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만의 PMP리뷰던가.. T43DIC의 리뷰를 진행한 이후 많은 시간이 지났지만 새로운 제품이 출시되지 않아 PMP 리뷰를 진행하지 못했다. 필자가 PMP사이트를 운영하던 작년과 제작년만 해도 2주에 한 개 정도의 리뷰를 진행하곤 했는데 지금은 2달에 1개의 리뷰를 제작하기도 힘든 상황이 되었다.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더 이상 PMP가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아니라는 것을 수많은 제조사들이 인지 하였으리라 생각한다.
이번에 리뷰를 진행할 뉴미디어라이프의 TAVI 030의 경우 디자인만 봐서는 전작인 TAVI 020과 색상을 제외하고는 별다른 변화를 느낄 수 없다. 현재 PMP가 처한 위기상황에서 디자인까지 동일하게 출시했다면 분명 무엇인가 다른점이 있을 것이다. 이번 리뷰는 포커스는 기기 자체의 성능보다 어떤 부가기능이 더해 졌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좋을 듯 하다.
TAVI 020의 리뷰를 진행한 적이 없어 궁금한 점이 무척많다. 어떤 기능이 내장되어 있을까? 하나하나 살펴보도록 하자.
일반 | 크기 | 25 x 81 x 93mm |
LCD | 크기 :
3.5인치 타입 : 터치스크린 컬러 : 1600만 컬러 TFT LCD |
|
USB & HOST |
USB : 2.0 (Max : 480Mbps) |
|
HDD | 30GB / 60GB | |
인터페이스 | 조그 / 터치패드 / 버튼 / 터치스크린 | |
멀티테스킹 | 오디오, 라디오 - 포토뷰어, E-BOOK, Etc | |
네트웍 | 100M 이더넷, 무선랜 지원 | |
비디오 | 파일지원 | MPG, AVI, WMV |
코덱 | MPEG 1/2/4,
DivX, Xvid, WMV 9 (720 x 480) WMV 7/8 (480 x 272) |
|
자막 | SMI 지원 | |
5.1채널 지원 | SPDIF 지원 (AC3 5.1채널 지원) | |
오디오 코덱 | MP3, WMA, AC3 | |
오디오 | 지원파일 |
MP3, WMA, OGG(up to Q10), FLAC(추후지원), WAV |
채널 |
Stereo (AC3 5.1Ch down mixing Stereo Out) |
|
주파수범위 |
20Hz ~ 20KHz |
|
EQ |
20개 지원 |
|
3D 효과 | 7개 지원 | |
신호대 잡음비 | 97dB | |
출력 | 내장스피커 : 2W (1W
+ 1W) 헤드폰 : 40mW + 40mW at 16 Ohm |
|
TV연결 | 타입 | NTSC / PAL |
출력 |
Composite / S-Video / Component |
|
포토뷰어 | 지원파일 |
JPEG, BMP, PNG, etc. |
특징 | 파일리스트, 슬라이드 쇼, 썸네일 | |
부가기능 | E-BOOK | 북마크 / TTS 지원 |
전자사전 | KDIC | |
FM 라디오 |
주파수 : 76Mhz - 108Mhz |
|
게임 | 오픈소스 / 플래시 게임 지원 | |
음성녹음 | 저장파일 |
MP3 |
비트레이트 |
192kbps |
|
T-DMB | 외장옵션으로 지원예정 |
☆ 본제품은 테스트 용 기기로 실제 판매 제품과 스펙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FULL KIT의 모습으로 PMP답게 악세사리가 넘쳐난다. (기본팩과 IPTV KIT으로 분류되어 포장되어 있다.) 본체를 비롯하여 이어폰, AV케이블, USB케이블, 전원 어뎁터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전원 어뎁터 젠더, USB HOST어뎁터, 스타일러스 등이 동봉되어 있고 IPTV KIT에는 크래들과 리모콘, 컨포넌트/랜 케이블, 페라이트 코어 등이 포함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5 x 81 x 93mm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PMP의 경우 작다는 것이 결코 장점만으로 부각되지는 않지만 다른 제품들과 달리 한손에 쏙 들어오는 크기로 LCD 크기에 상관없이 휴대성을 중요시 하는 사용자라면 무척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디자인에 대해서는 상당히 냉정하게 평가하곤 하는데 이 제품은 좀더 슬림했으면 하는 아쉬움을 제외하고는 디자인 부분에 별다른 불만이 없다. 하이그로시 UV광택 마감과 블랙 컬러는 고급스러움을 높여주고 있으며 각각의 단자, 버튼의 배치는 무척 이상적이라 할 수 있다. (여성들이 사용하는 화장품 케이스를 연상시킬 정도로 아름답다.)
대부분의 PMP와는 달리 폴더형으로 제작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단에 로고가 세겨진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좌측에는 외부 LCD가 설치되어 날짜/시간/배터리 상태 등의 확인이 가능하며 재생되는 컨텐츠의 제목을 확인할 수 있다.
1600만 컬러를 지원하는 3.5인치 TFT LCD가 채용된 것을 알 수 있다. 터치스크린을 지원하기 때문에 기기의 조작은 상당히 간편하며 선명도 또한 만족 스럽지만 LCD의 무늬가 눈에 보이기 때문에 상당히 신경이 쓰인다. (다른 제품과 비교해 보았을 때 LCD는 보완해야 할 부분이 많다.)
@ 터치스크린을 적용 하였지만 현재는 사용이 한정적이다. (전자사전 에서만 사용가능) 추후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통해 완벽한 사용이 가능하다고 한다.
기기 전면 버튼부의 모습으로 무척 간결하게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중앙의 십자버튼을 통해 각종 기능을 손쉽게 컨트롤 할 수 있으며 메뉴/사운드 효과/홈/뒤로가기 와 같은 꼭 필요한 버튼만이 부착되어 기기의 컨트롤이 무척 간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눈에 뛰는 것은 상단 사운드 버튼과 메뉴버튼 사이에 있는 터치패드로 메뉴이동이나 설정을 무척 빠르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 (간결한 버튼구조와 터치스크린 지원으로 기기를 컨트롤 하는 것이 무척 손쉬운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단의 사진과 같이 한손으로도 충분히 기기를 컨트롤 할 수 있었다.)
기기 하단부의 모습으로 마이크가 설치되어 음성녹음이 가능하며 RESET버튼이 부착되어 기기의 오작동시 활용할 수 있다. 중앙에는 24핀 단자가 설치되어 동봉된 악세사리를 이용하여 기기를 충전할 수 있으며 통신 입출력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기본 제공되는 전원어뎁터가 5V였기 때문에 핸드폰 충전기를 사용해 보았다. 예상했던 것 처럼 원할하게 충전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기 좌측의 모습으로 이어폰 및 AV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단자와 전원 및 구간반복을 지원하는 버튼이 부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볼륨조절 및 재생관련 조그 다이얼이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뛰어난 음질을 제공하는 스피커가 양쪽에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면의 떨림이 느껴질 정도로 박진감 넘치는 사운드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볼륨을 최대로 했을 때 다소 노이즈가 들리는 것이 아쉽다.)
기기 우측의 모습으로 좌측과 마찬가지로 스피커가 부착되어 있으며 HOLD 버튼과 동작 LED 가 부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단에는 데이터 전송 및 HOST 기능을 위한 USB단자가 설치되어 있으며 무선랜카드를 장착할 수 있다.
기기 뒷면의 모습으로 하단에 고무패드가 설치되어 있으며 스트랩 연결고리가 설치되어 스타일러스 팬이나 무선랜카드를 연결할 수 있다. (사진과 같이 굴곡을 주었기 때문에 그립감의 향상도 기대할 수 있으며 시야각 확보에도 유리하다.)
020과 같이 내장 배터리가 사용된 것은 다소 아쉽다. 기기의 사용시간이 다른제품과 비교하여 그다지 길다고 할 수 없기 때문에 장시간 기기를 사용할 경우 외장 배터리팩을 구입해야 할 듯 하다.
'귀엽다 앙증맞다.' 이런 단어를 PMP에 적어본 적이 없다. 하지만 030 모델에는 무척 어울리는 단어들이 아닌가 생각된다. 한손에 들어오는 컴팩트한 사이즈로 4.3인치 와이드 LCD 로 제작된 다른 기기들에 비해 휴대가 무척 간편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여성분들에게 사랑을 받을 만한 크기와 디자인이 아닐까 생각된다.)
파우치를 비롯하여 사용설명서, USB케이블, AV케이블, 전원어뎁터, 이어폰 등 다양한 악세사리가 동봉된 것을 알 수 있다.
TAVI 030의 핵심적인 기능이라 할 수 있는 ON DEMAND를 사용하기 위한 IPTV KIT의 모습이다. 전용 DOCK을 비롯하여 리모콘, COMPONENT 케이블, 랜케이블, 페라이트 코어 등이 동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DOCK의 모습이다. 단순한 기기의 거치/충전 용도 이외에도 S-Video, OPTICAL 단자를 통한 외부 기기연결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V테스트 시 다시 알아보도록 하자.) 전면에는 적외선 수신부와 전원LED가 부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USB단자가 설치되어 무선랜 연결이나 HOST기능 사용이 상당히 간편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용 무선 리모콘의 모습이다. IPTV나 동영상 감상, DMB 시청 시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별도로 구매가 가능한 무선랜카드와 아머케이스의 모습이다. 전용 DOCK을 이용한 유선랜의 사용뿐만 아니라 무선랜의 사용도 가능하여 보다 편리하게 IPTV를 즐길 수 있다. (예약판매 기간동안 번들로 제공되던 악세사리이며 예약판매가 끝난 현재에서 몇몇 판매처에서는 사은품으로 제공되고 있다.)
무선랜카드의 모습으로 DOCK에 연결이 가능하며 사진과 같이 젠더를 이용하여 기기에 직접 연결 할 수 있다. (보호커버 까지 깔끔하게 마무리 할 수 있도록 제작된 센스가 돋보인다.)
전용 아머케이스의 모습으로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두껍고 투박한 디자인이 아니며 상당히 얇기 때문에 케이스를 장착 하여도 두꺼워진다는 느낌은 전혀 받을 수 없었다. (착탈이 상당히 간편한 것이 인상적이다. 속옷 광고에 보면 나오는 문구 중 '한 듯 안한듯' 이란 문구가 떠오를 만큼 완벽한 일체감을 자랑하고 있다.)
기기의 디자인 및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에는 어떤 기능이 내장 되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메인 UI는 총10개의 대메뉴로 구성 되었으며 EXTRA 메뉴에는 다양한 부가기능이 내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ON DEMAND (단팥)가 무엇일까? 이번리뷰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ON DEMAND (단팥)를 비롯하여 내장된 다양한 기능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펌웨어 업그레이드 전의 UI 이기 때문에 약간 다른점이 있을것이다.)
|
|
|
|
음악 재생이 가능한 음악메뉴의 모습으로 사진과 같이 폴더 메뉴를 기본 지원하기 때문에 DB방식을 사용하지 않는 유저들이라도 쉽고 편하게 음악을 감상할 수 있다.
|
|
|
|
|
OGG파일도 원할히 재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설정 메뉴나 전면에 부착된 사운드 설정 버튼을 통해 보다 빠르게 TAVI의 음장 시스템인 Sound Palette 설정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음악 재생시 파일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음악에 맞는 EQ를 설정하는 Smart EQ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다른 PMP와 달리 음질에 대해서는 상당한 기대를 가지고 테스트를 진행 하였다. 미세한 효과음을 상당히 디테일하게 잡아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음장설정 메뉴가 워낙 많다보니 자신이 스타일에 맞는 음색을 선택하는 것이 무척 용이 하였다. (음질도 뛰어나며 기기가 상당히 작기 때문에 필자와 같이 HDD형 MP3를 원하는 유저들에게 무척 좋은 선택이 되리라 생각된다. 자동으로 EQ를 설정해 주는 Smart EQ도 무척 인상적이다.)
|
|
|
|
|
동영상 재생이 가능한 비디오 메뉴의 모습으로 테스트를 위해 저장했던 MP4파일은 재생되지 않았지만 나머지 파일 (avi, mpg, mpeg, wmv)들은 문제없이 재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터치스크린의 작동이 한정적이지만 버튼부에 장착된 터치패드를 통해 손쉽게 구간 이동이 가능하며 MUSIC 메뉴와 같이 사운드 설정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화질에 대한 불만은 크게 느낄 수 없지만 와이드로 제작된 동영상의 경우 화면에서 짤리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답답한 감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단순 동영상 재생에 있어 3.5인치 LCD는 큰 약점이 될 수밖에 없으리라 생각된다.)
|
|
|
|
|
설정 메뉴의 모습이다. 북마크 설정 및 자막 설정이 가능하며 컬러조정, 화면조절이 가능하다.
필자가 리뷰를 쓰면서 항상 이야기 하는 것 중 하나가 남들과 달라야 한다는 것이다. 이번에 이야기 할 ON DEMAND 메뉴는 현재 TAVI 030만이 가지고 있는 기능으로 추후 PMP업계에 전반적으로 확산 될 수 있을 만한 기능이라 생각된다. 도대체 무슨 기능이기에 서론이 이리도 길단 말인가.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자.
@ 모든 테스트는 사진과 같이 무선랜을 연결하여 진행하였음을 알려 드립니다.
하나로 통신의 하나TV를 한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자기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방송을 시청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보안 프로그래머로 일하며 주말 밖에는 TV를 볼 수 없는 지인이 무척 유용하게 활용하고 있다. ON DEMAND는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 무선랜 환경이 조성된다면 기기를 휴대하면서 원하는 방송을 볼 수 있는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상단의 사진은 단팥을 실행한 모습으로 메인화면을 통해 공지사항이나 새로운 컨텐츠를 표시해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유저들이 많이 이용하는 컨텐츠 들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하단 메뉴바의 모습이다. 마이박스나 홈 메뉴를 통해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나 구매한 컨텐츠 등의 확인이 가능하며 태크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관련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사진과 같이 영화/TV방송/뉴스 등으로 컨텐츠를 분류해 보다 편하게 관련 컨텐츠를 찾아 감상할 수 있다.
무한도전과 함께 꼭 시청하는 프로그램인 미녀들의 천국을 시청하기로 하고 관련 카테고리로 들어가 보았다. 사진과 같이 회별로 등록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접속하니 프로그램 관련 정보가 표시되며 구입하기 버튼이 활성화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단의 사진과 같이 사용기간 별 과금체계가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구매버튼을 누르니 정상적으로 구매가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잇었다.
900메가 정도 되는 파일을 기기에 다운로드 받고 있는 모습이다. 다운로드 중 재생을 지원하지 않아 제조사에 문의해 본 결과 4월 말 경 지원된다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PMP에서 동영상을 재생하는데 1시간 기준으로 900MB 라면 좀 과하다는 생각이 든다. 용량을 차별화 하여 유저들로 하여금 선택의 기회를 제공해야 되지 않나 생각된다.)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를 실행한 모습이다. 파일 용량이 커서 그런지 무척 깨끗하게 재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정도 퀄리티라면 동영상을 감상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으리라 생각된다. (필자가 좋아하는 사오리는 특별히 2장을 넣어주었다. ^^;)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는 중간에 동시 다운로드가 가능한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또다른 컨텐츠를 구입해 보았다. 하지만 동시에 다운로드는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다운로드가 자동으로 예약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운로드 후 재생해 본 결과 별다른 문제없이 재생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컨텐츠의 다운로드 테스트를 진행하였지만 별다른 문제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Danpod Player 를 실행한 모습으로 필자가 다운로드 했던 목록이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기에서 다운로드 받을 파일을 PC에 저장하고 Danpod Player 에서 실행되는지에 대해 테스트를 진행 하였지만 필자의 기대와는 다르게 상호 호환이 안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는 유료이기 때문에 기기 뿐만 아니라 Danpod Player 에서도 원할히 재생되야 한다는게 개인적인 생각이다. 빠른 업데이트를 기대해 본다.)
이상으로 간단하게 ON DEMAND 테스트를 진행해 보았다. 별다른 문제없이 원할히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는 것이 만족스러웠으며 컨텐츠의 양만 늘어난다면 경쟁력은 충분히 있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제품을 등록하는 과정이 무척이나 복잡하다. 초보자도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조치가 이루어 져야 할것으로 보인다. (필자가 테스트를 진행하는 동안 총 4번의 펌웨어 업그레이드가 이루어 진 것으로 보아 완성도 높은 제품을 출시하려는 노력을 옅볼 수 있었다. 유저들이 제품을 받아 보았을 때 별다른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힘써주길 바란다.)
|
|
추후 DMB KIT을 구입하여 지상파 DMB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기기의 가격을 생각한다면 기본으로 제공되거나 아예 기기에 DMB칩을 내장했으면 좋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오픈소스를 기본 지원하여 기기의 확장성을 높인점은 무척 만족스럽다. (꼭 테스트 해 보고 싶은 메뉴 중 하나였지만 부득이한 사정으로 테스트를 진행하지 못했다.)
|
|
|
|
이미지를 감상할 수 있는 사진 메뉴의 모습이다. 사진과 같이 썸네일을 지원하여 사진 확인이 무척 간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3000픽셀 이상의 원본 사진도 원할히 재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HOST기능을 지원하기 때문에 활용도가 크리라 생각한다.)
|
|
|
|
|
최대 5배 까지 확대가 가능하며 깨짐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디지털카메라를 사용하는 유저들이라면 사진확인이 무척 용이하리라 생각된다. (JPG파일 뿐만 아니라 니콘의 RAW파일인 NEF파일도 재생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약간의 깨짐현상이 발생하긴 했지만 추후 보완된다면 활용도가 무척 크리라 보여진다.)
|
|
|
|
|
상단에 말씀드린 확대기능 뿐만 아니라 회전 기능도 지원하며 슬라이드 쇼를 지원하여 손쉽게 사진을 감상할 수 있다. (월페이퍼 설정이 각 메뉴별로 가능하여 자신만의 스타일로 기기를 꾸밀 수 있다.)
|
|
|
|
|
필자가 테스트를 진행하며 가장 흥미를 느꼇던 eBOOK 메뉴의 실행 모습이다. 1MB이상의 파일도 원할히 재생되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가독성도 뛰어나 글을 읽는데 별다른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다.
TAVI 030 에는 다른 제품에서 볼 수 없는 TTS라는 기능이 내장되었다. 음성읽기 모드로 설정한 후 버튼을 누르면 텍스트를 사운드로 변형해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다소 어색한 컴퓨터 아가씨의 음성이지만 필자 개인적으로는 무척 신기했으며 상황에 따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이라 생각된다.
|
|
설정메뉴의 모습으로 TTS기능 사용 및 북마크 설정, 자동스크롤, 글자크기 설정이 가능하다.
|
|
다양한 부가기능이 내장된 부가기능 메뉴의 모습으로 사진과 같이 실생활에 많이 사용되는 5가지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
|
|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시계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알람 기능이 제공되어 자신이 원하는 음악을 들으며 아침을 맞이할 수 있다. (물론 음악지정이 가능하다.)
|
|
|
FM라디오의 실행 모습으로 이어폰을 꽂아 두어야 사용이 가능하다. 오토스캔 및 프리셋 기능을 제공하며 라디오 방송의 레코딩도 가능하다.
|
|
녹음 메뉴의 모습이다. OK바튼 하나만으로 손쉽게 음성녹음이 가능하며 노이즈 없이 깨끗하게 녹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
|
팜 PDA에서 사용되는 KDIC을 내장하였다. 다른제품과 달리 제조사에서는 사전을 제공하지 않으며 공간만을 제공하여 사전컨텐츠를 사진과 같이 다운로드 받아 저장후 사용해야 한다. 좀 귀찮을 수도 있지만 다양한 사전을 다운로드 받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확장성은 뛰어나다 할 수 있다. (KDIC용 pdb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폴더에 복사하면 된다.)
|
|
|
HOST 기능을 테스트 하기 위해 사진과 같이 USB메모리를 연결 하였다. 하단의 사진과 같이 이동식 디스크로 정확히 인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복사, 이동, 삭제가 가능하였다. (USB HOST 2.0을 지원하여 외부기기 연결시 빠른 속도를 기대할 수 있다.)
|
|
|
기기의 전체적인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SETTING 메뉴의 모습으로 사진과 같이 다양한 메뉴가 준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
|
무엇보다 인상적인 것은 펌웨어 업그레이드 메뉴였다. 다른 제품들과 다르게 기기를 네트웍으로 연결할 후 OS업그레이드를 실행하면 자동으로 최신 펌웨어를 다운로드 받아 업그레이드를 진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별거 아니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동안 수많은 PMP의 리뷰를 진행해 본 필자의 입장에서 본다면 대단히 편리한 기능이라 생각된다.)
|
|
|
|
|
|
|
|
사진만 봐도 충분히 이해가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유무선 네트웍 설정을 비롯하여 화면/사운드/전원 설정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
|
|
무선 네트웍을 설정한 모습이다. 현재 사무실에서 잡히고 있는 무선 신호가 검색되며 연결하게 되면 상단에 아이콘이 표시되며 IP 나 Gateway 등이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AVI 030 은 다른 제품과 달리 AV기기와의 연동에 특히 신경을 쓴 제품이기 때문에 별도의 AV기기와 연결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사진과 같이 AV리시버와 LCD TV에 연결하여 원할하게 작동 하는지 알아보았다.)
사진과 같이 영상은 상당히 만족스러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PMP의 경우 대부분 컴포지트 나 S-Video 단자만을 지원하는데 비해 030 은 컴포넌트를 지원하고 있다. 대부분의 동영상을 깨끗한 화면에서 즐길 수 있었으며 하단의 사진과 같이 단팥을 실행하는데도 별다른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사진과 같이 리시버와 기기를 옵티컬로 연결 했음에도 불구하고 AC3를 원할하게 재생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AC3가 적용될 경우 상단에 파란불이 들어오게 된다. 5개의 AC3파일을 재생해본 결과 동일한 증상이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현재 리뷰를 진행하고 있는 제품이 테스트용 제품이기에 아직 원할한 작동이 되지 않는다 생각된다. 빠른 수정을 기대해 본다.
제조사 스스로 이 제품은 PMP가 아니라고 말하고 있다. 그럼 도대체 정체가 무엇이란 말인가? PMP는 다른 디지털 기기와 다르게 성능만 가지고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는 힘든 제품이 되어 버렸다. 현재 막강한 성능을 가지고 있는 최신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지만 아직도 코원의 A2나 맥시안의 T600등을 구입하려는 유저들이 많다. 그이유는 다름아닌 컨텐츠의 힘이라 할 수 있다. 두 제품모두 '메가스터디' 라는 인터넷 강의를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수요층이 생긴 것으로 판단되며 그동안의 PMP 제품군의 흐름을 볼때 1년 이상 지속적으로 마케팅을 하고 싶다면 킬러 컨텐츠의 지원은 필수적이라는게 개인적인 생각이다. (필자가 생각하기에 V43출시 이후 그다지 획기적이라 할 수 있는 제품은 나오고 있지 않는 것 같다. 유저들은 기존 제품들이 동영상 재생에 충실하기 때문에 굳이 최신 제품을 고집하지 않고 어떤 컨텐츠를 지원하느냐에 따라 제품을 구입 하리라 생각한다.)
TAVI 030은 기기적인 스펙으로만 따진다면 현재 최상위 제품군으로 분류할 수 있는 NETFORCE 나 P2 , D900 등과 비교하여 모자란 부분이 많다. 하지만 이 제품을 출시하고 자신있게 마케팅 할 수 있는 것은 다름아닌 IPTV 라는 강력한 기능이 내장 되었기 때문이다. 이 제품을 구입하고 네트웍을 연결하는 순간 그동안 다른 PMP에서 경험할 수 없었던 새로운 세상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무선랜 환경만 구성되어 있다면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실시간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으며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더 이상 동영상을 다운로드 후 저장하기 귀찮아 MP3 용도로 사용하는 일은 없어지리라 생각된다. (IPTV라는 것이 유료화 이기 때문에 당장 대박을 낼 수 있다라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점점 커질 수 있는 시장임에는 분명하다.) 그 이외에도 오픈소스를 적용하여 확장성이 뛰어난 편이며 지상파 DMB를 지원하여 다음달부터 전국 DMB시대가 열리게 되면 어디서나 DMB를 감상할 수 있다. 또 한가지 펌웨어 업그레이드의 편리성을 칭찬하고 싶다. 유선이나 무선랜에 연결하기만 하면 별다른 다운로드 없이 손쉽게 펌웨어를 업그레이드 할 수 있어 기기를 테스트 하는 내내 번거로움 없이 무척 간단하게 펌웨어를 업그레이드 할 수 있었다.
하지만 020과 비교하여 큰 변화가 없는 것이 무척 아쉽다. 다른 것은 제외 하더라도 디스플레이 부분의 변화는 반드시 필요했다 보여지는데 기존의 3.5인치 LCD가 그대로 채용되어 동영상 감상시 기존 제품에 비해 답답함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또한 내장 배터리를 사용하고 배터리 사용시간이 그리 길지 않기 때문에 외부에서 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조금은 부담스러울 수 있을 것이라 보여진다. (이부분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생각된다.)
얼마전 CES2007 에서 Best Of Innovation 을 수상한 것으로 알고 있다. 해외에서 국내 제품이 인정 받은 것을 보면 무척 뿌듯하다. IPTV의 성공여부는 컨텐츠의 질과 양이 결정할 것으로 보여지며 유저들이 만족할 만한 수준의 컨텐츠를 준비하여 PMP분야에 새로운 획을 그어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