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yleaudio CARAT-HD1

 

 

최근 출시되고 있는 메인보드의 90% 이상은 사운드카드를 내장하고 있다. 별도의 비용부담 없이 사운드를 즐길 수 있지만 오히려 예전보다 사운드의 질적인 측면을 고려하지 않게된 것 같아 아쉬운 것도 많다. (물론 예전에 비해 내장 사운드의 퀄리티도 많이 좋아진 편이다. 하지만 다른 부품들과의 간섭 현상으로 음손실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번에 리뷰를 진행할 CARAT-HD1 은 몇 달전 리뷰를 진행했던 UD1과 같이 PC음질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출시된 USB 외장형 사운드카드로 하이파이 오디오 전용 부품을 사용하여 퀄리티 높은 사운드의 구현이 가능한 제품이라 할 수 있다. UD1이 출시된 이후 유저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으며 이번에 출시된 HD1 또한 사운드에 대한 목마름을 해소시킬 수 있는 제품이 되라라 생각한다.

 

다른 CARAT시리즈와 마찬가지로 사운드에 총력을 기울인 제품이다. (멀티미디어 기능 등은 완전히 배제된 제품이다.) 리뷰를 통해 어떤 사운드를 들려주는지 확인해 보도록 하자.

 

 

 

FULL KIT의 모습으로 무척이나 간단한 구성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기를 비롯하여 PC와 연결할 수 있도록 USB케이블을 기본 제공하며 간단한 사용설명서와 러버풋을 제공하고 있다. (USB만 연결하면 자동으로 드라이버가 설치되고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악세사리가 많을 필요는 없다.)

 

 

108 x 75 x 30mm 의 크기로 담배갑과 비교했을 때 전체적으로 5~10mm 정도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좀더 작고 슬림했으면 하는 아쉬움은 있지만 최적화된 사운드를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 아니었나 생각해 본다. 제품의 크기가 그다지 중요한 부분은 아니므로 전혀 단점으로 생각하진 않는다.) 또한 풀 알루미늄 케이스로 제작되어 상당히 세련된 맛이 느껴지며 블랙 컬러가 무척 고급스런 느낌을 주고 있다.

 

 

기기 상판부의 모습으로 제품에 대한 간단한 홍보문구가 프린팅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좀 사대주의적인 발상일 수도 있겠지만 상판부에 영어문장이 써 있으니 무척 고급스러워 보인다.)

 

 

기기 전면부의 모습으로 5.5파이 헤드폰을 연결할 수 있는 Phone 단자가 부착되어 있으며 좌측에는 전/후면 단자를 선택할 수 있는 SELECT 스위치와 전원 LED가 부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UD1에 장착되어 있던 볼륨조절 다이얼이 빠진 것이 무척 아쉽다. 필자 말고도 아쉬워할 유저들이 상당히 많으리라 생각한다.)

 

상단 중앙에는 TCXO라는 문구가 프린팅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을 것이다. "TCXO Hi-Fi USB AUDIO DAC" 이라는 이름답게 TCXO(1.5PPM)와 TXCO전원 전원단이 장착 되었는데 2.5PPM 이하의 TCXO는 고가의 오디오 기기 등에만 기본 체택되며 포커스질감이나 스테이징, 음향배경, 잔향, 순도 등 디테일한 음향효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기기 후면부의 모습으로 인티앰프나 액티브 스피커 등을 연결할 수 있는 RCA단자 (우수한 신호 전송률과 영속성을 위해 금도금 처리되어 있다.) 가 부착되어 있으며 OPTICAL 단자도 기본 지원하는 것이 눈에뛴다. (하이엔드 DAC을 사용하는 유저들을 위해 OPTICAL단자를 지원하는 것이 무척 인상적이다.)

 

특히 UD1에서는 볼 수 없었던 전원입력 단자를 주목하기 바란다. 컴퓨터의 파워 서플라이 등과 완전히 독립된 외부전원을 사용하여 간섭을 최소화 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USB연결 만으로도 기기를 사용하는데 큰 문제는 없다.)

 

 

기기 바닥면의 모습으로 별다른 장치는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별도로 제공되는 러버풋을 사진과 같이 부착하여 보다 안정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제공되는 러버풋은 바닥면의 스크래치 방지를 위한 용도가 아니다. 기기에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안정적인 고정을 통해 혹시라도 있을지 모를 음손실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기기 내부의 모습으로 사진과 같이 기판이 케이스 중앙에 설치되어 외부의 간섭을 최소화 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조사의 말을 빌리면 UD1과 같이 일본의 오스콘, 독일의 버브라운, 독일의 위마 등 하이파이 오디오 전용 부품을 사용하였다고 하며 음질 핵심 부에는 미국의 '비샤이데일(Vishay-Dale) 메탈 필름 저항', '위마'의 필름 콘덴서 최상위 라인 제품 중 하나인 'MKP'콘덴서, 그리고, 실버마이카 콘덴서 등 하이엔드 오디오급 부품까지 투입하여, 하이파이 오디오 기기로서의 출중한 퍼포먼스를 보여준다고 한다.)

 

 

기본 제공되는 악세사리의 모습으로 USB케이블 및 사용설명서, 러버풋이 기본 제공된다.

 

 

기기의 디자인 및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에는 어떤 사운드를 들려 주는지 직접 확인해 보도록 하자. UD1에서 스피커와 직접 연결하여 테스트를 진행해 보았기 때문에 이번에는 PC-AV시스템과 연결하여 테스트를 진행 하였다. (현재 PC와 리시버를 옵티컬로 연결한 후 사운드를 재생하고 있다. AV 제품이기 때문에 퀄리티 높은 사운드를 기대하긴 힘들지만 이 테스트의 목적이 내장 사운드가 얼마나 달라지는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으므로 별다른 문제는 없으리라 생각된다.)

 

 

PC와 HD1을 연결한 모습으로 RCA단자를 사용하지 않고 OPTICAL단자를 사용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멀티채널 출력은 지원하지 않지만 2채널 출력은 완벽하게 지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측 하단의 사진은 장치관리자의 모습으로 USB오디오 장치가 정상적으로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USB 케이블을 연결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드라이버가 설치된다.)

 

필자는 스피커와 리시버가 음장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 별다른 변화가 없으리라 생각했는데 체감할 수 있을 정도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었다. PC로 음악을 들었을 때 발생되는 약간의 노이즈가 완벽하게 제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좀 산만하게 들리던 사운드가 집중되는 현상을 감지할 수 있었다. (저음부가 좀 더 단단해짐을 느꼈다. 또한 그다지 만족스럽지 않았던 각 음의 밸런스가 상당히 만족스럽게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데스크탑  PC와 노트북의 차이점 중 하나로 사운드를 들 수 있다. (노트북은 크기를 중요시하기 때문에 사운드를 강화한 일부 모델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데스크탑 PC에 미치지 못하는 사운드를 재생한다.) 사진과 같이 USB케이블로 두 기기를 연결한 후 전면의 PHONE단자가 3.5파이 변환젠더를 설치하면 일반스피커나 이어폰을 연결할 수 있다. @ 노트북에 부착된 오디오 단자에 이어폰을 연결한 것보다 상단에서 처럼 각각의 사운드가 집중되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기존 내장 사운드와 비교하여 확연한 차이가 느껴짐에도 불구하고 필자의 어휘력이 부족하여 어떻게 표현해야 할 지 좀 난감하다. (사운드 관련 제품들의 리뷰를 진행하는 것은 참으로 힘든 일이다. 변화된 사운드를 말로 설명하자니 머리에서 쥐가 날 것만 같다.)

 

다른 CARAT시리즈와 마찬가지로 이 제품은 PC-Fi용 USB AUDIO DAC' & 'HEADPHONE AMP로 소리에 민감한 유저들까지 만족시킬 수 있을 만한 제품이 되리라 생각한다. 오디오 애호가들의 바램대로 PC와 분리되어 있으며 고급 오디오 제품들에서 볼 수 있는 부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독립된 전원 사용가능, 하이엔드 DAC과의 연계사용이 가능한 제품이기 때문에 사운드면에서는 충분히 만족감을 느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1.5PPM의 TCXO 모듈을 채용한 것도 눈여겨 봐야 될 부분이다.)

 

하지만 상단에서 말슴드린 것과 같이 볼륨조절 다이얼이 부착되지 않은 것은 무척 아쉬우며 10만원 정도의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어 내장 사운드에 만족하고 있는 유저들을 흡수하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대중화가 되기는 쉽지 않은 모델이라 생각한다.)

 

PC의 사운드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소수의 유저들을 위한 제품이라 할 수 있으며 UD1과 마찬가지로 이 제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스피커도 신경서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출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고가형 사운드 카드가 외산인데 비해 이 제품은 기획에서 개발, 생산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국내에서 마친 제품이다. 보다 좋은 소리를 위해 노력하는 모습에 찬사를 보내고 싶다.

 

동영상리뷰

HOT REVIEW

LASTEST REVIEW

NOTEFORUM
노트포럼 대표 김원영 사업자번호 : 635-02-00945 주소 : 서울시 용산구 효창원로 94, B1 등록번호 : 서울 아04916 제호 : 영테크
발행·편집인 : 김원영 등록 : 2018.01.09 발행 : 2018.01.09 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원영 이메일 : master@noteforum.co.kr
2006-2025 NOTEFORUM. Co. All Rights Reserved.

02-711-2075

월-금 09:00-18:00 / 주말,공휴일 휴무
News 52,634 Review 3,424
2006-2025 NOTEFOR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