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XIAN D900T

제목 없음

필자가 점쟁이는 아니지만 새로운 제품의 리뷰를 진행하며 시장에서 성공할 지 실패할 지 예측하곤 한다. 아이스테이션의 V43이나 코원의 A2의 리뷰를 진행하며 대박이 날거라 예측했는데 정확히 들어 맞았다. 그에 반해 맥시안의 T600의 경우 필자는 실패를 점쳣던 기억이 난다. 기기의 디자인과 UI 디자인이 전혀 마음에 들지 않았기 때문에 소리소문없이 사라지리라 예측했지만 필자의 예측을 비웃기라도 하듯 큰 성공을 거두었던 기억이 난다. 제품을 판매하는 지인과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어 본 결과 잔고장 없는 높은 기기완성도, 퀄리티 높은 LCD, 메가스터디 지원, 깔끔한 사후지원 등이 성공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600의 성공이후 T700, M800등을 출시하여 좋은 반응을 얻었던 맥시안에서 최신 칩셋을 탑재한 D900을 출시하고 이번에 DMB가 내장된 D900T를 출시하였다. 국내 최초로 DM6441 다빈치 칩을 채택하여 대부분의 동영상 감상이 가능하고 800 해상도 지원으로 보다 선명한 화질을 제공한다고 하니 리뷰를 진행하는 필자의 기대가 무척 크다.

제품의 리뷰가 다소 늦은감은 있지만 보다 안정화된 현 시점에서 리뷰를 진행하는것도 그리 나쁘지는 않을 것이라 생각된다. 하나하나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자.

@ 기기의 리뷰는 최신 펌웨어로 업그레이드 한 상태에서 진행 되었음을 알려 드립니다.

저장용량
30 GB (1.8 인치 HDD), SD / MMC 슬롯
LCD
4.3 인치 WVGA (800 x 480) TFT LCD, 터치스크린 지원
지상파 DMB

Band-III 174~240MHz (DLS 기능 과 녹화 및 녹음 기능은 추후 지원 예정)

비디오재생 파일형식

AVI, MPG, WMV, ASF, DAT, VOB, MP4, TS

비디오형식 MPEG-1, MPEG-2, DivX3.11/4.x/5.x/6.x, XviD, ISO MPEG-4 SP/ASP, WMV7/8 (640 x 480), WMV9 (720 x 480), VC-1, H.264, M-JPEG ※ H.264 baseline profile 지원 (현재, H.264 main profile 지원 안됨)
오디오형식 MP2, MP3, AC3, WMA, OGG, PCM, AAC/AAC+, BSAC, G.726 (현재, DTS 지원 안됨) ※ 현재, WMA 일부 오디오 형식 (WMA 9/9.x/10 professional, voice, lossless) 지원 안됨
비트레이트 (V) MPEG-1: 최대 3Mbps, MPEG-2 : 최대 10Mbps, VOB : 최대 10Mbps, DivX3.11/4.x/5.x/6.x/XviD, ISO MPEG-4 SP/ASP : 최대 8Mbps
비트레이트 (A)

8 ~ 384 Kbps

해상도

최대 1024 x 768 (WMV9 : 720 x 480)

최대 프레임

30 fps

자막형식

SMI

오디오재생 파일형식 MP2, MP3, MP4, WAV, WMA, OGG, AC3, AAC
(현재, FLAC, APE 지원 안됨)
비트레이트

8 ~ 384Kbps CBR & VBR / Q0~Q10 (OGG 비트레이트)

태그

ID3v1, ID3v2 2.0, ID3v2 3.0

이미지뷰어 파일형식

JPG, BMP, GIF, TIF, PNG (현재, RAW 지원 안됨)

해상도

JPG : 1500만 화소, 그 외 : 500만 화소

비디오녹화 파일형식

ASF

비디오형식

ISO MPEG-4 Video v2

오디오형식

MP3

비트레이트 (V)

최대 3Mbps

비트레이트 (A)

128Kbps

해상도

720 x 480

오디오/음성녹음 오디오형식

MP3

개인일정 프로그램

일정관리, 전화번호부, 작업관리, 메모, 기념일, 알람, 계산기, 세계시각, 단위환산, 날씨

전자사전

PowerDic (YBM e4u 영한/한영 사전)

문서뷰어

TXT, DOC, XLS, PPT, PDF, HWP

플래시 뷰어

SWF, DMF 지원

게임

플래시 게임

USB 디바이스

USB 2.0 High Speed

호스트

USB 2.0 High Speed

AV연결
스테레오 이어폰, 내장 스테레오 스피커
내장 마이크 / 고음질 외장 마이크 연결 가능 (옵션)
컴포지트 AV 입력
컴포지트 / S-비디오 / 컴포넌트 AV 출력
- 컴포지트 / S-비디오 통합 케이블 (24핀 케이블)
- 컴포넌트 AV 출력 케이블 (옵션)
현재, SPDIF (Optical / Coaxial) 지원 안됨
TV출력

NTSC(US) 표준 비디오 출력 : 현재, PAL(EU) 지원 안됨

OS

WinCE 5.0

GUI

플래시 엔진을 기반으로 한 플래시 GUI와 비트맵 GUI

배터리 착탈 가능한 리튬-폴리머 배터리 팩 (4000mAh)
외장 AC 충전기 / 어댑터
크기

78(D) x 155(L) x 21.5(W) mm

무게

325g (배터리 포함)

시스템 Win2000, XP, Vista

FULL KIT의 모습으로 그동안 리뷰를 진행했던 PMP와 비교해 볼때 악세사리가 단촐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유는 간단하다. 현재 D900은 다른 제품에서 지원하는 내비게이션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악세사리의 양이 적을 수밖에 없다.)

기기를 비롯하여 전원어뎁터, AV케이블, USB케이블 등이 동봉되어 있으며 스트랩, 이어폰, 사용설명서, HOST케이블이 기본으로 제공된 것을 알 수 있다.

78 x 155 x 21.5 mm의 크기와 325g의 무게를 가지고 있다. 얼마전 TAVI030의 리뷰를 진행해서 그런지는 몰라도 좀 크다는 느낌을 받을 수밖에 없다. 대세가 4.3인치 이기 때문에 크기를 줄이는 데는 한계가 있겟지만 좀더 슬림하고 좀더 가벼웠으면 좋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주머니에 넣고 다니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리라 생각한다.)

기기의 디자인은 점점 발전하는 것 같아 흐믓하다. T600은 개인적으로 디자인을 별로 고려하지 않은 제품이라 생각하는데 M800에 이어 D900T는 상당히 많은 부분에서 신경을 쓴 흔적을 느낄 수 있다. 하이그로시 UV코팅의 경우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는데는 더할나위 없이 좋은 소재지만 지문등으로 인한 오염으로 잔손이 많이가곤 한다. D900T의 경우 T43과 비슷한 고무재질의 마감으로 기기오염의 걱정을 덜 수 있으며 고급스러운 느낌도 살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면의 각 버튼부도 기기를 컨트롤 하기 상당히 용이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뒷면 또한 무척 깔끔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동안 가지고 있던 맥시안 디자인에 대한 편견이 사라지는 순간이다.)

기기 전면의 모습으로 터치스크린을 지원하는 1600만 컬러 WVGA LCD가 채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800 해상도를 지원하여 다른 제품과 확실히 차별화 되는 선명한 영상을 구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광시야각을 지원하여 더 이상 시야각으로 인한 불편함은 느낄 수 없다. (AMOLED정도는 아니지만 거의 시야각을 느낄 수 없었다. 디스플레이는 상당히 만족스럽다.)

전면에는 조그다이얼을 비롯하여 다양한 버튼과 리모콘 수신부가 부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양손으로 기기를 잡았을 때 버튼이나 조그다이얼 컨트롤이 상당히 쉽다.) 하단에 외장 스피커가 탑재되어 이어폰 없이도 기기를 사용하는데 큰 문제는 없다. (다양한 종류의 음악을 저장하고 테스트를 진행해 보았다. 볼륨을 최대로 했을 때 약간의 노이즈가 발생하기는 했지만 고음에서의 찟어지는 사운드는 느낄 수 없었으며 기기에 진동이 느껴질 정도로 풍성한 사운드를 들려주었다.)

기기 상단의 모습으로 SD Card 슬롯과 상태표시 LED, 마이크, HOLD기능을 지원하는 전원 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ard Slot에는 슬라이딩 커버가 설치되어 다른 제품처럼 일일이 커버를 열 필요없이 손쉽게 SD Card를 장착할 수 있으며 (30GB HDD가 내장 되었기 때문에 용량의 확장용 이라기 보다는 데이터 백업용으로 생각된다.) 내장마이크가 설치되어 음성녹음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단의 전원스위치는 단순 홀드기능 분만 아니라 스크린토글 기능까지 지원하여 음악을 감상할 경우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다. (단 설정메뉴에서 지정해 주어야 한다.)

기기 하단의 모습으로 AV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I/O단자가 설치되어 있으며 외부기기 연결시 화면출력을 선택할 수 있는 LCD/TV 선택 스위치가 부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기 좌측의 모습으로 스트랩을 연결할 수 있는 스크랩고리와 이어폰단자, 외장마이크 및 광출력 단자가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USB단자가 설치되어 PC와의 데이터 전송 및 외부 기기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백업 받을 수 있는 HOST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USB HOST 2.0을 지원하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백업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진에 보이는 전원입력단자를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USB케이블을 PC와 연결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기기 우측의 모습으로 별다른 단자는 부착되어 있지 않으며 상단에 스타일러스 펜과 DMB 안테나가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은 사진과 같이 상당히 작고 귀여우며 기기를 컨트롤 하는데 별다른 어려움이 없다.)

지상파 DMB를 위한 안테나의 모습으로 총 6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도 조절이 무척 손쉽다. (안테나의 길이는 약 24cm이며 DMB를 테스트 해 본 결과 수신율은 무척 양호하였다.)

기기 뒷면의 모습으로 거치대가 설치되어 장시간 동영상을 감상할 때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다. 4000mAh의 착탈식 리튬 폴리머 배터리가 채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뒷면의 홀에 단자가 부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설명서에 나와있지 않아 확답을 드릴 수는 없지만 외장 DMB안테나를 설치하기 위한 단자가 아닌가 생각된다.

다양한 제품과의 크기비교 모습이다. 일반적인 4.3인치 제품들과 비교한다면 그다지 크다는 느낌을 받을 수 없으나 좀더 작게 만들었으면 좋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은 있다. (사진과 같이 한손으로 기기를 컨트롤하기는 어려우며 두손으로 잡았을 때 훨씬 안정적이었다.)

악세사리의 모습으로 AV케이블 및 USB케이블, 핸드스트랩, 이어폰, 사용설명서 등이 동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핸드스트랩이 상당히 고급스러우나 사용설명서를 좀더 디테일하게 제작했으면 한다. 필자는 사용설명서를 통해 많은 정보를 알고 싶었으나 너무 기본적인 내용들로만 채워져 있다.)

기기의 디자인은 필자의 기대 이상으로 만족스러웠다. 그럼 이번에는 어떤 기능들이 내장 되었는지 알아보자.

필자가 가장 인상깊게 보았던 부분은 다름아닌 메인 UI 디자인이다. 복잡하지 않으면서도 상당히 세련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직관적으로 구성되어 메뉴 선택이 무척 간편하다. 개인적으로는 색상 선택도 무척 적절하다 판단되며 최신 제품다운 분위기를 UI를 통해 그대로 느낄 수 있다. 총 6개의 대메뉴가 준비되어 있으며 유틸리티 메뉴에는 다양한 서브 메뉴가 준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존 T600이나 M800와 비교하여 훨씬 진보된 UI디자인을 칭찬해 주고 싶다.)

메인UI 의 메뉴기능이 상당히 인상적이다. 사진과 같이 2가지 컬러를 지원하며 (그린 컬러는 꼭 야간투시경을 쓰고 보는 것 같다. 색상의 변화가 필요할 듯 하다.) 중앙 하단의 컨텐츠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바탕화면 지정 기능을 제공하여 자신이 좋아하는 배경화면으로 꾸밀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제품이 기존에 출시된 고급형 제품들과 비교했을 때 차별화된 것은 무엇일까? 바로 기기에 사용된 칩셋이다. PMP라는 기기의 특성 상 칩셋에 의해 코덱지원 유무가 결정되므로 어떤 칩셋을 적용 했는가는 대단히 중요하다. D900T는 국내 최초로 TI사의 DM6441(다빈치 칩)탑재하여 현재 사용자들이 접할 수 있는 대부분의 코덱을 지원하고 있다. (아직까지 완벽하게 안정화 되지는 않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빈치 칩의 진가는 나타나리라 생각한다.)

동영상의 재생 모습으로 원하는 동영상 파일을 선택하여 감상할 수 있다. (북마크 메뉴 제공) 800 해상도를 지원하며 LCD자체의 퀄리티가 뛰어나서 그런지 몰라도 무척 선명하며 다른 제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암부 노이즈나 게단현상도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FULL, ZOOM (화면크기조절기능) 기능도 제공되어 동영상을 감상하기에 무척 편리하였다. (또한 지인의 D900에서 발견되곤 하던 빛샘현상도 발생하지 않았다.)

@ 10여개 정도의 동영상을 테스트 해 보았지만 재생이 되지 않는 동영상은 없었다. 하지만 코덱지원 테스트에 있어 객관적인 자료가 될 수는 없을 듯 하다. 이점 양해 바란다.

다양한 설정메뉴의 모습이다. 반복설정을 비롯하여 재생속도 조절, 자막색상, 영상 밝기 조절 등 동영상 재생에 있어 필요한 대부분의 설정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음악재생 메뉴의 모습이다. 동영상과 마찬가지로 브라우저를 통해 파일을 선택하여 감상할 수 있으며 북마크 및 음악앨범 기능을 제공하여 자신만의 앨범을 만들어 음악을 감상할 수 있다.

비주얼라이제이션 디스플레이 창을 터치하면 제공된 다른 이미지로 변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ID3태그를 지원하여 곡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메뉴버튼을 비롯하여 각종 버튼이 부착되어 무척 편하게 음악을 감상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EQ메뉴가 활성화 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기본적인 기능을 왜 아직까지 지원하지 않는지 의구심이 들 수밖에 없다. 빠른 수정을 기대한다.)

전용 이어폰을 이용하여 음질을 테스트 해 보았다. 과하다 싶을 정도로 강력하고 단단한 저음이 개인적으로는 무척이나 매력적이며 보컬 사운드도 효과음에 뭍히지 않고 귀에 쏙쏙 들어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음의 경우 다소 날카로워 귀를 자극하기는 하지만 전체적인 사운드는 무척 마음에 든다. (외장 스피커와 함께 내장 사운드 또한 만족감이 크다.)

설정 메뉴의 모습으로 재생 및 반복설정이 가능하며 동영상과 마찬가지로 재생속도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3D음장효과 설정이 가능하며 LCD끄기 기능을 지원한다. (설정을 통해 HOLD스위치에서 스크린 토글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음으로 굳이 설정 메뉴까지 와서 LCD를 끌 필요는 없으리라 생각된다.) 동영상과 MP3에서 재생속도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강 등을 시청(청취)하는 유저들이 무척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사진을 감상할 수 있는 PHOTO 메뉴의 모습으로 800 해상도의 장점을 가장 많이 살릴 수 있는 메뉴 중 하나이다. 3000픽셀 이상의 원본 사진의 확인이 가능하며 또렸하고 선명하게 사진을 감상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확대기능을 지원하지 않으며 미리보기 기능도 지원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빠른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생각된다. 또한 RAW파일도 아직까지 지원하지 못하는것도 단점이라 생각된다. 필자와 같이 대부분 RAW로 촬영하는 유저들을 위해 하루빨리 업데이트가 이루어 졌으면 한다.)

슬라이드 쇼 기능 및 시간설정이 가능하며 LCD에 메뉴화면의 디스플레이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배너타이머를 지원한다. 또한 바탕화면 지정 기능을 지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작은 기기를 처음 켤때 나타나는 배경화면이다. 바탕화면 설정시 800 x 480으로 리사이즈 후 적용하기 바란다.)

D900에 DMB기능을 내장한 제품이 D900T 이다. 사진과 같이 DMB기능을 원할하게 지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필자가 테스트 하는 내내 들고다니며 DMB테스트를 진행 하였다. 실내와 야외를 가리지 않고 수신이 원할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수신율을 나타내는 그래프가 없어 조금은 답답하였다. DMB수신율에 대한 걱정은 접어도 좋으리라 생각한다.)

사진과 같이 다양한 해상도로 시청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DAB의 경우 DLS 및 JSS를 지원하지 않아 사진과 같이 상당히 맹숭맹숭 하다. 빠른 업데이트를 기대한다.

설정메뉴의 모습으로 각종 채널검색 및 배너타이머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하단의 빨간색 버튼을 이용하여 녹화가 가능하지만 아직까지는 지원하지 않고 있다.)

다양한 부가기능을 모아놓은 유틸리티 메뉴의 모습으로 사진과 같이 하단에 소메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DOCUMENT 메뉴에서는 각종 오피스 파일을 확인할 수 있다. 사진과 같이 XLS, PPT, PDF, DOC, HWP등 다양한 파일을 모두 재생하며 확대 기능을 지원하기 때문에 디테일한 문서의 확인도 가능하다.

플래시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파일의 용량이 클 경우 원할하게 재생되지 않지만 사진과 같이 간단한 게임등은 원할히 재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설정 메뉴가 유틸리티에 들어있는 것이 다소 의외지만 컨트롤 하는데 있어 큰 불편함은 없다. 사진과 같이 시스템의 정보확인 및 설정이 가능하며 화면/전원설정 및 디바이스 설정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디바이스 설정은 하단의 AV테스트 시 사용하게 된다.) 또한 펌웨어 버전 확인 및 업데이트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최신 PMP답게 전자사전을 기본 지원하고 있다. YBM의 전자사전을 채용 하였으며 터치스크린을 지원하여 단어검색이 무척 간편하다. (단어장 기능을 지원하며 다양한 옵션을 통해 보다 편리하게 전자사전을 사용할 수 있다.)

개인정보 관리를 위한 다이어리 기능을 제공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사진과 같이 투데이 메뉴 뿐만 아니라 연락처, 일정, 작업, 메모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구메뉴를 이용하여 계산기, 단위환산 등이 가능하다. (PDA의 최대 장점이라 할 수 있는 개인정보관리 기능을 완벽하게 지원하고 있다.)

이 제품은 WIN CE를 OS로 사용하고 있다. 미처 필자가 다루지 못했지만 기존 기능 뿐만 아니라 다양한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플래시 기능에서 뿐만 아니라 사진과 같이 별도의 게임 메뉴를 제공하고 있다. (다양한 게임이 내장되어 심심풀이 용으로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내장마이크 및 마이크를 별도로 장착하여 음성을 녹음할 수 있으며 오디오 및 비디오 녹음(녹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동봉된 AV케이블을 이용하여 레코딩을 할 수 있다.)

파일 메니져의 실행 모습이다. 파일관리를 손쉽게 할 수 있으며 SD Slot 및 USB HOST를 지원하여 데이터의 백업이 상당히 간편하다. (USB 및 HOST 가 2.0을 지원하여 빠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다양한 기기를 연결하여 HOST기능을 테스트 해 보고 싶었지만 현재 지원되지 않고 있다. 빠른 업데이트를 기대한다.)

기기가 광출력을 지원하여 AV테스트를 진행해 보았다. 하단의 사진과 같이 AV케이블의 S-Video단자와 TV를 연결하고 Optical 케이블을 AV리시버와 연결하여 테스트를 진행 하였다. 우선 크래들을 별도로 구입하지 않을 경우 컴포넌트를 사용할 수 없으며 AV단자가 하단에 부착되어 기기를 거치하는 것도 쉽지 않다. AV용 기기로 활용하고자 한다면 크래들을 구입해야 할 듯 하다. (옵티컬 단자의 경우 기기는 원형을 지원하며 사용하는 리시버는 각형을 지원한다. 필자가 사용하는 케이블의 경우 로테이션을 통해 원과 각을 모두 사용할 수 있어 테스트를 진행하는데 별다른 무리가 없었다. 옵티컬 케이블을 구입할 때 꼭 확인하기 바란다.)

컴포넌트로 연결하지 못한 것이 아쉽지만 무척 선명한 영상을 구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설정 메뉴에서 입력하는 소스를 선택하고 (필자는 S-Video) 기기 하단의 스위치를 TV로 바꾸어 주면 원할하게 감상할 수 있다. (하지만 외부 영상으로 설정했을 때 터치스크린을 사용할 수 없어 좀 답답함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빠른 시일안에 전용 리모콘을 출시해 주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사진과 같이 리시버가 원할하게 AC3를 입력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개의 AC3파일을 재생하였는데 별다른 문제없이 5.1채널 사운드를 재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설정메뉴에서 반드시 SPDIF사용으로 맞추어 놓아야 한다.)

기기가 AV OUT을 지원하기 때문에 사진과 같이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보다 박진감 넘치는 사운드로 음악을 재생할 수 있으며 디테일한 사진의 확인도 가능하다. 또한 공중파의 경우 야간에는 방송되지 않기 때문에 DMB기능을 활용하여 새벽 시간에도 TV를 시청할 수 있다. (필자의 부모님이 새벽에 시장에 나가시는데 휴대폰의 AV OUT을 이용하여 가계에 설치된 TV를 활용하시고 있다.)

리뷰를 진행하기 전부터 상당히 관심있게 지켜봐 오던 제품이라서 그런지 별다른 어려움 없이 리뷰를 작성할 수 있었다. D900출시 초기에만 해도 버그가 상당히 많아 아쉬움이 컷는데 최신 펌웨어로 업데이트된 제품이라 테스트를 진행하는 동안 기기 사용에 무리를 주는 버그를 찾아볼 수 없어 만족스러웠다. PMP의 BIG 3 제조사 다운 높은 기기 완성도에 박수를 보내주고 싶다.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것과 버그는 분명히 다른 것임을 알아주기 바란다.)

왜 PMP를 구입하는가? 많은 기능을 지원하지만 PMP의 주 사용목적은 동영상 감상에 있다. D900T는 PMP의 기본적인 기능에 대단히 충실하다. 800 해상도의 WVGA는 필자를 100% 만족시킬 수 있을만큼 선명하며 깔끔한 영상을 구현하고 있다. 또한 국내 최초로 다빈치 칩을 탑재하여 PMP의 최대 적이라 할 수 있는 인코딩 없이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제품이다. 또한 외장스피커나 내장 사운드의 퀄리티도 상당히 뛰어나기 때문에 음질 때문에 MP3P를 사용하는 유저들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기본적인 기능 뿐만 아니라 부가기능 또한 만족스럽다. 지상파 DMB를 지원하는 것은 물론 AV 단자를 제공하여 외부 기기와의 연결이 상당히 간편하며 SD Slot 및 USB Host까지 지원하여 외부 저장장치로써의 역할을 완벽하게 실행할 수 있다. (PMP의 가장 큰 특징인 컨버젼스 기기로써의 만족감이 상당히 큰 제품이다. 좀더 안정화만 된다면 Divx Player나 외부 저장장치 등을 구입할 필요없이 D900T하나로 모두 커버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제조사와 달리 기본 KIT을 출시한 후 업그레이드 된 제품을 출시하는 것이 다소 이색적이다. 제조사의 마케팅에 대해 이러쿵 저러쿵 필자가 관여하고 싶은 생각은 없지만 기존 D900유저들이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지 않도록 조치가 이루어 져야 하리라 생각된다. (D900에 대한 외장 DMB킷이 발매되지 않거나 업그레이드 서비스가 진행되지 않는다면 기존 유저들은 신제품이 출시 되었을 때 맥시안 제품의 구입을 미루게 될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T600의 성공요인 중 큰 부분을 차지했던 메가스터디가 D900T에서는 지원하지 않고 있다. 다른 교육 컨텐츠를 지원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것이 현명한 선택이었는지에 대해서는 추후 제품 판매량이 말해 주리라 생각한다. (개인적으로는 메가스터디를 지원하지 않는 것이 아쉽다.)

이 제품은 현재 진행형이기 때문에 아직 평가를 내리기는 이르다. 하루빨리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힘써야 하리라 생각된다. 현재 다른 제조사에서 다빈치 칩을 탑재한 제품이 출시 된다는 정보를 들었기 때문에 시간이 이대로 흐르게 된다면 칩셋으로 인한 장점이 상당히 반감될 수도 있을 듯 하다. 맥시안이 가지고 있는 유저들로 부터의 신뢰성에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발빠른 대처를 기대해 본다.

동영상리뷰

HOT REVIEW

LASTEST REVIEW

NOTEFORUM
노트포럼 대표 김원영 사업자번호 : 635-02-00945 주소 : 서울시 용산구 효창원로 94, B1 등록번호 : 서울 아04916 제호 : 영테크
발행·편집인 : 김원영 등록 : 2018.01.09 발행 : 2018.01.09 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원영 이메일 : master@noteforum.co.kr
2006-2025 NOTEFORUM. Co. All Rights Reserved.

02-711-2075

월-금 09:00-18:00 / 주말,공휴일 휴무
News 52,634 Review 3,424
2006-2025 NOTEFOR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