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D를 메인 스토리지로 사용했던 기존과 달리 최근 출시된 데스크탑PC 나 노트북의 경우 SSD를 메인 스토리지로 사용해 속도를 높이고 추가적으로 HDD를 설치해 부족한 저장 용량을 커버하고 있다.
가격적인 부담 때문에 SSD 사용을 꺼리던 제조사들이 SSD를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HDD와는 확연한 성능 차이로 현재는 필수 부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제는 선택하는 부품이 아니고 CPU나 메모리와 같은 필수 하드웨어로 인식되고 있다.
이번에 리뷰를 진행 할 X400 SSD 높은 가성비로 유저들에게 큰 사랑을 받고 있는 샌디스크 SSD 의 최신 기업용 제품으로 스토리지 전문 기업답게 새로운 기술이 추가되어 성능 뿐만 아니라 내구성과 안정성을 한층 높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에 테스트 했던 SSD 와 비교해 어떤 장점을 가지고 있을지 무척 궁금하다. 제품의 특징을 자세히 살펴보고 벤치마크 테스트를 통해 성능을 확인해 보도록 하자.
☆ 본제품은 테스트 용 기기로 실제 판매 제품과 스펙의 차이가 있습니다.
풀KIT 의 모습으로 SSD 만 제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업용 X시리즈 모델로 9mm 가이드 등은 제공되지 않는다. 또한 S/W 는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100.5 x 69.85 x 7 mm 의 크기와 37.4g 의 무게로 구성되어 있다. 표준 사이즈 모델로 대부분의 PC나 노트북과 호환되며 7mm 초슬림 사이즈로 울트라북이나 태블릿PC 등에서도 불편없이 장착해 활용할 수 있다.
기기의 디자인은 기존 샌디스크 X/Z 시리즈와 같이 흡사하다. 블랙컬러를 사용해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고 있으며 군더더기 없는 깔끔함이 돋보인다.
샌디스크 X400 SSD는 SATA 인터페이스 이외에도 M.2 폼팩터 모델도 판매되고 있다. 특히 사진에 보이는 모델의 경우 1TB 의 대용량을 지원함에도 단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5mm 의 두께로 임베디드 환경이나 일반 노트북 등에서 쉽게 설치해 활용할 수 있다.
X400 SSD 는 SLC 캐시를 활용하는 NCache 2.0을 지원한다. 호스트 데이터는 TLC 낸드에 저장되기 전, 기본 설치된 SLC 블록에 저장되며 캐시의 용량이 가득 차면 순차적으로 TLC 낸드로 데이터가 복사된다. 이런 작업을 통해 더 높은 속도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랜시간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PC나 노트북은 물론 임베디드 환경에서도 활용되는 기업용 모델이니 만큼 내구성과 보안성은 필수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다. X400 SSD 는 1TB 기준 320TBW 의 높은 내구성을 지원하며 (하루에 40GB 정도의 작업량을 소화할 경우 5년 이상 사용 가능하다.) 3년의 A/S를 보장하는 대부분의 모델들과 달리 5년의 넉넉한 A/S 기간을 지원해 시스템을 사용하는 동안은 스토리지로 인한 추가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데이터 가드 클라이언트 기술과 오류교정 매커니즘이 추가되어 높은 신뢰성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AES 256-bit 암호화를 통해 데이터를 보호하고 TCG 오팔(Opal) 2.0 상호 호환성을 제공한다.
기기 상단부의 모습으로 SATA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다. SATA III를 지원해 최대 545MB/s 의 읽기, 최대 520MB/s 의 쓰기 속도를 구현하며 구형 디바이스를 위해 SATA II 와 SATA I 과도 호환된다.
여기에 HDD 대비 전력 사용량을 90% 줄였으며 슬럼버 모드와 DEVSLP 지원으로 전력 효율을 극대화 했다. 장시간 작동되는 임베디드 환경이나 전원 어댑터 없이 외부에서 사용해야 하는 노트북 등에서 특히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제품 양 측면과 전면부에는 홀이 설치되어 PC나 노트북, 다양한 기기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 이 제품은 고급형 SSD에서 사용되는 마벨 컨트롤러중 3세대 최신 칩셋인 88SS1074-BSW2를 사용해 높은 안정성을 경험할 수 있으며 속도와 내구성이 보강된 17nm TLC 낸드 플래시를 지원한다.
기기 바닥면의 모습으로 기기의 용량 및 스펙, 인증 등이 표시된 스티커가 부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리뷰를 진행하는 128GB 이외에도 256GB, 512GB, 1TB 등의 다양한 용량으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한손에 쏙 들어오는 슬림한 제품으로 HDD 와는 확연한 무게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일반 SSD 가 50g을 넘는 것이 일반적인데 37g 의 가벼운 무게를 지원해 노트북 등의 휴대성을 높이고자 한다면 좋은 선택이 될 것이다. (단, 1TB 모델은 59.7g 이다.)
일반 SSD 대비 다양한 기술이 지원되어 내구성과 안정성을 향상 시킨 것이 눈에 띈다. 이번에는 다양한 테스트를 통해 성능을 확인해 보도록 하자.
노트북의 속도를 높이고 휴대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면 X400 시리즈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상단의 사진은 노트북에 X400 SSD를 설치하고 있는 모습으로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었다. (구형 노트북 등을 사용할 경우 공간이 약간 남을 수 있다. 이 경우 9mm 가이드를 구입해 활용하기 바란다.)
최근 SSD의 가격이 하락하면서 USB 3.0 외장 케이스에 SSD를 장착해 사용하는 유저들이 많아지고 있다. X400 SSD 또한 높은 내구성과 빠른 속도를 구현 하면서도 가격이 저렴해 사진과 같이 외장하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SSD 사용성을 높이기 위해 전용 S/W를 제공하며 대부분의 SSD 제조사와 같이 홈페이지를 통해 S/W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여기를 누르면 SSD Dashboard S/W의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상단의 사진은 S/W를 실행한 모습으로 기본적인 스토리지 정보 확인이 가능하며 기록된 데이터 삭제 과정에서 블록이 완전히 지워지지 않아 쓰기 속도가 느려지는 현상을 대비해 TRIM 실행 및 스케줄 지정이 가능하다.
여기에 펌웨어 업데이트가 가능하며 저장된 데이터를 완벽하게 삭제할 수 있는 Secure Erase 등의 기능도 제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회사 등에서 중요 자료를 다룰 경우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구 메뉴에서는 추가 기능을 지원해 데이터 복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상단의 사진은 하단의 복제 버튼을 눌러 S/W를 설치한 모습으로 간편하게 디스크 복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었다. (기존에 사용하던 스토리지의 모든 환경이 복사되기 때문에 OS나 드라이버, S/W 등을 일일이 설치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속도 테스트를 위해 PC에 SSD를 장착한 모습으로 SATA 인터페이스 기반이기 때문에 장착에 어려움은 전혀 없을 것이다. @ 테스트는 128GB 제품으로 진행했다. 고용량 모델의 경우 좀더 높은 성능을 구현하는 것을 감안하기 바란다.
바이오스 에서도 SSD가 정삭적으로 인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바이오스 SATA 모드를 반드시 AHCI 로 설정하기 바란다. IDE 상태에서는 100% 성능을 경험할 수 없기 때문이다.) 스마트나 NCQ, TRIM, DevSleep 등의 주요 기능이 지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벤치마크 프로그램을 이용해 X400 의 성능을 확인하고 있는 모습으로 쓰기 속도는 삼백 중반의 스코어를 보여주고 있으며 읽기 속도는 다른 용량과 흡사한 500MB/s 이상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 노트북 등에 OEM 으로 설치된 대부분의 128GB SSD가 읽기 속도는 빠른데 반해 쓰기 속도는 현저히 느린 것을 감안한다면 상당히 매력적인 스코어라 할 수 있다. (저용량을 필요로 할 경우 특히 큰 매리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완전히 셋팅된 PC에 추가로 X400을 장착해 테스트를 진행한 모습으로 기대했던 것 만큼의 높은 성능을 구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하이엔드 SSD에 비할바는 아니지만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시 속도로 인한 답답함은 전혀 느끼지 않을 것이다.
USB 3.0 케이블에 연결해 속도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으로 HDD 와는 확연히 다른 빠른 속도를 보여주고 있다. 경쟁모델 대비 가격도 저렴한 편이며 높은 안정성을 구현한 모델로 잦은 데이터 이동이 필수적인 유저들이라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LC 낸드 플래시를 사용했지만 단점으로 거론되던 내구성이나 안정성, 성능 등의 문제를 샌디스크 기술력으로 커버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최고급형 모델에서 사용되는 마벨 컨트롤러를 사용해 퀄리티를 높인 점 또한 인상적이었다.
이 제품의 가장 큰 장점은 내구성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술지원이라 말씀드리고 싶다. NCache 2.0 지원으로 빠른 속도를 구현하면서도 제품 수명을 늘렸으며 데이터 가드 클라이언트 기술과 오류교정 기술을 제공해 신뢰성과 내구성을 향상 시키고 있다. 5년간 매일 40GB를 사용할 수 있으며 최대 320TBW를 지원해 일반 유저들 뿐만 아니라 높은 내구성이 필수적인 임베디드 환경에서도 충분한 활용성을 보장한다.
속도 면에서도 부족함 없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물론 하이앤드 모델과 비교하면 4K 랜덤 스코어가 떨어지지만 단순 읽기/쓰기 속도는 어떤 제품과 비교해도 부족함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엔트리 모델인 128GB 의 쓰기 속도가 상당히 빠른 것이 무척 마음에 들었다.
동급 제품들 보다 가벼운 무게와 저전력 설계로 (휴지 모드 및 DEVSLP) 노트북 등에 장착해 사용할 경우 휴대성이나 배터리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는 것도 큰 매리트라 할 수 있으며 5년의 넉넉한 A/S 기간을 제공하는 것도 장점이라 말씀드리고 싶다.
부담없는 가격에 높은 내구성과 안정성을 구현하는 SSD를 구입하고자 하는 유저들이나 노트북 등에 설치된 HDD를 SSD로 교체하고자 하는 유저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충분한 만족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김원영 기자 goora@noteforum.co.kr
[디지털 모바일 IT 전문 정보 - 노트포럼]
Copyrights ⓒ 노트포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