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K 모바일의 부도, 모토로라 레이져폰의 대성공으로 인하여 국내 휴대폰 업체는 다소 어두운 분위기가 드리워진 한해가 아닌가 생각된다. 하지만 이런 와중에서도 LG의 일명 초코렛폰이 큰 성공을 거두며 국내 휴대폰의 디자인 경쟁력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리뷰를 진행하는 LB1500은 LD1200의 후속 모델로 최근 휴대폰 디자인에 중심에 있는 "슬림" 이라는 컨셉에 따라 기존 제품과 비교되는 얇은 두께를 자랑하고 있다.
LB1200을 3개월 정도 사용하여 두 기기간의 디테일한 장단점 분석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단순 디자인 업그레이드인지 기능까지 업그레이드 된 기기인지 하나하나 살펴보도록 하겠다.
모델명 | LG-LB1500 |
휴대폰형태 | Swing |
이동통신사 | LGT |
DMB | 지상파 DMB |
카메라화소 | 130만 화소 |
MP3 | 지원 |
동영상 | 지원 |
부가서비스 | 모바일뱅킹 지원 |
색상 | Black |
무게 | 120g |
크기 | 101.6 x 50.5 x 19.8mm |
벨소리 | 64화음 |
LCD | 26만 컬러 TFT LCD (240 x 320) |
연속통화시간 | 200-220분 |
통화대기시간 | 200-250시간 |
FULL KIT의 모습이다. 거치대가 기본 제공되어 LD1200과 같이 별도의 거치대를 구입할 필요가 없이 실내에서 편하게 DMB를 감상할 수 있다. 배터리 (대용량/소용량), 리모콘, 이어폰, 데이터전송 케이블 등이 동봉되어 있지만 LD1200에서 제공되던 TV케이블이 빠져있다. TV OUT 기능이 지원됨에도 불구하고 슬그머니 악세사리가 빠진점은 선뜻 이해가 가지 않는다.
101.6 x 50.5 x 19.8mm의 크기에 120g의 무게를 가지고 있다. LD1200의 23.5mm에 비해 상당히 슬림해진 것을 알 수 있으며 무게또한 25g정도 가벼워 졌다. 기기의 디자인은 주관적인 부분이지만 필자가 생각하기에 기존의 사이버틱한 느낌은 없어지고 약간 밋밋한 디자인으로 변경된 것 같아 아쉬움이 크다.
LD1200과 같은 Swing LCD를 채용 하였으며 보다 부드럽게 LCD창이 돌아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LCD또한 같은 26만 컬러지만 IPS적용 170도 광시야각 LCD를 채용하여 보다 선명해 진 것이 인상적이다.
하지만 하단의 펑션키 배치는 그리 편하지 않다. LD1200에서는 버튼간의 여유가 있어 버튼을 누르는데 전혀 불편함을 느끼지 않았는데 LB1500의 경우 모든 버튼이 붙어있다보니 잘못 버튼을 누르는 경우가 종종 발생 하였다. LD1200에서 단점으로 생각되었던 CLR버튼의 위치가 수정된 점은 만족스럽다.
LD1200에서 단점으로 지적되던 뒷면 스크레치 (LCD를 지속적으로 돌리게 되면 뒷면에 스크레치가 원형으로 생긴다.)를 LB1500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DMB안테나에 대한 개선도 눈에 뛴다. LD1200의 경우 제품의 크기도 클 뿐만 아니라 안테나가 툭 튀어나와 있어 바지 주머니에 핸드폰을 넣을 경우 상당히 거슬리곤 했는데 LB1500에서는 내장 안테나 방식을 적용하여 기기 디자인도 상당히 깔끔해 졌으며 보관도 상당히 용이해 졌다.
안테나의 길이는 13cm이며 전화통화 및 DMB수신에 있어 불편함은 전혀 느낄 수 없었다.
모든 단자캡은 일체형으로 되어있어 캡의 분실위험은 없다. 표준 24핀 충전기를 사용하여 기기를 충전할 수 있고 데이터전송 케이블을 이용하여 사진이나 주소록 등의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는 전면에서 하단으로 이동하였다.
우측의 모습이다. 카메라 버튼을 비롯하여 적외선 포트와 리모콘 연결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통화음량 조절이나 뱅크온 결재, 손전등 기능 사용이 가능한 멀티버튼과 T.FLASH Memory Slot 이 설치되어 있다. 기본 메모리는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별도로 구입하여 사용해야 한다.
뒷면에 모습이다. LD1200에서는 별도의 배터리 커버를 사용하는 내장배터리 방식으로 배터리 교체가 무척 불편 하였는데 이부분은 개선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뱅크온 기능을 지원하여 핸드폰을 이용하여 쉽게 은행 업무를 볼 수 있다.
130만 화소 카메라가 내장되어 있으며 (사진촬영 테스트는 하단에서 진행할 예정이다.) 플래시가 설치되어 어두운 곳에서도 사진촬영이 가능하다. (손전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외장 스피커의 음질은 비교적 만족 스럽다. MP3 테스트 결과 볼륨을 MAX로 했을 때 노이즈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며 깨끗한 사운드를 즐길 수 있었다. 하지만 2개였던 외장 스피커가 1개로 줄어든 부분은 아쉬움이 크다.
LD1200과 가장 차별화 되는 부분! 바로 휴대성이다. 손에쥐고 있어도 전혀 부담을 느끼지 않을만큼 크기나 무게에 많은 신경을 쓴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LD1200과의 비교 모습이다. 사진으로 보기에는 큰 크기의 변화를 느낄 수 없으나 손에 쥐었을 경우 상당한 차이를 느낄 수 있었다.
사진과 같이 배터리의 충전 뿐만 아니라 핸드폰을 거치할 수 있는 전용 거치대가 동봉되어 있다. (충전은 배터리 삽입구 에서만 가능하다.) 실내에서 DMB감상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전용 리모콘의 모습이다. 기존 리모콘에 비해 디자인이 상당히 세련되어 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화통화 및 MP3 / DMB 사용이 가능하며 조작이 상당히 간편하다.
개인적으로 대단히 만족스러운 번들 이어폰이다. 흔히 느낄 수 있는 번들이어폰의 가벼운 사운드가 아닌 묵직하고 퀄리티 높은 사운드를 들려주고 있다. (현재 MP3P용으로도 사용하고 있는데 기존의 3-4만원대 이어폰과 비교하여 전혀 부족하지 않은 사운드를 들려준다.)
사용설명서와 데이터전송 케이블, 핸드스트랩이 포함되어 있다.
LB1500의 다양한 기능에 대해 알아보자. LD1200과 비교하여 UI디자인의 큰 변화는 느끼지 못했다. 메뉴 구성도 대부분 동일하며 몇가지 기능의 추가 및 삭제가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화기능에서는 전화번호부 관리 및 메시지 확인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전화번호부나 메시지는 단축버튼이 준비되어 빠른 검색이 가능하다.)
사진과 같이 다양한 방법의 전화번호 검색을 제공하고 있어 자신의 스타일에 따라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99개의 단축번호 관리기능을 제공하여 보다 쉽게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다.
문자 및 음성 메시지의 전송 및 관리가 가능하며 사진 및 Shot메일의 전송도 가능하다. (문자메시지의 경우 최대 20명 가지 한번에 전송이 가능하다.)
벨소리를 선택할 수 있는 음량 벨소리 메뉴의 모습이다. 벨소리 선택 이외에도 효과음 변경이나 시스템알림음 설정이 가능하다.
총 50개의 벨소리가 기본 내장되어 있으며 멜로디, VOD벨소리 등을 다운로드 받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버튼음, LCD회전음, 메뉴 효과음 등의 설정이 가능하다.
화면설정 메뉴에서는 배경화면 선택 및 시계/달력 화면선택이 가능하며 메뉴 스타일 변경을 할 수 있다.
대기회면/전화올때/전원켤때/전원끌때 등의 상황에서 배경화면을 선택할 수 있고 폰트의 종류와 다이얼 숫자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조명설정 기능을 제공하여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2가지 메뉴방식을 제공하여 스타일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정 및 스케줄 관리를 할 수 있는 일정관리 메뉴의 모습이다.
편하게 일정 및 스케줄을 추가할 수 있으며 메모기능을 제공하여 볼펜과 수첩이 없을 때 핸드폰을 이용하여 간단한 메모를 할 수 있다.
DMB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TV/라디오 메뉴의 모습이다. 방송 청취 뿐만 아니라 동영상 녹화 및 화면 캡쳐 기능을 지원하여 손쉽게 반복시청 할 수 있다.
DMB방송의 시청 모습으로 사진과 같이 전체화면으로 방송의 시청이 가능하다.
화질은 대단히 만족스럽다. (170도 광시야각 LCD의 채용과 Mobile XD 엔진 탑재로 화질이 상당히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수신율 또한 만족스럽다. 타 기기들이 원할한 수신을 하지 못하는 특정 장소에서의 수신율을 비교 했을 때 LB1500이 더 양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하철 6호선 이태원 역에서 대부분의 기기가 DMB 방송의 수신이 되지 않았는데 LB1500은 아무 문제없이 시청할 수 있었다.)
라디오 방송의 모습이다. 문자 방송을 지원하며 진행자의 배경화면 및 사진을 통한 교통정보를 제공한다. (타 기기의 경우 문자방송 (DLS)은 지원 하더라도 비쥬얼 영상 (JSS)은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LB1500은 지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방송보관함에서 녹화나 캡쳐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환경설정 메뉴에서는 라디오 스킨 변경 및 채널검색 기능등을 제공한다.
일정관리 와 같이 일상생활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들이 모여있는 편의기능 메뉴의 모습이다.
알람 및 모닝콜 기능을 제공하며 단위 변환을 쉽게 할 수 있다.
LD1200에서 지원하지 않았던 지하철 노선도 (전국 검색가능)를 내장 하였다. 확대 기능을 지원하며 생각외로 검색이 상당히 간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변역 검색 및 경로를 입력하여 소요시간 및 정거장 수를 확일할 수도 있다.
다양한 부가기능의 모습이다. 계산기/스톱워치/세계시간/손전등/적외선 송수신 기능을 제공한다.
카메라가 내장되어 사진촬영/동영상 촬영이 가능하다. 어떤 장소든지 적정 노출을 빨리빨리 캐치하여 사진을 촬영하는데 큰 불편함을 느끼지는 않았다. 하지만 200만 화소에서 130만 화소로 줄어든 점이나 AF기능이 빠진 것 등은 선뜻 이해가 가지 않으며 상당히 아쉽다.
기본 설정과 고급 설정으로 나누어 각종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기본설정 에서는 플래시/필터/해상도/연속촬영/타이머/저장공간 등을 선택할 수 있으며 고급메뉴에서 화질/화이트밸런스/측광/조도의 선택이 가능하다. 카메라 폰 치고는 상당히 디테일한 설정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환버튼을 이용하여 동영상/특수촬영/ez코드 서비스로의 빠른 이동이 가능하다.
동영상 및 특수촬영 (스티커 사진 및 분활촬영), ez코드/바코드 화면의 모습이다.
촬영한 사진은 핸드폰에서 편집할 수 있다. 사진의 노출 보정이 가능하며 포토샵의 필터 처럼 다양한 효과를 줄 수 있다.
앨법관리 및 촬영음 설정, 설정 초기화 기능 등을 제공한다.
(사진을 누르면 원본을 감상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메뉴를 통해 게임, musicON, 다운타운 기능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레이싱타임과 스도쿠 게임이 기본 내장되어 있다. (다운타운에서 다운로드 받은 게임에 비해 큰 재미를 느낄 수는 없었다.)
musicON프로그램을 이용하여 MP3파일을 변환후 음악을 들을 수 있으며 ez-i를 이용하여 MP3를 다운받을 수 있다.
LD1200에서와 마찬가지로 게임을 다운로드 받아 실행하게 되면 전체화면으로 실행할 수 없다. CP업체들과의 협의를 통해 가로액정 에서도 전체화면을 사용할 수 있도록 조치가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휴대폰 설정 메뉴를 통해 휴대폰잠금, 외부키 제한설정, 지역번호 설정, 언어 설정등이 가능하며 메모리 정보의 확인이 가능하다.
LD1200에서 지원하지 않던 뱅크온 기능을 LB1500에서는 지원하고 있다. 기기 뒷면에 칩을 삽입한 후 서비스 설정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오랜만에 핸드폰 리뷰를 진행 하였다. 기기의 디자인 부분에 대한 분석은 그리 어렵지 않았으나 각종 기능을 분석하는 일은 상당히 고된 작업 이었다. 다른 제품과 달리 리뷰 일정을 맞추는 것이 상당히 힘들었지만 그만큼 보람을 느낄 수 있는 리뷰였다.
LB1500은 LD1200의 마이너 업그레이드 모델이라는 생각이 든다. 기기의 디자인 (제품의 크기)을 비롯하여 LCD의 화질은 많은 발전을 보여 주었고 LCD를 돌리지 않고도 대부분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점 (세로 UI사용가능)은 대단히 만족스럽다. 하지만 카메라 화소수가 오히려 줄어든 점이나 LD1200에서 내장 되었던 전자사전 기능의 삭제, AV케이블을 기본 악세사리에 포함시키지 않은점 등은 기기 사용에 큰 무리는 없지만 실망스런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최근 LG CYON의 디자인이 눈에 뛰고 있다. LV2300을 비롯하여 LB6100, LV4200 등은 심플하고 슬림한 디자인으로 많은 핸드폰 유저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 디자인과 성능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는 Swing 방식의 업그레이드 모델을 기대하며 리뷰를 마치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