이 무척 만족스럽다.) 또한 SDHC를 완벽하게 지원하는 제품으로 저장용량의 부담없이 동영상 및 사진 촬영이 가능한 것도 유저들이 무척 만족하리라 생각된다.

 

하지만 기본 지원되는 악세사리는 상당히 아쉽다. 크래들을 기본 지원하지 않아 마땅히 기기를 놓아둘 곳이 없으며 외부 영상 기기와 연결하거나 충전 할 때도 불편함이 무척 컷다. (하이그로시 마감으로 사용한 제품으로 크래들을 지원하지 않아 스크래치가 생기리라 생각된다.) 또한 다른 제품들과 달리 동영상과 사진 파일이 별도로 정렬되지 않고 함께 보관되어 영상을 재생할 때 무척 복잡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이부분은 펌웨어를 업그레이드 해서라도 분리해야 할 것 같다.)

 

동영상과 사진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는 제품이라 할 수 있다. 저렴한 가격에 다양한 기능과 만족스러운 성능을 보여주는 제품을 구입하려는 유저들이라면 누독 들여도 좋을 만한 제품이라 판단된다.

 

동영상리뷰

HOT REVIEW

LASTEST REVIEW

NOTEFORUM
노트포럼 대표 김원영 사업자번호 : 635-02-00945 주소 : 서울시 용산구 새창로 117, 2층 등록번호 : 서울 아04916 제호 : 영테크
발행·편집인 : 김원영 등록 : 2018.01.09 발행 : 2018.01.09 이메일 : master@noteforum.co.kr
2006-2024 NOTEFORUM. Co. All Rights Reserved.

02-711-2075

월-금 09:00-18:00 / 주말,공휴일 휴무
News 51,893 Review 3,352
2006-2024 NOTEFOR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