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 디지털 디바이스는 크기와 성능이 반비례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성능이 뛰어난 PMP 라 하더라도 MP3 플래이어의 휴대성을 따라올 수 는 없고 휴대성이 만족스러운 프리미엄 MP3 플래이어의 경우 PMP 의 성능을 따라잡지 못한다.) 하지만 이런 편견을 깨고 있는 제품들이 최근 쏙쏙 출시되어 큰 사랑을 받고 있다. (대표적인 제품이라 할 수 있는 맥시안의 M1 의 경우 한손에 쏙 들어오는 작은 크기로 MP3 플래이어 못지 않은 휴대성을 자랑하며 코덱의 호환성도 뛰어나 성능 면에서도 모자람이 없다.)
이번에 리뷰를 진행 할 MAXIAN M1T Pocket Multi TV 는 지상파 DMB를 지원하지 않아 아쉬움이 컷던 M1 Edu 의 단점을 완벽하게 커버하고 재생시간 도 늘려 유저들의 만족감을 극대화 시킨 제품이다. (M1 Edu가 지상파 DMB를 지원하지 않아 아쉬워 하는 유저들이 많았다. 부족했던 2%를 마저 채운 제품이라 할 수 있다.)
M1 Edu 와 흡사한 부분이 많기 때문에 모든 것을 다루는 것은 별다른 의미가 없으리라 생각한다. 기기의 기능 및 추가된 기능, 그리고 그동안 다루지 못했던 WinCE 의 활용도 중심으로 리뷰를 작성할 예정이다. 그럼 이제부터 하나하나 확인해 보도록 하자. (기본 기능을 자세히 확인하고 싶은 유저들은 하단의 링크를 참고하기 바란다.)
모델명 | MAXIAN M1T Pocket Multi TV | |
파일시스템 | FAT32 | |
용량 | 8GB / 16GB MLC NAND Flash | |
LCD |
88.90mm 3.5형 HVGA (480 x 272) 1600만 컬러 광시야각 TFT LCD | |
비디오 재생 | 파일형식 |
AVI, MPG, WMV, ASF, DAT, VOB, MP4 (MV4) |
비디오 형식 |
MPEG-1, MPEG-2, MPEG-4 SP/ASP, WMV9 SP/MP, H.264 BP | |
오디오 형식 |
MP2, MP3, WMA, PCM, AAC/AAC+ | |
V. 비트레이트 |
MPEG-1, MPEG-2, VOB : 최대 5Mbps | |
A. 비트레이트 |
8 ~ 384 Kbps | |
해상도 |
최대 720 x 480 (WMV9 / H.264 : 640 x 480) | |
프레임 레이트 |
최대 30 fps | |
자막 형식 |
SMI ※ 자막 미니사전 검색 기능 지원 | |
배속재생 |
0.5 ~ 2.0 배속 재생 지원. (Myspeed 피치 보정 엔진 탑재) | |
오디오 재생 | 파일 형식 |
MP2, MP3, MP4(M4A), WAV, WMA, OGG, AAC, FLAC, APE, TTA |
비트레이트 |
8 ~ 384Kbps CBR & VBR / Q0~Q10 (OGG 비트레이트) | |
태그 |
ID3v1, ID3v2 2.0, ID3v2 3.0 | |
가사 형식 |
ID3 태그의 SYLT(Synchronized lyrics/text) 프레임, LRC 파일 | |
배속재생 |
0.5 ~ 2.0 배속 재생 지원. (Myspeed 피치 보정 엔진 탑재) | |
EQ |
Normal / Jazz / Classical / Rock / Pop / Live / Full Bass / User EQ/SRS wow HD | |
이미지 재생 | 파일 형식 |
JPG ※ Thumbnail 보기 지원 (PC Manager 연동) |
해상도 |
1500만 화소 | |
오디오/음성녹음 |
오디오 형식 |
WMA |
어플리케이션 | 전자사전 |
Edupie SayDic (동아 프라임 영한/한영 사전) ※ 단어/문장 읽어주기(TTS) 기능 지원 |
문서뷰어 |
픽셀 뷰어 (Picsel Viewer) ※ 지원 포맷 : DOC, XLS, PPT, PDF, HTM, TXT, JPG, BMP, GIF, PNG | |
FM 라디오 | 주파수대역 |
76.0MHz~108MHz |
지원 지역 |
대한민국, 미국, 일본, 유럽 | |
지상파 DMB |
주파수대역 |
Band-III 174~240MHz |
SD 슬롯 | 규격 |
Standard SD/SDHC card, MMC 메모리 지원 |
데이터 전송방식 | USB |
USB 2.0 High Speed |
AV 연결 |
스테레오 이어폰 잭 (최대 출력 : 좌 30mW + 우 30mW) | |
OS |
WinCE 5.0 Core | |
전원 |
내장형 리튬-폴리머 배터리 팩 | |
재생시간 |
MOVIE : 최대 9시간 / MUSIC : 최대 25 시간 / T-DMB : 5 시간 (※ 당사 테스트 환경 기준) | |
크기 |
106.5(W) x 61(L)x 14.1(D) mm | |
무게 |
127g (배터리 포함) | |
PC어플리케이션 |
PC Manager | |
시스템 |
Windows 2000, XP, Vista |
FULL KIT 의 모습으로 본체를 비롯하여 퀵메뉴얼, USB 케이블, 이어폰 등이 기본 제공되며 사진에 보이는 스타일러스 펜이나 전원 어뎁터 등을 별도로 구매할 수 있다.
106.5(W) x 61(L)x 14.1(D) mm 의 크기와 127g 의 무게로 얼마전 리뷰를 진행했던 M1 Edu 와 별다른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두께는 1mm 정도 커졌으며 무게는 14g 정도 늘어났다. 체감하기는 힘든 수준으로 휴대성은 여전히 만족스럽다.) @ DMB 안테나가 장착 되고 배터리 재생시간이 늘어난데 비해 크기나 무게의 변화는 거의 없는 것이 무척 인상적이다.
기기 전면부나 후면부, 측면부의 디자인 적인 변화는 없다. 하지만 상단의 사진과 상단부에 로드 안테나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M1 Edu를 출시하기 전부터 DMB 장착을 염두해 둔 듯 일부 제품과 달리 디자인 적 거부감이 전혀 없다.)
DMB 안테나를 펼친 모습으로 193mm 길이에 4단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사진과 같이 각도 조절이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기존 제품들과는 달리 점점 가늘어 지는 역삽입 방식의 로드 안테나를 채용한 것이 눈에 뛴다. (왜 일반적인 제품들과 달리 역삽입 방식을 채택했을까? 그것은 수신율 때문이다. 역삽입 방식을 채용할 경우 동일한 조건에서 보다 뛰어난 수신율을 보여준다.)
로드 안테나는 사진과 같이 거치대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다. (동영상 등의 기본 지원하는 제품으로 실내에서 손에 들고 장시간 멀티미디어를 감상할 경우 피로를 느낄 수밖에 없다. 하지만 M1T 는 로드 안테나가 받침대 역할을 해 주기 때문에 별다른 불편없이 장시간 멀티미디어 감상이 가능하다.)
기기 바닥면의 모습으로 기존 제품과 디자인에서 달라진 점은 없다. 하지만 M1 Edu 에 비해 높은 용량의 배터리가 채용되어 두께가 1mm 정도 두꺼워 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음악 재생의 경우 최대 25시간으로 기존 제품에 비해 5시간 이상 증가했으며 동영상 재생은 9시간 재생으로 1시간 이상 증가 하였다. 휴대기기에서 배터리 재생시간이 늘어나는 것은 언제나 환영할 일이다.) @ T-DMB 는 5시간 재생이 가능하다.
액세서리의 모습으로 퀵가이드, 충전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20핀 USB 케이블, 이어폰 등이 기본 제공된다. (스타일러스 펜은 별도로 구입해야 한다.)
학습용 PMP 의 대명사인 맥시안 제품답게 다양한 온라인 교육 컨텐츠를 지원 할 예정이라고 한다. (중고등 학생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메가스터디, 대성아이맥, 강남구청수능방송, 비타에듀, EBSi 등을 12월 중 지원 예정이라고 함) @ 교육 및 엔터테인먼트 컨텐츠 뿐만 아니라 집중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알파브레인 서비스 (컨텐츠는 유료) 도 지원된다.
MAXIAN M1T Pocket Multi TV 의 특징을 확인해 보았다. 이번에는 새롭게 추가된 DMB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 수신율이 원할한지 확인해 보도록 하자. (또한 상단에서 업급한 것과 같이 WinCE 를 통한 다양한 기기 활용 방법도 확인해 볼 예정이다.)
메인 UI의 모습으로 총 13가지 메뉴로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DMB 메뉴가 추가된 것을 제외하고는 M1 Edu 와 달라진 것은 없다. 최근 출시되는 PMP 에 밀리지 않는 다양하고 퀄리티 높은 메뉴 구성이 무척 마음에 든다.)
지상파 DMB를 실행 한 모습으로 하단에 다양한 메뉴 버튼이 활성화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선명한 영상도 무척 만족스러운 제품으로 사방이 막힌 실내에서 테스트 했음에도 불구하고 안테나의 변화 없이 모든 채널이 원할히 수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수신율이 원할하지 않아 DMB를 감상할 때 안테나를 계속 만지작 거려야 하는 필자의 방에서도 완벽하게 방송시청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하철에서도 별다른 문제없이 방송을 시청할 수 있었다. (필자가 사용하고 있는 핸드폰 DMB 보다 수신율이 훨씬 뛰어난 것이 인상적이었다. 화질도 좋고 수신율도 뛰어나 만족스럽게 DMB를 감상할 수 있는 제품이다.)
상단의 사진과 같이 오버레이 기능을 완벽하게 지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화면비율 설정도 가능하다. (전체화면 구성은 물론 보다 자연스러운 영상을 위한 4:3 화면비율도 지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추후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통해 다양한 부가기능이 추가될 예정이다.
DAB 의 실행 모습으로 DMB 와 마찬가지로 수신율은 무척 양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급 제품답게 DLS 는 물론 SLS 도 완벽하게 지원하여 교통안내는 물론, 뉴스, 앨범설명 등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비디오 방송 (DMB) : mYTN, 1to1-TV, MBCNET, my mbc, KBS HEART, KBS STAR, KBS MUSIC, U1 Radio, SBS u TV, SBS V-Radio, tbs V-Radio, U1 지원
@ 오디오 방송 (DAB) : TBN, Satio Top Music, MBC FM, MBN, Arirang, KDMB 지원
최근 출시되는 디지털 모바일 제품의 경우 WinCE 를 탑재한 제품이 많지만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데 불편한 것이 현실이다. (별도의 Wince 메뉴가 없으며 Active Sync 지원이 되지 않아 기기에서 지원하는 기본 기능만을 사용할 뿐이다.) 하지만 맥시안 제품의 경우 WinCE 메뉴를 기본 지원하는 것은 물론 환경설정은 통해 Active Sync 연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PDA 못지 않은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PC 와 마찬가지로 자신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행복한 일인가? 이번 리뷰를 통해 유저들이 기기를 좀더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상단에서 말씀 드린 것과 같이 이동식 디스크 뿐만 아니라 Active Sync 와의 연동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ctive Sync 프로그램은 마이크로 소프트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WinCE 의 경우 PC와 달리 CAB 확장자의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기기에 파일을 저장한 후 디바이스에서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다. (PC에서는 사진과 같이 압축 파일로 보이지만 디바이스에서 보면 실행 파일로 바뀌어 있다. 더블 클릭만 하면 프로그램이 디바이스에 설치된다.) @ CAB 파일 뿐만 아니라 EXE 파일로도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이 경우 PC에서 실행파일을 더블클릭하면 우측 사진과 같은 팝업창이 활성화 되며 디바이스에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단 Active Sync 와 연동된 상태여야 한다.)
상단에 말씀드린 것과 같은 방법으로 M1T 에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한 모습으로 PC 와 마찬가지로 Program Files 폴더에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판의 프로그램 제거 메뉴를 통해 설쉽게 설치한 파일을 제거할 수도 있다.)
@ PC와 마찬가지로 정품 소프트웨어가 판매될 뿐만 아니라 사용에 제한이 있는 쉐어웨어, 무료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웹사이트에서 손쉽게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떤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지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자. 그렇다면 어떤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지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자. 상단의 사진은 메모 프로그램의 실행 모습으로 풀 터치스크린을 지원하는 M1T 에서 활용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다. (WinCE 가 완벽하게 지원되어 M1T 에서 지원하지 않는 다양한 기능 들을 스스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진과 같이 지하철 노선도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대중교통 이용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철도시간표, 버스 노선도 등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전자사전 등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다.)
최근 출시되는 대부분 제품들의 경우 간단한 플래시 게임을 내장하고 싶지만 게임의 수가 많지 않고 좋아하는 게임이 달라 활용도가 떨어지는 편이다. 하지만 M1T 의 경우 플래시 플레이어를 설치한 후 원하는 게임을 다운로드 받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플래시 게임 뿐만 WinCE 전용 게임등도 설치하여 즐길 수 있다.
WinCE는 PDA에 맞춘 프로그램이 많다보니 가로가 긴 일반 디지털 제품에서 활용하기 쉽지 않다. 하지만 디스플레이를 설정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손쉽게 구할 수 있어 큰 불편없이 다양한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다. (상단의 사진은 GAPI 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한 모습으로 손쉽게 터치나 디스플레이를 설정할 수 있다.) @ 세로보기를 지원하여 E-BOOK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 보다 편하게 텍스트를 감상할 수 있다.
세로보기로 설정한 후 게임을 실행한 모습이다. (플래시 게임 뿐만 아니라 테스트를 진행한 FIFA 2002 와 같은 수준높은 게임도 M1T에서 즐길 수 있다.)
@ 필자의 리뷰는 네이버 맥시안 M1 카페 (http://cafe.naver.com/maxianm1t2.cafe) 의 자료를 중심으로 제작되었다. WinCE가 어렵다고 느끼는 유저들이라면 방문하기 바란다.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MAXIAN M1T Pocket Multi TV 디자인 & 구동동영상]
평소 TV 보기를 즐기는 필자와 같은 유저들에게 DMB 기능은 필수라 할 수 있다. (30대 중반임에도 불구하고 왜 그렇게 밤만되면 드라마를 보고 싶은지 모르겟다.) 이번에 리뷰를 진행한 M1T Pocket Multi TV 는 M1 Edu에서 지원하지 않았던 지상파 DMB를 완벽 지원하는 제품으로 완벽한 멀티미디어 라이프에 전혀 부족함 없는 제품이라 평가하고 싶다.
역삽입 방식의 안테나를 채택해서 일까? 지상파 DMB의 수신율은 대단히 만족스러웠고 화질 또한 부족함이 없으며 (일반적인 프리미엄 MP3P 에 비해 디스플레이의 크기도 크기 때문에 답답함 없이 DMB를 즐길 수 있다.) 배터리 재생시간도 늘어나 언제 어디서나 기기를 불편없이 활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또한 상단에서 확인한 것과 같이 WinCE를 통해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어 활용도는 무궁무진하다 할 수 있다.
WinCE 와 지상파 DMB 지원으로 완벽한 멀티미디어 기능 구현이 가능하며 다양한 온라인 강의 컨텐츠를 지원하여 학습용으로도 활용이 가능한 제품으로 못하는 것이 없는 만물박사와 같은 제품이라 말씀드리고 싶다. 휴대성과 기능, 거기에 성능까지 만족하고 싶은 유저들에게 최고의 선택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