뛰어난 디스플레이 퀄리티와 더욱 화려해진 UI, 다양한 기능,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디자인 등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출시된 P3는 예상대로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햅틱 UI, 고급스러운 기기디자인, DNSe 3.0을 통한 퀄리티 높은 사운드, 모바일 전화 등의 차별화된 기능 지원으로 프리미엄 MP3P를 구입한 유저들이 바라는 부분을 대부분 충족한 제품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P3 리뷰에서 지적한 대로 먼가 획기적인 변화를 기대했던 유저들을 만족시키는 구성은 아니라 생각한다. (P2 와 디자인이 흡사할 뿐만 아니라 기능도 대동소이 하다. 또한 동영상 재생에 특화된 제품 임에도 불구하고 화질이 개선 된 것을 제외하고는 특이한 변화가 없는 것이 가장 아쉬웠다.)
이런 필자의 마음을 헤아리기라도 했을까? P2 와 마찬가지로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통해 획기적인 기능들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한다. (Xvid, DivX 등의 동영상 포맷을 인코딩 없이 감상할 수 있으며 퍼포먼스 개선 및 그림 메모장, 한중/중한 전자사전 등의 기능을 추가한 펌웨어를 출시할 예정이다.)
필자를 실망시키지 않는 한차원 높은 펌웨어가 출시되리라 예측하고 있다. 리뷰를 통해 새롭게 태어날 P3를 미리 만나보도록 하자.
@ 리뷰를 진행하는데 사용한 펌웨어는 V2.0 베타 버전으로 2월 말에 정식 업데이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참고 바란다. 또한 P3 의 전체적인 기능이 궁금한 유저들은 하단의 링크를 눌러주기 바란다.
☆ 본제품은 테스트 용 기기로 실제 판매 제품과 스펙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번 펌웨어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무변환 동영상 재생이라 할 수 있다. P3 의 경우 텔레칩스의 7900 Series 칩셋을 적용하여 뛰어난 성능 구현이 가능함과 동시에 기존 MP3P 와 달리 코덱의 호환성도 상당히 좋아졌다. (TCC79xx 는 듀얼 ARM926EJ-S 코어로 구성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칩셋으로 PMP 나 내비게이션, Mobile Phone 등 다양한 기기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P3 와 같은 MP3P에서 활용할 경우 성능 향상을 꾀할 수 있으며 Xvid 나 DivX 등의 동영상 코덱 재생이 가능하여 (비록 S/W 디코딩 이긴 하지만) PMP에 근접하는 성능을 구현하는데 핵심적인 부품이라 할 수 있다.)
이번 펌웨어의 경우 동영상 재생에 초점을 맞추어 업데이트 될 예정이지만 몇가지 기능도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럼 이제부터 어떤 기능이 추가 되었는지 하나하나 확인해 보도록 하자.
기존 펌웨어와 비교하여 UI 나 기능에 있어 크게 달라진 점은 없다. (사진과 같이 Sketch Book 기능 및 중국어 사전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2월 말에 정식 펌웨어가 발표되면 중국어사전도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테스트에 사용된 펌웨어는 베타 버전으로 정식 펌웨어의 버전은 달라질 수 있음을 알아주기 바란다.
가장 핵십적인 업그레이드 중 하나인 동영상 재생 기능을 구동한 모습으로 700MB 이상의 대용량 Xvid, DivX 파일을 저장한 후 테스트를 진행해 보았다.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듯 별도의 변환과정 없이도 완벽하게 동영상이 재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다소 우려되던 버벅임 또한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 인코딩 하지 않은 일반 동영상을 재생함과 동시에 버벅임도 없다는 것에 큰 만족감을 느꼈다. 물론 알케미나 다빈치 칩셋을 사용하는 PMP에 비해 코덱 호환성이 다소 떨어지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코덱인 Xvid, DivX 4/5 등을 지원하기 때문에 동영상 감상 용도로 활용하기에 부족함은 없으리라 생각한다.
또한 화면을 길게 누르고 있을 경우 3초 이내에 동영상 썸네일이 표시되어 원하는 챕터를 손쉽게 선택하여 감상할 수 있다. (동영상 재생 시간을 분석한 후 총 15개의 챕터를 시간별로 나누어 표시한다. DVD 타이틀 에서나 볼 수 있는 챕터 선택 기능이 지원되어 일정구간을 지속적으로 감상하는 수험생이나 지하철이나 버스 등에서 잠깐씩 동영상을 감상하는 유저들에게 큰 도움이 되리라 보여진다.)
인코딩 시 자막이 합쳐지는 SVI 파일과 달리 별도의 SMI 자막 파일도 완벽하게 인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 동영상 뿐만 아니라 외국 동영상을 감상할 경우라도 별다른 문제가 없다.) 첫 번째 테스트를 진행했던 동영상과 마찬가지로 나머지 2개의 동영상도 완벽하게 재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버벅임이나 화질저하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새롭게 추가된 그림메모장의 실행 모습으로 맹숭맹숭한 일반 메모장과 달리 상당히 스타일리쉬 하다. 상단의 사진과 같이 펜의 굵기나 선 및 배경색 설정이 가능하며 다양한 효과 적용 및 스탬프를 지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하단 중앙의 아이콘을 누를 경우 사진 메뉴로 이동하여 원하는 사진을 배경으로 설정할 수 있다. (파일명을 임의로 지정하여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자신의 사진을 꾸미는 용도로 활용하면 좋을 듯 하다.) @ 단, 감압식이 아닌 정전압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사용했기 때문에 스타일러스 펜을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정전압 방식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을 출시하면 정말 좋을텐데...
이번에는 유저들이 가장 궁금해 하는 부분 중 하나인 코덱의 호환성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아 보도록 하자. (가장 많이 사용되는 Xvid 나 DivX 파일 위주로 테스트를 진행했음을 알려 드린다. 모든 동영상 코덱을 테스트 하지 못한점 양해 바란다.)
테스트에서 사용된 동영상 파일의 모습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Xvid 및 DiVX 중심으로 구성했으며 600MB 이상의 대용량 파일을 사용하였다. @ 긴급 입수된 베타 버전의 펌웨어로 실제 업데이트 될 펌웨어 에서는 코덱 호환성이 다소 변경될 수 있음을 알아주기 바란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Xvid 동영상 코덱을 테스트 한 모습으로 DTS 오디오 코덱을 사용하지 않은 모든 동영상이 재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몇몇 동영상의 경우 자잘한 문제가 발생하긴 했지만 크게 신경쓸 만한 수준은 아니었다.) SMI, AC3 등도 완벽하게 지원하는 것이 무척 인상적이다. (DTS 코덱을 사용한 동영상은 그다지 많지 않다. Xvid 의 호환성은 대단히 뛰어나다 말씀 드리고 싶다.)
DivX 코덱을 테스트 한 모습으로 DivX3 의 경우 재생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DivX3 는 지원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들어 추가 동영상 테스트는 진행하지 않았다.) 하지만 흔히 사용되는 DivX4/5 의 경우 5개의 파일 모두 완벽하게 지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Xvid와 DivX 4/5 와 같은 AVI 동영상 뿐만 아니라 아이팟, PSP 등에서 사용되는 MP4 파일도 지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테스트 한 펌웨어에서는 480 x 320 해상도 까지 지원하지만 필자가 테스트 해본 결과 512 x 320 해상도의 파일도 재생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정식 펌웨어가 출시될 경우 해상도의 폭이 더욱 넓어지지 않을까 예측된다.) @ MP4 컨텐츠의 경우 H.264/MPEG4 비디오 코덱과 AAC/AAC+ 오디오 코덱을 지원하며 H.264의 경우 Baseline Profile 만 지원된다.
@ 시중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MP4 파일을 지원하는 것이 무척 인상적이다. 경쟁사 제품을 능가하는 폭넓은 호환성으로 유저들이 무척이나 좋아하리라 생각한다.
필자가 예상했던 대로 WMV 나 H.264 (MP3 오디오 코덱) 등의 동영상 파일은 재생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F 나 MPG 파일의 경우 기기 자체가 인식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현재 보유하고 있는 동영상이 어떤 코덱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모르는 유저들도 많으리라 생각한다. (파일명에 코덱이 명시되어 있는 경우가 많지만 단순히 제목만 표시되어 있을 경우 난감할 수 있다.) 이럴 경우 동영상 프로그램의 파일정보를 통해 손쉽게 동영상 코덱을 확인할 수 있다. @ 필자의 경우 KMP에서 동영상을 실행한 후 'TAB' 키를 눌러 파일정보를 확인하고 있다. 파일정보 확인 후 P3 에서 지원하는 동영상을 선별한 후 저장하여 감상하기 바란다.
[SAMSUNG P3 V2.xx Firmware 구동 동영상]
MP3P 에서 동영상을 감상하기 위해 파일을 인코딩 하는 것은 참으로 짜증나는 일이다. (필자는 특히 귀찮은 작업을 하기 싫어하는 성격이라 동영상을 지원하는 MP3P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음악만 듣고 있다. 시간도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별도로 파일을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남들이 인코딩 해 놓은 파일들만 간간히 받을 뿐 직접 인코딩은 하지 않는다.) PMP를 구입하여 몇 달 사용해 보았는데 다소 떨어지는 휴대성 때문에 결국은 다시 MP3P로 돌아오고 말았다.
P3 는 필자와 같이 휴대성이 뛰어난 MP3P로 손쉽게 동영상을 감상하고 싶은 유저들에게는 더할나위 없이 좋은 선택이 될 만한 제품이라 생각한다. Xvid 및 DivX 4/5 ,MP4 지원으로 인코딩 없이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용량 파일도 버벅임 없이 재생하여 동영상 감상시의 불편함이 전혀 없다. (필자가 가지고 있는 동영상을 분석해 본 결과 85% 이상이 Xvid나 Divx 4/5 였다. 물론 개인마다 다소 차이가 있을 수는 있겟지만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코덱이라는데 큰 의의는 없으리라 생각한다. PMP가 아닌 MP4P라는 것을 감안한다면 코덱 호환성에 대해 불만을 가지는 유저는 없지 않을까 생각한다.)
또한 다소나마 성능이 향상된 것도 인상적이며 (펌웨어를 업그레이드 한 후 햅틱 UI 컨트롤시 발생하던 버벅임이 줄어들었다.) 그림메모장 및 중국어 사전이 추가된 것도 다양한 기능을 원하는 유저들에게 좋은 선물이 되리라 생각한다.
P3 의 경우 현재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아이팟터치나 S9 에 비해 다소 저평가 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번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통해 제대로된 평가를 받게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P3 유저나 기기를 구입할 예정인 유저들은 2월말에 업데이트 될 새로운 펌웨어를 기대하기 바란다. 절대 실망하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