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텍 LEGEND HD4850 스파르타 512MB

2008.07.02 컴퓨팅 편집.취재팀 기자 :

 

 

필자는 글을 쓰기 이전에 게임을 비교적 심도있게 접해보고 즐겨하는 한명의 유저이기도 하다. 컴퓨터의 다양한 하드웨어 중 유독 하나의 목적만을 향해 거의 치우친 그래픽카드에 관심이 많은 것도 이런 이유가 있기 때문일 것이며, 컴퓨터 시스템의 작은 축소판과도 같은 그래픽카드에 매력을 느끼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이런 그래픽카드 시장은 어느새 양분화 되었으며, 언제나처럼 약속이라도 한듯 거의 동시에 ATI와 nVidia 양 진영이 신무기를 내놓았다.
(불과 반년전 본 리뷰 제품과 동일한 구성의 3850을 구입해서 사용하고 있기에 무척이나 기대 된다.)

최고성능의 하이엔드 유저를 공략한 경쟁사와 달리 현실적으로 합리적인 가격에 다양한 하이유저를 겨냥한 AMD-ATI, 여름방학시즌을 목전에 두고 치열한 경쟁이 예상 되는 가운데 ATI 진영의 VGA킬러
"
유니텍 LEGEND HD 4850 스파르타 512MB"로 승부의 행방을 미리 점쳐보자.
 

 

모델명 유니텍 LEGEND HD4850 스파르타 512MB

칩셋 RV770 / 625MHz
메모리 Qimonda 512MB / 256bit 1986MHz
API DirectX 10.1 / UVD / OpenGL 2.0
인터페이스 PCI-Express 2.0 X 16
입/출력포트 Dual Link DVI (2개) / TV-OUT(1개)
부가기능 Cross FireX / HDCP

 

 

 

 

Full Kit의 모습으로 HDMI 출력을 위한 컨버터와 막강한 Cross FireX 구성을 위한 브릿지가 기본 구성되어 있으며, 기본 구성 외에 유명 FPS 온라인게임 "서든 어택"과 제휴되어 게임상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아이템 쿠폰을 제공하고 있다. (필자와 같이 서든 어택을 즐겨하는 유저라면 게임과 VGA칩셋 호환성의 강화와 게임아이템 제공으로 2가지 부분에서 반길 부분이다.)

 

 

HD4850 본체의 모습으로 기존의 3800 시리즈와 거의 동일한 플랫폼임을 한눈에 알 수 있으며, 기본 레퍼런스 쿨러 또한 흡사하여 외관상 차이는 크게 없다고 하겠다. (이로 인한 3800 시리즈 때와 같은 발열 문제가 걱정되는 것은 어쩔수 없는듯 하다.)

 

 

 

ATI를 상징하는 붉은색 대형 기판에 집적된 회로들과 더불어 중앙에 자리하고 있는 최신의 RV770 칩셋이 눈에 띈다. RV770은 스트림 프로세서가 이전 세대 RV670의 320개에 비해 비약적으로 증가한 800개의 스트림 프로세서를 탑재하였으며, 80개씩의 스트림 프로세서가 내장된 SIMD Array를 통해 최대 20개의 스레드 처리가 가능해져 이전 세대 대비 약 2배 이상의 성능 향상이 가시화 되었다. (실제 체감 성능은 테스트 파트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제조사에서 밝힌 정격 소비전력 110W에 맞게끔 6핀 보조전원 커넥터가 장착되어 있으며 그에 걸맞는 전원부 구성이 탄탄함을 알 수 있다. (HD 4870과는 전원부 구성이 약간 다르다.)

 

 

연결부의 모습으로 Dual DVI를 기본으로 TV-OUT포트를 확인 할 수 있으며, DVI to HDMI 컨버터를 제공하여 최신 HDMI단자를 갖춘 디스플레이와 손쉬운연결이 가능하다. 또한 6핀 보조 전원을 제공하지 않는 파워 서플라이 유닛을 위하여 3핀 IED전원 2개를 변환 시켜주는 젠더를 포함하여 편의성을 높였다.

 

 

이부분에서 레퍼런스 쿨러에 대해서 다시 짚고 넘어가자면 대형기판의 특징을 잘 살려 GPU와 메모리의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 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의외로 공기와의 접촉면도 넓고 빠른 공기 유입이 되도록 설계되어 제법 안정적인 쿨링이 가능할 듯 하다. 그러나 다소 빈약해 보이는 쿨링팬이 효과적으로 공기 순환을 못 시키는 듯한 인상을 받았으나, 3800시리즈의 "비행기 이륙음"과 비슷한 소음은 크게 개선되어 소음으로 인한 불편은 적을 듯 하다. (그럼에도 필자의 3850도 레퍼런스 규격이며, 레퍼런스를 선호하는 이유는 제조사의 제작의도가 반영된 만큼 나름 매력있기 때문이다 / 비록 냉각 성능은 조금 떨어질지라도 말이다.)

 

 

 

VGA 유니텍 LEGEND HD4850 스파르타 512MB
CPU Intel Core2™Duo E8500 @3.16GHz (L2 6MB, 45nm, 65W)
메모리 G.Skill DDR3 10600 CL9D-2GB (1GB X 2, 9-9-9-24)
메인보드 Intel DX38BT Extreme
하드디스크 WD 1600AAJS
파워서플라이 애너맥스 EG425P-VE (420W)
운영체제 Windows Vista Ultimate K (32bit)
VGA 드라이버

ATI Catalyst V8.6

 

HD 4850의 강력한 성능을 감안하여 시스템 구성 또한 하이엔드로 선택 하였다. 인텔 듀얼코어 제품군의 플래그쉽 울프데일 E8500과 인텔이 인텔 CPU를 위해 만든 1333MHz의 DDR3 메모리까지 지원하는 X38칩셋을 장착한 익스트림 메인보드 DX38BT Extreme을 메인으로 G.Skill의 DDR3 10600 CL9 1GB를 듀얼채널 구성하였다.

@ 최신의 P45 칩셋을 장착한 인텔 DP45SG로 시스템 구성을 하려 하였으나 칩셋의 불안정한 동작으로 DX38BT로 변경하였음을 알린다.

 

 

기본적인 시스템 구성을 Sandra를 구동시켜 확인해 보았으며 정상적으로 HD 4800시리즈를 인식 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GPU-Z 최신 버전에서 확인된 RV770 GPU 칩셋은 익히 알려진 55nm의 ATI 최신 공정에 800개의 셰이더를 지원함을 알 수 있다.


눈에 띄는 점은 이전 세대 3850 시리즈의 레퍼런스 규격이었던 256MB의 메모리가 512MB로 강화되어 경쟁사와의 레퍼런스 제품군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잡을 수 있을 듯 하다.

HD 4850의 그래픽 드라이버는 최근 발표된 Catalyst 8.6 을 사용하였으며, 각종 벤치마크툴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관련 Hotfix가 설치된 상태이다.

 

◀ Catalyst Control Centor

 

8.6버전으로 이전 버전과의 디테일상 차이점은 보이지 않으며 기본적인 3D 세팅은 Defaults 상태를 유지하였다. GPU의 OverClocking이 가능한 ATI Overdrive™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면, 좌측의 열쇠 모양 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면 우측 화면과 같이 관련 설정값들이 활성화 된다. 직접적으로 GPU와 메모리 클럭을 한도내에서 자유자재로 조절 할 수 있으며 실시간 GPU 온도와 사용률을 확인 할 수 있어 편리하다. (중앙의 "Test Custom Clocks"를 선택하면 선택한 값으로 VGA가 사용 가능한지 테스트를 해주므로 오버클럭킹시 필히 실행시키는 것이 좋다.)

 

◀ FutureMark 3DMark 06 / Vantage

다양한 시뮬레이션과 VGA와 CPU에 이르는 총체적인 테스트로 많은 유저들에게 사용되어지는 FutureMark社의 3DMark06과 더욱 뛰어난 퍼포먼스의 벤치마킹을 위해 나온 3DMark Vantage를 각각 실행해 보았다.

 

 

먼저 3DMark06을 실행해 보았으나, 경쟁사의 동급 VGA 및 3800 시리즈와 비교해도 점수 향상폭이 거의 없다시피 하여 의아할 수 밖에 없지만 출시 초기의 벤치마킹툴과의 호환성 부족이 가장 큰 요인으로 생각되며, 추가적인 신규드라이버 및 Hotfix의 등장으로 추후 제성능을 발휘할 것으로 예상한다. (필자가 사용중인 HD3850과 페넘 9500 조합보다 낮은 스코어는 웃어야 할지 울어야 할지 고민이다.)

 

 

새로운 셰이더 연산과 각종 물리엔진의 강화로 강력한 VGA  유닛들도 한자리수 프레임을 기록하게 만들어, 유저들에게 "좌절마크"라는 별칭까지 얻은 3DMark Vantage는 실행에 의의를 두었다. (실제 HD 4850의 실력이라면 상당히 높은 스코어를 낼 법 하지만 전통적으로 FutureMark社의 벤치마킹툴과 궁합이 잘 맞지 않음을 보여준다, 유저들도 단순 벤치마킹 스코어에 얽매지이 않길 바란다.

 

◀ Devil May Cry 4

 

 

Console 게임으로 유명한 Devil May Cry 시리즈의 최신 버전의 체험판을 실행해 보았다. 이번 체험판에서는 일부 게임 진행 및 VGA 벤치마킹이 가능하며 특히 DX10 과 DX9을 모두 테스트 할 수 있어 가장 처음으로 선택하였다.

 

 

벤치마킹을 완료하면 위와 같은 그래프와 랭크로 VGA 성능을 알려준다. (위의 화면은 DX9로 실행한 모습이고 아래는 DX10으로 실행한 것으로 둘다 Anti Aliasing은 X8로 최대 설정 하였다.)

상당히 고사양을 요구하는 프로세싱임에도 가장 낮은 평균치가 66.79 프레임을 나타내며 육안으로 매우 정밀하고 부드러운 움직임을 느낄수 있어 매우 만족감이 높다. (특히 풀옵션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고속 프레임을 유지하여 필자의 눈을 매우 즐겁게 해주었다.)

 

그래프 수치를 유심히 보면 최저 프레임이 60프레임 이상을 유지함은 물론 프레임의 유동폭이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프레임이 더욱 높은 퀄리티를 느낄수 있게 해주는 부분이다. (아무리 높은 프레임이라도 유동폭이 크면 저프레임과 마찬가지로 끊김 현상을 느낄 수 있다.)

 

 

거대 텍스처 또한 매우 뛰어난 퀄리티로 묘사하고 있으며, 각종 광원 효과 등을 사실감 있게 표현하여 HD4850이라는 이름에 걸맞는 성능으로 벤치마크툴과는 정반대의 결과를 보여준다. (매우 움직임이 많은 장면임에도 134.41의 놀라운 고프레임을 제공해주며, 필자의 HD3850을 바꿔야 겠다는 생각을 하게 해주었다.)

 

◀ Crysis

 

사실적인 묘사와 물리엔진으로 수많은 하이엔드 유저들에게 플레이 되어지는 Crysys를 실행해 보았다. 기존의 그래픽카드와는 달리 처음부터 과감하게 그래픽 성능을 "매우 높음"으로 설정하고 안티 얼라이어싱도 X2로 설정하였다. (프레임 체크는 번외 프로그램으로 Crysis를 연동시켜 측정 하였다.)

 

 

최상위 옵션의 뛰어난 묘사력을 한껏 보여주면서도 평균 55.9 프레임으로 매우 원활한 진행이 가능하였다. 특히 이전 세대의 같은 그레이드 HD3850에서 기본옵션에서 간신히 30프레임 근처를 유지하는 것과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2배 이상의 체감 성능 향상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RaceDriver GRID

 

DX10에 대응하여 차체의 움직임부터 파손까지 현실적인 표현을 시도한 RaceDriver GRID의 실행화면으로, 별도의 벤치마킹툴이 없어 FRAPS를 이용하여 평균값 및 최소 최대치를 측정 하였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GRID의 실제 사양이 하이스펙은 아니기에 테스트 모니터(24형)의 최대치인 1920X1200의 거대한 해상도를 가득 채우는 풀옵션으로 실행하였다.)

 

GRID의 테스트는 수년 전부터 각종 레이싱 게임을 섭렵해온 필자에게 엄청난 충격을 안겨주었다. 매우 미세한 부분까지 묘사된 퀄리티와 더불어 15대의 차량이 달리는 상황에서도 60프레임 이상으로 실제 운전 하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키며 HD4850은 이정도야 라고 말하는 듯 하다.

 

 

 

 

양분화된 VGA 시장이 조금은 한쪽으로 치우친 느낌을 주고 있는 지금, ATI의 사활을 건 최종병기는 이렇게 모습을 드러내었다. 전면적으로 새로 설계된 칩셋이 아닌 기존 칩셋을 강화시키고 확장시킨 RV770칩셋으로 높은 성능향상과 현실적인 가격을 동시에 잡았다는 평가를 우선 하고 싶다.


특히 가혹한 상황에서도 지속적으로 꾸준한 성능을 보여주는 점을 높게 평가 하고 싶다.


(최강의 성능을 보여주는 일종의 "홍보용"제품이 아닌 완전 "실전용" VGA가 HD4850으로, 우리 피부에 실제로 와닿는 존재 가치는 매우 높은 것이다.)

분명 HD4850의 주 타겟은 소수의 하이엔드 유저도 아니며, 고성능 그래픽의 필요성이 없는 엔트리 유저도 아니다. 그 사이를 가득 채우고 있는 수많은 멀티미디어 유저들에게 기존보다 강력한 성능과 매력적인 가격으로 VGA시장의 판도를 뒤집으려는 기세이다.
(이전 세대인 HD3850을 꾸준히 느껴온 바 객관적 성능은 물론 실체감 성능의 약 2배 이상의 상승은 감히 혁신적이다 라고 말하고 싶다.)

 

수많은 오버클럭킹 및 변종 제품이 출시 될 예정이지만 레퍼런스 규격의 "유니텍 LEGEND HD4850 스파르타 512MB"가 보여준 상상이상의 퍼포먼스는 VGA의 존재 이유나 다름없는 3D 게임에서 빛나기에 많은 유저들에게 어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동영상리뷰

HOT REVIEW

LASTEST REVIEW

NOTEFORUM
노트포럼 대표 김원영 사업자번호 : 635-02-00945 주소 : 서울시 용산구 효창원로 94, B1 등록번호 : 서울 아04916 제호 : 영테크
발행·편집인 : 김원영 등록 : 2018.01.09 발행 : 2018.01.09 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원영 이메일 : master@noteforum.co.kr
2006-2025 NOTEFORUM. Co. All Rights Reserved.

02-711-2075

월-금 09:00-18:00 / 주말,공휴일 휴무
News 52,634 Review 3,424
2006-2025 NOTEFOR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