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인기가 식을 줄 모르고 있다.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휴대성에 무선 인터넷이 지원되는 장점 때문에 PC를 빠르게 대체해 가고 있다.
컨텐츠 소비 중심의 라이트한 용도로 디바이스를 활용할 경우 스마트폰 이나 대화면의 태블릿PC 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전문성을 요하는 S/W 등을 사용해야 할 경우 모바일 기기로는 사용성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가령 전문적인 사진 편집을 진행해야 한다고 가정해 보자. 모바일 디바이스의 경우 마켓을 통해 사진편집 앱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지만 터치 기반이기 때문에 디테일한 작업을 하기는 힘들다. 그에반해 데스크탑PC의 경우 전문적인 작업을 보장하는 S/W 가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어 사용에 불편함이 거의 없다.
성능면에서도 확연한 차이를 보여준다. 모바일 기기의 경우 성능이 좋아지고 있긴 하지만 아직까지 대용량의 동영상이나 3D 파일 등을 처리할 정도의 퍼포먼스는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이에반해 데스크탑PC의 경우 여유로운 작업을 보장한다. 크기나 휴대성에 큰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완벽한 쿨링 솔루션 구축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극대화 된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번 시간에는 고성능 프로세서인 '스카이레이크'가 전문성을 요하는 S/W에서 왜 필요한지 확인해 볼 생각이다. 그럼 하나하나 살펴보도록 하자.
최고급형 프로세서로 전문작업용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스카이레이크 i7-6700 의 모습으로 4코어 4스레드를 지원하는 Core i5 와 달리 8스레드 지원으로 멀티작업에서 더 큰 효율성을 경험할 수 있으며 터보부스트 작동시 최대 4GHz 까지 속도가 향상되어 더 빠른 속도를 경험할 수 있다.
또한 14nm 트랜지스터 공정으로 제작되어 전력 효율의 상승을 꾀할 수 있다. 높은 속도를 구현하는데 반해 65W 의 낮은 TDP를 지원하는 것은 큰 매리트라 할 수 있다.
여기에 높은 효율을 보여주는 비디오 코덱인 HEVC, H265, x265를 정식 지원해 빠른 인코딩 속도를 경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미디어 코덱 H.264 대비 절반 정도의 용량으로 고효율 인코딩이 가능하다.
스마트 캐시 지원도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장착된 4개의 코너는 통합된 스마트 캐시를 활용해 작업시 공유하기 때문에 원할한 연산을 보장한다.
기존 프로세서와 달리 최신 부품을 사용할 수 있는점도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상단의 벤치마크 표에서 확인할 수 있듯 기본적으로 높은 프로세서 성능을 보여주는 것은 물론 DDR4 메모리를 사용해 DDR3를 사용한 구형PC 대비 높은 성능을 구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스웰의 경우 메모리 스코어가 45000점 정도였다.)
SATA 인터페이스 기반의 스토리지를 사용했던 기존 프로세서와 달리 스카이레이크는 PCIe 인터페이스 기반의 스토리지 사용이 가능하다. PCIe 인터페이스는 읽기/쓰기가 500MB/s 정도에 불과한 SATA 대비 훨씬 빠른 속도를 경험할 수 있는 것이다.
상단의 사진은 i7-6700 프로세서가 장착된 PC의 PCIe SSD 속도를 테스트 한 모습으로 기존에 보아오던 스토리지와는 확연히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스카이레이크 i7-6700 은 기본적으로 높은 성능을 구현해 전문적인 작업에 효율적이며 상단에서 확인한 것 과 같이 빠른 속도를 구현하는 최신 부품들을 함께 사용할 수 있어 전반적인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더 쾌적한 작업이 가능할 것이다.
i7-6700 의 퍼포먼스를 확인하기 위해 간단한 테스트를 진행했다. 상단의 사진은 500MB 용량의 4K 동영상 파일을 인코딩해 시간을 측정한 모습으로 5분 46초가 소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적인 모바일 프로세서가 8분을 훌쩍 넘어가는 것을 감안하면 확연히 빠른 속도차를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테스트 파일의 경우 500MB 라는 비교적 작은 용량의 파일이지만 실제 동영상 편집시에는 GB 단위이기 때문에 시간차는 훨씬 커질 수 있다. 쾌적한 작업을 위한 프로세서 선택은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도 앱을 다운로드 받아 동영상 등을 변환할 수 있지만 최근 대중화된 4K 동영상 편집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높은 화질을 구현하다보면 필연적으로 용량이 늘어나기 때문에 디테일한 편집이 요구되는 것은 물론 시간도 오래 걸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동영상 편집은 물론 RAW 와 같은 고화질 사진편집, 3D 영상 편집 등에서 스카이레이크 기반의 프로세서를 사용할 경우 훨씬 쾌적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높은 휴대성과 활용성을 가진 모바일 디바이스의 대중화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 할 수 있다. 이미 PC로 할 수 있는 많은 작업들을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로 대체하고 있으며 점점 활용성이 높아질 것이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데스크탑PC 만이 할 수 있는 작업은 여전히 유효할 것으로 예측된다. 모바일 기기와 데스크탑용 프로세서간의 성능차이는 여전히 클 수밖에 없으며 주변기기 사용이 자유로운 데스크탑PC의 경우 더 자유로운 작업이 보장되기 때문이다.
상단에서 말씀드린 전문 작업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최근 출시된 스카이레이크 프로세서 기반의 데스크탑PC를 사용한다면 스트레스 없는 쾌적한 작업이 가능하다.
비용 보다는 작업 효율성을 우선시 하는 전문 S/W 사용 유저들이라면 스카이레이크 기반의 데스크탑PC 구성을 권하고 싶다. 속도에서 큰 만족감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김원영 기자 goora@noteforum.co.kr
[디지털 모바일 IT 전문 정보 - 노트포럼]
Copyrights ⓒ 노트포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