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칫 PMP 에 흡수 될 것만 같았던 MP3P 시장이 DMB라는 킬러 어플리케이션을 가지고 다시금 부활하고 있다. LG의 FM35를 시작으로 한 DMB내장 MP3P는 아이스테이션의 mini를 통해 활성화 되고 있으며 miniDX와 D2를 통해 완벽히 독립된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A2의 출시이후 새로운 PMP를 오매불망 기다리고 있던 차에 N2를 접할 수 있었고 이제 D2를 접하게 되었다. COWON 은 그동안 출시하던 MP3P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다양한 디지털 기기로 확장하고 있는 것이 느껴지는 한해가 아닌가 싶다. 이번에 리뷰를 진행 할 D2도 COWON 다운 강력한 기능이 내장된 기기임을 알 수 있다. 2.5인치의 터치스크린, 1600만 컬러, 이어폰 안테나, SD Card Slot 채용 등 무척 화려한 스펙을 보여주고 있다.
기기의 특징 및 기능 분석을 통해 MP3P가 얼마나 진보 되었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파일지원 | 음악모드 |
MP3 : MPEG
1/2/2.5 Layer 3, ~320kbps, ~48khz, mono/stereo |
영화모드 | AVI : MPEG4 ~
2Mbps, 320x240, 30fps, MP3 audio WMV : WMV9 ~ 768kbps, 320x240, 30fps, WMA audio TV출력 지원(TV출력 케이블 별매 |
|
녹음모드 | WMA :
32~256kbps 녹음 및 재생 음성녹음, 라인인 녹음, 외부 마이크 지원 |
|
사진모드 |
JPG (파일 크기, 용량 제한없음) |
|
문서모드 | TXT file Viewer (최대 2MB까지 지원) | |
인식갯수 |
폴더 500개 및 파일 5,000개 |
|
DMB | 비디오방송 | KBS Star, my
MBC, SBS U, mYTN, U1 TV, KBS-Heart, 1to1 TV 녹화(DMB : H.264, BSAC audio) 지원 TV출력 지원(TV출력 케이블 별매) |
오디오방송 | KBS Music, U1
Radio, OZIC, MBC FM, MBN, Arirang, SBS U Radio, TBS |
|
안테나 |
이어폰을 안테나로 사용 |
|
RADIO | FM RADIO :
76Mhz ~ 108Mhz, 87.5Mhz ~ 108Mhz WMA : 32~256kbps 녹음 지원 |
|
디스플레이 |
2.5인치 1,600만 컬러(24비트) TFT-LCD : QVGA (320x240), 터치스크린 지원 |
|
내장메모리 | 2GB, 4GB | |
외장메모리 |
SD Card (또는 MMC Card) Slot 1개 |
|
인터페이스 | USB 2.0 | |
전송속도 |
최대 35Mbps (업로드 최대 40Mbps) |
|
전원 | 내장 리튬폴리머 배터리 | |
재생시간 | DMB : 최대 9시간
연속시청 동영상 : 최대 10시간 연속재생 음악 : 최대 52시간 연속재생 |
|
충전시간 |
어댑터 약 3.5시간, USB 약 7시간 |
|
버튼 |
3 버튼(MENU, VOL-, VOL+), POWER & HOLD Switch |
|
SNR |
95dB (A-Weighted) |
|
출력주파수 |
20Hz~20KHz |
|
출력 |
16 Ohm 이어폰 : 37mW + 37mW |
|
크기 |
78.0 X 55.4 X 16.6 mm |
|
무게 | 91g (배터리 포함) |
FULL KIT의 모습이다. 사진과 같이 기기와 이어폰, USB케이블, 전원어뎁터, 스타일러스 펜, 설치 CD 등이 동봉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박스의 디자인은 무척 만족스럽다. 이중 박스 포장을 통해 보다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악세사리는 상당히 실망스럽다. 아이스테이션 미니와 마찬가지로 기기를 사용하는데 큰 무리는 없지만 케이스나 목걸이 정도는 기본으로 제공되야 하지 않나 생각된다. 최상위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는 제품이라고 보았을 때 원가절감 이라는 느낌도 받을 수 없다. (사용설명서 마저 CD에 내장되어 있다.)
리뷰를 진행하고 있는 핑크색 이외에도 블랙/화이트/그린/레드 등 다양한 색상으로 출시되고 있으며 DMB를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들을 위해 DMB가 제외된 제품이 따로 판매되고 있어 선택의 폭은 무척 다양하다 할 수 있다.
78.0 X 55.4 X 16.6 mm의 크기와 91g의 무게를 가지고 있다. DMB와 동영상을 지원하는 기기로써 크기나 무게의 부담은 느낄 수 없었으며 강력한 기능으로 PMP의 크기에 부담을 느끼는 사용자들의 많은 이동이 예상된다. (제품이 출시되기 전부터 지인들로부터 D2에 대한 구입문의를 꽤 많이 들었다.)
사진으로 본 것처럼 디자인은 무척 마음에 든다. 특히 터치스크린을 적용하여 버튼을 최소화 한 점에 가장 많은 점수를 주고 싶다. 상당히 심플하며 군더더기가 없는 디자인으로 미니멀리즘의 실현이라고 표현하고 싶다. (하지만 무광의 펄 재질로 고급스럽다는 느낌은 받을 수 없었다. 이정도 제품이라면 하이그로시 UV코팅을 적용해도 좋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전면에는 2.5인치 1600만 컬러 TFT LCD가 부착되어 있으며 터치스크린을 지원한다. 2006년 PMP 분야에서 아이스테이션의 Netforce가 800 해상도를 지원한 것이 가장 인상적이었다면 MP3P분야에서는 D2의 1600만 컬러가 가장 기억에 남을 듯 하다. 그동안 접해오던 MP3P의 화질에 대한 편견을 버려도 좋을 정도로 대단히 만족스러운 동영상 화질을 보여주고 있다. PMP를 보는듯한 디테일한 영상에 필자는 입을 다물 수 없다.
오른쪽 하단에는 홈이 설치되어 있다. 스트랩이나 목걸이를 연결할 수 있으며 동봉된 스타일러스 펜을 연결하여 장시간 DMB나 동영상 감상시 책상에 거치할 수 있다. (하지만 사진과 같이 홈 사이에 구멍이 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현재 아이오디오 홈페이지에 이와 관련된 공지가 나간 상태이며 수정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금형 과정의 단순 실수로 판단되지만 마케팅에 적지 않은 타격을 입을 듯 하다. 개인적으로 이부분이 제품 사용에 큰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으리라 생각된다.)
기기 상단의 모습으로 HOLD 기능을 지원하는 전원 스위치가 부착되어 있고 우측으로 마이크와 메뉴/볼륨조절 버튼이 부착되어 있다. 꼭 필요한 버튼만이 부착되어 있고 나머지 기능은 터치스크린을 통해 컨트롤 할 수 있다.
D2의 또다른 장점중에 하나로 외장 메모리 슬롯이 지원되고 있다. 미니 기기를 사용하다 보면 기기를 교체할 때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문제 중에 하나로 메모리 용량을 들 수 있다. 이런 문제를 완벽하게 보완할 수 있도록 SD Card Slot을 채용하고 있다. 현재 SD Card의 가격이 바닥을 치고 있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용량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을 것이다.
기기 좌측의 모습이다. 처음 기기를 받고 안테나가 설치되지 않아 DMB를 지원하지 않는 모델인지 알았다. 하지만 D2는 세계최초로 이어폰 안테나 기술을 적용하여 이어폰의 연결만으로 지상파 DMB를 손쉽게 감상할 수 있다. (그동안 FM라디오의 경우 이어폰안테나가 적용된 것은 많이 보아 왔지만 지상파 DMB에 작용된 것은 처음 접하였다. 추후 다른 제조사들에게도 큰 자극이 될 듯 하다.)
하단에는 USB 연결단자와 EXT단자가 부착되어 있다. USB2.0을 지원하여 빠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동봉된 전원 어뎁터를 EXT단자에 연결하여 기기를 충전할 수 있다. (USB단자를 이용하여 충전 가능) 또한 별도로 판매되는 케이블을 구입하면 TV-OUT과 다이렉트 인코딩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전용 단자가 채용되어 필자와 같이 외장 배터리팩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기기 사용에 애로사항이 발생하리라 생각된다.)
기기 뒷면의 모습으로 내장형 리튬 폴리머 배터리를 사용하여 상당히 깔끔한 것을 알 수 있다. MP3 52시간, 동영상 10시간, DMB 9시간을 재생할 수 있어 한번 충전으로 배터리 걱정없이 기기를 사용하 수 있을 듯 하다. (필자가 직접 테스트 한 것은 아니며 제조사 테스트 결과이다.)
LG FM35와 현재 가장 강력한 라이벌이라 할 수 있는 아이스테이션 miniDX와의 크기비교 모습이다. FM35와는 다소 차이가 나지만 miniDX와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가로는 miniDX가 좀더 길고 세로는 D2가 약간 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악세사리의 모습으로 퀵메뉴얼, 설치CD를 비롯하여 USB케이블, 이어폰, 스타일러스 펜 등이 동봉되어 있다.
이번에는 UI 및 내장된 각종 기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기기의 성능 만큼이나 UI 디자인의 변화도 한눈에 들어온다. 특히 터치스크린 기능을 최대한 살린 입체적인 UI 구성을 통해 보다 쉽게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COWON에서 D2에 거는 기대가 크다는 것을 UI봐도 알 수 있을 것 같다.)
|
|
음악 재생 메뉴에서는 MP3, OGG, WMA, FLAC, WAV, APE 등 다양한 파일을 지원하며 터치스크린을 통해 쉽게 음악의 재생 및 설정이 가능하다. (모든 기능이 오른쪽 사진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테스트를 위한 전용 이어폰을 이용하여 음질을 테스트 해 보았다. 긴말이 필요없을 만큼 무척 만족스럽다. 필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각 음의 밸런스, 단단한 저음, 보컬음의 선명함등 모든 부분에서 전혀 부족함을 느끼지 않는다. 코원의 고가 정책을 유지할 수 있는 비결중에 하나가 바로 타 제조사 제품들과 차별화 되는 음질과 다양한 음장 기술이 아닐까 생각한다.
|
|
|
|
|
북마크 설정 및 다이나믹 플레이 리스트 설정이 가능하며 파일리스트를 통해 쉽게 음악을 선택하여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재생영역 설정이 가능하며 셔플기능/반복재생/구간반복 기능을 설정할 수 있으며 JetEffect를 이용하여 EQ 및 다양한 음장을 설정할 수 있다. 별도로 설정메뉴에 들어가지 않고도 설정 변경이 가능하여 무척 편리하게 기기를 컨트롤 할 수 있었다.
@ 저장된 파일의 복사나 이동/삭제가 불가능 하다. 외장 메모리를 사용한다면 이 부분에 대한 업그레이드가 이루어 져야 하리라 생각된다.
|
|
|
|
|
|
|
동영상 재생 메뉴의 모습으로 음악 메뉴와 같이 다양한 설정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TV-OUT을 지원하여 TV와 연결하여 대화면으로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필자의 기대가 너무 컷던 것일까? 상단에 말씀드린 바와같이 이견을 제기하기 힘들만큼 무척 만족스러운 동영상 화질을 보여주고 있지만 테스트를 위해 저장했던 6개의 동영상 파일 중 1개의 파일도 재생을 하지 못했다. 대부분의 동영상은 jetAudio VX를 통해 변환하여 사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하지만 X5의 동영상 파일은 원할한 재생이 가능하였다. 두 기기의 해상도 차이로 전체화면으로 표시되지는 않지만 인코딩을 싫어하는 사용자라면 활용도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현재 P2P사이트에서 X5의 자료실이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
|
설정 메뉴의 모습이다. 북마크 설정과 파일리스트를 볼 수 있으며 음악메뉴와 같이 셔플기능/재생영역 설정/JetEffect 설정이 가능하다.
|
|
이미지 뷰어의 실행 모습으로 사진이 쎔네일로 표시되어 쉽고 빠른 확인이 가능하다. 오른쪽 사진은 펜탁스의 K10D의 리뷰를 진행하며 촬영했던 이미지로 3872 x 2592의 해상도를 가지고 있는 사진들이다. 약간의 딜레이가 발생 하기는 했지만 완벽하게 사진을 재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
|
배경화면 설정 및 슬라이드 쇼 기능을 사용 할 수 있으며 사진과 같이 확대 기능 및 회전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
|
|
|
|
텍스트 뷰어의 실행 모습이다. 북마크 설정 및 파일리스트 확인이 가능하며 배경이나 글씨의 컬러를 변경할 수 있다. (총 5가지 SET COLOR) 또한 2MB용량의 텍스트 파일로 재생이 가능하다. 가독성에 큰 문제는 없으나 상하 시야각이 좁아 텍스트를 읽을 때 손을 움직이면 자꾸 신경이 쓰였다.
|
|
|
|
DMB의 실행 모습이다. 이어폰만 연결하면 원할한 수신이 가능 하였으며 채널 이동간 딜레이 타임도 짧은 편이었다. 자동 채널검색 기능을 비롯하여 DMB/DAB 이동이 가능하며 TV-OUT, DMB 녹화기능을 제공한다. 동영상 재생과는 달리 DMB에서는 동급의 다른 제품들과 큰 화질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아직 DMB의 전파가 D2의 스펙을 따라오지 못한 듯 하다.)
|
|
|
다른 채널도 테스트를 진행 하였다. 모든 채널이 별다른 끊킴없이 원할히 재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
DAB의 실행 모습으로 재생하게 되면 자동으로 LCD가 꺼지게 된다. 사진과 같이 DLS (문자방송)는 지원하지만 JSS(JPEG 슬라이드 쇼)는 지원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
|
|
DMB 이외에도 FM라디오를 지원하고 있다. 자동채널 설정 및 프리셋 기능을 지원하며 라디오 방속 녹음시 BPS를 선택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을 지원하기 때문에 하단의 사진과 같이 채널 변경이 무척 간편하다.
|
|
내장 마이크가 설치되어 음성녹음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Line-in 케이블과 젠더를 구입하면 다이렉트 인코딩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외장 마이크를 연결하여 음성녹음을 할 수 있다.)
|
|
|
음성/Line-In을 선택할 수 있으며 녹음파일 품질 설정 및 외장 마이크 사용여부, Line-In단자로 들어오는 소리를 감지하여 새로운 파일을 생성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설정 메뉴를 제공하고 있어 기기를 손쉽게 컨트롤 할 수 있다.
|
|
|
COWON의 강력한 음장설정 메뉴인 JetEffect의 실행 모습으로 EQ, BBE, Mach3Bass, 3D Surround, Stereo Enhance, Pan 등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다.
|
|
재생모드에서는 재생영역을 설정할 수 있으며 반복, 셔플(임의재생)기능 사용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
|
|
|
|
|
|
화면 설정 메뉴에서는 언어 설정을 비롯하여 파일이름 표시설정, 스크롤 속도, 바탕화면 설정, 화면 자동 끄기 기능등이 지원된다.
|
|
|
타이머 메뉴에서는 시간 설정 및 모닝콜 설정 자동전원 차단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건너뛰기 및 탐색속도 조절이 가능하며 페이드 인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 정의 버튼을 설정할 수 있다. (M버튼을 길게 눌렀을때)
|
|
녹음 메뉴에서는 레코딩 품질을 설정할 수 있으며 각종 볼륨조정 및 자동싱크를 설정할 수 있다.
|
|
|
|
FM 라디오 메뉴에서는 스테레오 설정 및 자동채널탐색 기능을 제공하며 지역 선택이 가능하다.
|
|
DMB메뉴의 모습으로 TV출력방식을 지정할 수 있으며 지역 선택이 가능하다.
박스에 Podcastready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 기기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테스트를 진행 하였다. 사진과 같이 컨텐츠를 선택하고 다운로드를 누르면 관련 파일들이 기기로 저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인적인 생각에 해외 수출을 염두해 두고 추가된 기능이 아닐까 생각된다. 전부 영어이기 때문에 국내 사용자들에게는 큰 활용도가 없을 듯 하다.)
@ 팟캐스트는 아이팟과 브로드캐스트의 합성어로 방송 컨텐츠를 오디오 및
비디오 파일로 만들어 MP3P사용자들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이다.
http://www.podcastready.com/
MP3P 리뷰 임에도 불구하고 PMP리뷰를 진행하듯 무척 양이 많았고 신경쓸 것들이 많은 리뷰였다. 현재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제품이기 때문에 설명서와 홈페이지를 2번 정도 정독하고 리뷰를 진행 했음에도 미쳐 다루지 못한 부분도 있을 것이다. 이런 부분은 따로 정리하여 다시 업로드 하도록 하겠다.
기대에 부흥하듯 다른 제품과 차별화 되는 강력한 기능이 내장된 것이 무척 만족스런 기기였다. 1600만 컬러 TFT LCD와 터치스크린 적용이 가장 인상 적이었으며 세계최초로 DMB안테나를 내장하지 않고 이어폰을 이용하여 전파를 수신하고 그동안 출시된 COWON 제품의 UI 와는 완전히 차별화 된 D2의 UI디자인을 접했을 때 MP3P를 선도하는 기업 답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하지만 상단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본으로 액정보호필름이나 목걸이, 케이스 등의 악세사리가 동봉되지 않은 것은 아쉬우며 대부분의 동영상을 전용 프로그램으로 인코딩 해야 하기 때문에 필자와 같이 게으른 사용자들에게는 큰 단점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케이스의 구멍 문제는 큰 단점이 아니라 생각된다. 금형상의 단순한 실수이며 코원에서 초기 진화를 확실히 하여 오히려 브랜드 인지도가 상승된 것으로 보여진다.)
역시 코원이 코원다운 제품을 만들지 않았나 싶다. 예상대로 테스트를 진행하는 동안 별다른 버그가 발생하지 않았고 기기의 완성도 또한 대단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07년에는 또 어떤 제품이 출시될지 벌써 기대가 된다.
@ 아이스테이션 minDX와의 직접 비교를 해 보고 싶었지만 현재 리뷰용 제품이 입수되지 않은 관계로 미루어 졌다. 리뷰를 진행할 수 있는 완벽한 제품이 입수 되는대로 비교리뷰를 작성하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