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를 사용한 지가 20여 년을 넘어간다. (죽기 전까지는 PC를 멀리하는 일이 없을 듯 하다. 그만큼 필자의 삶에 큰 영향을 끼치는 제품이라 할 수 있다.) PC를 처음 사용했던 80년대에는 그린이나 흑백 CRT 모니터만 봐도 가슴이 설레곤 했지만 이제는 크기나 해상도, 선명도, 반응속도 등을 꼼꼼히 따져 모니터를 구입하곤 한다. (다른 PC 부품과는 달리 모니터의 경우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제품이기 때문에 나이를 먹을수록 선택이 더욱 신중해 지고 있다.)
눈에 피로도가 적고 색 재현력이 뛰어나며 계조 표현력이 뛰어난 제품을 선호하는 편이다. 이번에 리뷰를 진행하게 될 AlphaScan 의 프레스티지 J2030D는 과연 필자를 만족시킬 만한 제품일지 궁금하다. (4000 : 1의 명암비와 300cd/m2 의 화면밝기, 5ms의 빠른 반응속도로 포토샵이나 FPS 게임, 멀티미디어 등에서 충분한 만족감을 선사하리라 예상되기는 하지만 아직 테스트 전이기 때문에 단언할 수 는 없다.)
눈으로 계속 보고 있어야 하는 제품이니 만큼 디자인도 무시할 수 없다. 기기의 디자인 및 지원되는 기능, 성능을 각종 테스트를 통해 확인해 보도록 하자.
모델명 | AlphaScan Prestige J2030D |
크기 | 51cm (20인치) |
최적해상도 | 1680 x 1050 (16:10 Wide) |
패널 | TN패널 (최신형 : e-WV II 타입) |
응답속도 | 5ms (G to G) |
입력단자 | D-SUB / DVI |
밝기 | 300cd/m2 |
명암비 | 4000 : 1 |
수평시야각 | 170 |
수직시야각 | 160 |
고정종횡비 | 원터치 고정종횡비 지원 |
20인치 와이드 제품으로 최근 대중화 되고 있는 22인치 제품과는 다소 크기차이가 발생하긴 하지만 해상도가 동일하기 때문에 큰 불편은 없으리라 생각된다. (공간활용성을 높이고 싶은 유저들에게는 장점이 될 듯 하며 필자와 같이 조금이라도 큰 화면을 원하는 유저에게는 단점이 되리라 생각한다.)
기기의 디자인은 기존 알파스캔 제품들과 같이 상당히 만족스럽다. 전면과 측면 베젤 뿐만 아니라 받침대에도 하이그로시 UV코팅을 적용하여 고급스러움과 중후한 느낌을 강조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완성도 높은 마감으로 저가형 제품들과는 확연한 차이를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급형 제품과 저가형 제품의 차이를 화질로만 평가하고 싶지 않다. 밋밋한 디자인과 부실한 마감, 스티커를 붙인 듯한 영문 프린팅 등은 그동안 보아왔던 대부분의 저가형 LCD에서 떠오르는 디자인의 이미지 이다. J2030D는 고급형 제품다운 디자인을 구현한 제품이라 평가하고 싶다.)
기기 전면부의 모습으로 A4용지와 비교한 상단의 사진을 통해 LCD의 크기를 대략적으로 갈음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1680 x 1050 해상도를 기본 지원하는 제품으로 2-3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뛰어두고 작업해도 무리가 없을 정도로 넉넉한 크기를 가진 제품이다.) 또한 J2030D 는 TN패널 (e-WV II 타입)을 탑재한 제품으로 게임 등에서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리라 보여진다. (e-WV II 타입의 TN패널을 탑재하고 있어 시야각 및 색감이 기존 TN패널 제품에 비해 훨씬 뛰어나다.) @ 화질은 테스트 부분에서 자세히 살펴볼 예정이다.
전면 하단부의 모습으로 우측 하단에 OSD 버튼이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총 5개의 버튼이 부착되어 있으며 고휘도 LED가 부착되어 기기의 작동 상황을 손쉽게 파악 할 수 있다. (전원 ON/OFF, OSD 메뉴이동 및 선택, 고정종횡비 등의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기기 후면부를 살펴보도록 하자. 사진과 같이 사방에 통풍구가 설치되어 LCD에서 발생하는 열을 배출하며 중앙에 VESA 규격의 마운트 홀이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J2030D의 받침대는 틸트 기능만을 지원한다. 하지만 VESA 규격의 마운트 홀이 설치되어 있어 피벗 및 엘리베이터를 지원하는 알파스캔 스탠드 및 벽에 걸고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는 암 등을 자유롭게 연결할 수 있다.)
후면 하단부의 모습으로 DVI 단자를 기본 지원하며 D-SUB 및 전원 단자도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우측면에 도난 방지를 위해 켄싱턴 락 홀이 설치된 것도 알 수 있다. (다소 부실해 보이는 단자부. 특히 HDMI 단자의 부재가 무척 아쉽다.)
하단에 설치된 받침대를 살펴보도록 하자. 상단에서 이야기 한 것처럼 테두리에 하이그로시 UV코팅이 적용되어 고급스러운 느낌을 배가 시키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후면에는 케이블클립이 설치되어 깔끔하게 선정리를 할 수 있다.
받침대의 각도조절 범위의 모습으로 대략 30도 정도 기울임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악세사리의 모습으로 사용설명서 및 DVI, D-SUB 케이블, 전원 어뎁터 등이 동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기의 디자인 및 특징을 확인해 보았다. 이번에는 각종 테스트를 통해 시야각, 반응속도, 색 재현력, 명암비 등을 확인해 보도록 하자.
1680 x 1050 해상도를 지원하여 멀티테스킹 작업시 만족감이 상당히 큰 제품이다. 사진과 같이 2개의 창을 동시에 뛰우고 작업을 진행해도 전혀 무리가 없으며 최대 3개 정도의 창은 동시에 뛰어두고 작업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7인치나 19인치 제품을 사용했을 때는 화면이 좁기 때문에 듀얼모니터를 사용하곤 했다. 하지만 J2030D 정도라면 굳이 듀얼모니터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리라 생각된다.)
OSD에서 지원되는 기능을 먼저 확인해 보도록 하자. 총 8개의 메뉴가 기본 제공되는 제품으로 명암비나 색상 등 화질과 관련된 메뉴들이 모두 지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재 DVI로 연결하고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D-SUB 로 연결할 경우 자동조정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명암비 및 밝기 설정이 가능하며 DVI 와 D-SUB를 모두 연결했을 경우 입력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색온도 조절이 가능하며 RGB 세부설정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안내를 통해 모니터의 각종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화면조정 메뉴의 기능은 D-SUB에서 설정할 수 있다.) @ 고정 종횡비 설정은 하단에서 확인해 볼 예정이다.
설정 메뉴의 모습이다. 언어 선택이 가능하며 (한글, 영어) OSD의 위치 및 지속시간, 배경설정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고정종횡비 16 : 10
고정종횡비 4 : 3
최근 출시되고 있는 HDTV 나 모니터는 대부분 와이드 형태로 출시된다. 하지만 아날로그 TV방송이나 일부 게임등은 4:3 해상도를 지원하기 때문에 화면을 강제로 늘려 어색하게 표현하곤 한다. 그런 불편을 최소화 하기 위해 원터치 고정종횡비 기능을 지원하여 (OSD 버튼 중 "△") 이미지가 퍼지거나 뭉개지는 현상없이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 이부분은 동영상을 통해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시야각 테스트를 통해 다른 TN패널과 비교하여 얼마나 만족스런 시야각을 보여 주는지 확인해 보도록 하자. (J2030D 는 TN패널을 사용한 제품으로 S-IPS 패널과는 달리 시야각의 한계가 존재한다. 이점은 인지해 주기 바란다.) @ 상단의 사진은 정면에서 촬영한 이미지 이다.
좌우 시야각의 모습으로 60도 이상의 극단적인 각도 에서도 화면 반전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사진과 같이 각도가 벌어질수록 약간씩 바래는 현상을 감지하였다. 하지만 사진을 확인하거나 글을 읽는데는 전혀 문제가 없었다.)
이번에는 상하 시야각을 확인해 보자. 상향 시야각은 사진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 반전현상도 생기지 않으며 색이 바래는 현상도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하향 시야각의 경우 TN패널이라는 것을 말해주듯 반전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60도 이상의 극단적인 각도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일반적인 환경에서 반전현상을 경험할 일은 없으니 크게 신경 쓸 필요는 없다.)
모니터 테스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색 표현력 및 그레이 스케일 등을 알아 보도록 하자. 다소 흐리멍텅한 컬러를 표현하는 필자의 CRT와는 달리 원색의 표현력이 상당히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진하고 선명한 색상 표현이 가능한 제품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CRT 모니터나 LCD와 눈으로 확연히 비교될 정도로 차이가 뚜렷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감나는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해상도와 함께 명암비가 상당히 중요시된다. J2030D 는 4000:1 의 높은 명암비를 제공하는 제품으로 사진의 그레이스케일 표가 모두 구별될 정도로 뛰어난 성능을 구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동급 제품들이 보통 1000:1에서 3000 :1 의 명암비를 보여주는 것을 감안한다면 4000:1 명암비 지원은 J2030D 의 큰 장점으로 부각되리라 보여진다.)
문자 가독성을 테스트 하고 있는 또렸하게 문자를 표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흐리멍텅한 느낌은 전혀 없다. 뛰어난 가독성으로 오피스 프로그램이나 인터넷을 장시간 사용 해도 눈이 별로 피곤하지 않았다.)
포토샵을 이용하여 사진편집 작업을 진행해 보았다. 피부의 컬러 표현력도 충분히 만족스러울 뿐만 아니라 머리카락이나 땀궝 하나 까지도 디테일하게 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색표현력이나 디테일은 충분히 만족스런 수준이다.)
필자가 작업용으로 CRT를 고집하는 이유는 바로 계조 표현력 때문이다. (특히 상단의 사진과 같이 흰색의 하이그로시 UV광택 제품의 경우 사진 촬영도 무척 중요할 뿐만 아니라 촬영된 사진을 표현하는 모니터도 상당히 중요하다.)
J2030D를 이용하여 원본 사진을 편집해 보았는데 배경과 제품이 확연히 구분되어 별다른 어려움 없이 작업 진행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RT 모니터와 마찬가지로 커브와 브러쉬 만으로 편집이 가능하였다. 디테일의 한계로 불가피하게 펜툴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제품들과 달리 J2030D는 계조 표현력 또한 상당히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20 x 1080 해상도로 레코딩 된 TP파일을 재생한 모습으로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듯 선명도가 상당히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땀구멍 하나 까지도 정확히 표현해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영상의 선명함은 충분히 만족스럽다. 1680 x 1050 해상도를 지원하는 제품으로 FULL HD를 완벽하게 표현할 수 는 없지만 화질에서는 충분한 만족감을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카메라로 모니터를 직접 촬영한 사진이다.
FPS 게임을 통해 반응속도를 확인하고 있는 모습으로 5ms를 지원하는 제품답게 잔상은 전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6ms 제품들만 해도 느리게 반응하는 것을 느낄 때가 많다. 순간적인 움직임이 중요시 되는 FPS 게임에서 충분히 만족할 만한 성능을 보여주는 제품이라 할 수 있다.) @ 이 부분 또한 동영상 테스트에서 다룰 예정이다.
[AlphaScan Prestige J2030D 디자인 & 구동 테스트]
하루에 12시간 이상 PC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모니터의 선택에 항상 신중하다. (장시간 사용해도 눈이 피로하지 않아야 하며 사진 편집 작업을 원할하게 진행할 수 있을 정도의 화질을 보여 주어야 한다.) 이번에 리뷰를 진행했던 알파스캔의 프레스티지 J2030D는 테스트를 진행하는 2박 3일 동안 하루에 10시간 이상 사용 했음에도 불구하고 눈에 피로를 전혀 느낄 수 없었던 제품이며 계조나 색 표현력, 반응 속도 모두 부족함이 없어 상당히 만족스러웠다.
하이그로시 UV코팅을 적용하여 고급형 제품다운 중후한 분위기를 풍기며 4000:1 의 명암비를 지원하여 동영상이나 포토샵을 이용한 사진편집시 충분한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제품이었다. 또한 5ms의 빠른 반응속도로 민첩한 움직임이 필요한 FPS게임도 별다른 불편함 없이 즐길 수 있었다. 20만원 초중반대에 판매되는 제품으로 가격적인 매리트도 충분하다 보여지며 (1680 x 1050 해상도를 지원하는 고급형 제품들의 경우 20만원대 후반에서 30만원 초반대의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원터치 고정종횡비를 지원하여 게임이나 아날로그 TV방송을 시청할 경우 간편하게 화면비율을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좀더 많은 단자가 지원 되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으며 (최근 AV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HDMI 단자를 기본 지원했으면 좋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틸트만을 지원하는 받침대도 기기 테스트시 다소 답답함을 느끼게 하는 부분이었다.
1280 x 800 해상도를 지원하는 17 / 19인치 제품들은 서서히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있으며 1680 x 1050 해상도를 지원하는 제품들이 대중화 되고 있다. 리뷰를 진행했던 J2030D는 합리적인 가격과 만족스런 화질을 구현하는 제품으로 고해상도 모니터 시장을 선도할 수 있을 만한 제품이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