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고 조용한 고성능 그래픽카드, MSI 지포스 RTX 5060 게이밍 OC D7 8GB 트윈프로져

2025.05.21 컴퓨팅 김원영 기자 : goora@noteforum.co.kr


그래픽카드는 가격과 성능이 정확하게 비례하는 대표적인 PC 부품이다. RTX 5070~5090 시리즈의 경우 강력한 3D 성능을 지원해 최신 게임을 고해상도와 높은 옵션에서 부드럽게 즐길 수 있어 고가임에도 높은 판매량을 보이고 있다. 단, 그래픽카드의 성능을 100% 구현하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CPU 나 메인보드, 파워 서플라이, 메모리 등을 구입해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가격이 한없이 높아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RTX 5060 시리즈는 비용 부담을 최소화 하면서 최신 게임을 즐기고 싶은 유저들에게 좋은 대안이라 할 수 있다. 기본 성능이 전작대비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최신 업스케일링 기술인 DLSS4를 통해 프레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높은 성능을 필요로 하는 검은신화 오공 이나 몬스터 헌터 월드 등의 게임도 원활하게 플레이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에 리뷰를 진행할 MSI 지포스 RTX 5060 게이밍 OC D7 8GB 트윈프로져 는 부담없는 가격에 최신 게임을 부드럽게 즐길 수 있는 그래픽카드가 필요한 유저들을 위한 제품으로 트윈프로져10 냉각설계를 적용해 최상의 성능으로 장시간 게임을 즐길 수 있다. 특히 7개의 블레이드가 공기 압력을 극대화 해 압도적인 냉각성능을 실현한 스톰포스 팬이 기본 탑재되어 있고 니켈도금 구리 베이스 플레이트와 코어파이프, 웨이브 커브드 3.0 등 상급 모델들에서 지원하는 최신 기술을 적용해 안정성을 높이는 동시에 소음을 최소화 했다.


그래픽크기가 거대해 대형 PC케이스를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상급 모델들과 달리 SFF-Ready Enthusiast GeForce Card 크기 가이드를 충족시키는 작은 크기로 mATX 는 물론 mITX PC케이스에 편하게 장착해 시스템을 만들 수 있으며 낮은 TGP로 파워서플라이 등의 부품 선택이 자유로운 장점을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가성비 라인업 모델과는 차별화된 세련된 디자인은 물론 미스틱라이트도 적용되어 튜닝케이스 등에서 사용할 때 아름다운 조명 효과도 즐길 수 있다.


전작인 RTX4060 시리즈는 물론 얼마전 리뷰를 진행했던 RTX 5060 Ti 와 얼마나 성능차가 있을지 무척 궁금하다. 리뷰를 통해 디자인 및 특징을 살펴보고 다양한 테스트를 통해 성능을 확인해 보도록 하자.



MSI 는 다양한 라인업으로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이번에 출시된 RTX 5060 그래픽카드도 총 3개의 라인업이 준비되어 있다. 리뷰를 진행하는 최상급 모델인 MSI 지포스 RTX 5060 게이밍 OC D7 8GB 트윈프로져을 비롯해 강력한 성능을 구현하면서도 가격 경쟁력 까지 높인 MSI 지포스 RTX 5060 벤투스 2X OC D7 8GB, 성능 중심의 설계로 제작된 MSI 지포스 RTX 5060 쉐도우 2X OC D7 8GB 모델을 판매하고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



풀KIT 의 모습으로 그래픽카드와 퀵 매뉴얼이 제공되며 슬롯과 단자 보호를 위한 캡이 포함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는 MSI 홈페이지나 엔비디아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으면 된다.)




248 x 135 x 41 mm의 크기와 649g의 무게를 지원한다. 제품 구입전 PC케이스 호환성을 확인해야 하는 3팬 모델들과 달리 작은 크기로 케이스를 크게 고려할 필요가 없으며 무게도 가벼워 지지대도 제공하지 않는다. (메인보드에 슬롯을 보호하는 스틸아머 정도만 적용되어 있다면 지지대를 사용하지 않아도 될 것 같다.)


그래픽카드의 디자인은 고급형 라인업인 게이밍 시리즈 답게 벤투스나 쉐도우와는 분명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진한 블랙 컬러가 매력적인 백 플레이트에 디자인 요소를 적용하지 않는 보급형 그래픽카드와 달리 드래곤과 패턴등을 적용해 디자인 만족감을 한층 높였다. 뿐만 아니라 장착시 보이는 부분에 RGB LED를 적용해 아름다운 조명 효과를 즐길 수 있다. (MSI 센터에 있는 미스틱 라이트를 통해 손쉽게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크기와 무게를 확인하고 있는 모습으로 3개의 팬이 설치된 최상급 그래픽카드 대비 작고 가벼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미들타워 PC케이스에 여유롭게 장착해 사용할 수 있는 모델로 베어본과 같이 작은 PC를 만들고 싶은 유저들에게 좋은 대안이 될 것이다.



그래픽카드 전면부의 모습으로 2개의 팬이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공기 흐름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이 적용되어 냉각성능을 한층 높인 트윈프로져10 냉각설계 기술 지원으로 발열로 인한 성능저하 없이 장시간 편하게 게임등을 즐길 수 있다. 특히 드래곤 발톱 텍스처가 적용된 7개의 블레이드가 공기 압력을 극대화 하고 원형 아크의 구조로 공기 흐름을 최적화 한 스톰포스 팬을 지원해 풍량을 한층 높였다. (참고로 전세대 팬 대비 풍량은 14.7% 증가했으며 풍압은 31.1% 증가했다.)


또한 온도에 따라 팬이 작동하는 제로프로져 기술 지원으로 캐주얼한 작업시에는 팬소음으로 인한 스트레스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전용 S/W 인 MSI 센터에서 제로프로져 설정이 가능하다.)




그래픽카드 좌측면의 모습으로 내부가 보였던 구형 모델들과 달리 깔끔하게 마감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제품은 니켈로 도금된 튼튼한 구리 베이스 플레이트를 사용해 칩셋과 메모리의 열을 빠르게 코어파이프로 전달한다. 코어파이프는 GPU와 닿는 면적을 넓혀 효율성을 높였으며 열을 히트싱크 전체로 고르게 분산시켜 냉각 성능을 극대화 했다. 또한 내부에 설치된 핀은 물결 모양에 높낮이가 있는 디자인을 적용해 (웨어브 커브드 3.0) 공기 저항을 줄이는 동시에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한다.




그래픽카드 바닥면의 모습으로 강한 충격 등으로부터 그래픽카드를 보호해 주는 백플레이트가 장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플라스틱 백플레이트를 사용한 일반 그래픽카드와 달리 (보급형 모델들의 경우 백 플레이트 자체가 없다.) 열전도성이 높은 메탈 백플레이트 사용으로 PCB에 설치된 칩셋의 열을 빠르게 외부로 방출해 준다. (통풍구를 적용해 열을 빠르게 내보내며 빛의 방향에 따라 용용이의 컬러가 달라진다.)


고급형 모델답게 낮은 전력손실과 향상된 전압제어가 가능한 DrMOS 전력 솔루션이 적용되어 효율성을 높였으며 내장된 퓨즈는 전기적 손상으로부터 그래픽카드를 보호한다. 또한 고품질 점토 기반의 써멀패드를 부착해 냉각 효율성을 한층 높였다.




그래픽카드 하단부의 모습으로 메인보드 장착을 위한 PCIe 슬롯이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CI Express Gen5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그래픽카드 상단부의 모습으로 중앙에 하나의 8핀 단자가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개의 8핀이나 16핀 커넥터가 설치된 그래픽카드와 달리 저전력으로 작동하는 제품이기 때문에 하나의 8핀 단자 만으로도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 (파워 서플라이 선택이 자유로운 장점을 가진 모델이다.)



미스틱 라이트를 적용해 아름다운 조명효과를 즐길 수 있다. (전용 프로그램인 MSI 센터에서 미스틱 라이트 효과를 원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다.)




그래픽카드 우측면의 모습으로 3개의 DP 2.1b와 1개의 HDMI 2.1b를 제공해 멀티 모니터를 편하게 연결해 사용할 수 있다. (4K@480Hz & 8K@120Hz 지원) 특히 최대 4개의 모니터 연결이 가능하며 7680 x 4320의 최대 해상도를 지원해 다중작업이나 4K 고화질 디스플레이를 손쉽게 연결할 수 있다.




멀티 디스플레이 연결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으로 4개의 모니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많은 창을 띄어두고 작업해야 하는 직장인 이나 주식투자자 등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최대 7680 x 4320 해상도를 지원하며 서라운드 기술을 통해 멀티 모니터에 하나의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사진과 같이 서라운드 설정을 해주면 레이싱이나 축구 게임등을 실행할 때 현장감을 한층 높일 수 있다. (서라운드 기술을 활용할 경우 슬림 베젤이 적용된 동일 모니터 사용을 권장한다.)




고급스러운 디자인과 작은 크기, MSI 의 최신 냉각기술이 적용된 점이 인상적이었다. 이번에는 지원 기능을 살펴보고 다양한 테스트를 통해 성능을 확인해 보도록 하자.



시스템을 구성한 모습으로 PCIe 4.0 메인보드에서 약간의 성능저하가 있을수 있다는 해외 사례를 참고해 PCIe 5.0 지원 메인보드를 사용해 테스트를 진행했다. 인텔코어 i5-14400 프로세서와 Z790 토마호크 맥스 WIFI 메인보드를 사용했으며 XMP를 지원하는 튜닝 메모리 마이크론 크루셜 DDR5 6000MHz 32GB를 비롯해 수랭쿨러와 PCIe 4.0 NVMe SSD, 1250W 용량의 파워 서플라이를 사용했다.


@ 테스트시 사무실 온도는 17도였으며 누드 시스템으로 진행했다. 또한 메모리는 XMP를 적용한 상태에서 진행했으며 윈도우 11 Pro를 설치하고 테스트를 진행했음을 알려 드린다.



GPU-Z를 이용해 그래픽카드의 스펙을 확인하고 있는 모습으로 3840 Units의 쿠다코어를 지원하며 8GB GDDR7 비디오 전용램이 장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2640MHz 부스트 클럭으로 작동해 강력한 성능을 경험할 수 있다.



MSI 센터를 사용하면 시스템 모니터링이 가능한 것은 물론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그래픽카드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시나리오의 프로필 설정을 통해 주파수를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으며 미스틱라이트를 통해 조명 효과를 원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냉각 마법사의 그래픽 팬 도구에서 제로프로져와 팬이 최대 속도로 동작하는 쿨러부스트 설정이 가능하다.



MSI 애프터버너 S/W를 사용하면 오버클럭은 물론 그래픽카드를 제어하고 시스템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실시간 프레임 확인이 가능해 타사의 그래픽카드를 사용하는 유저들도 애프터버너는 기본적으로 설치한다.)





GPU 사용율이 100% 에 육박하는 3DMARK 파이어스트라이크를 실행한 상태에서 팬소음과 온도를 측정해 보았다. 그래픽카드 옆에 스마트폰을 놓아두고 팬소음을 측정했는데 Idle 시 29dB을 표시했으며 3DMARK를 실행했을 때 31dB 까지 소리가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귀로 들었을 때 거의 변화가 느껴지지 않았다.) 또한 팬이 최대 속도로 동작하는 쿨러 부스터를 강제로 실행했을때 52dB 까지 팬소음이 커졌다.


참고로 데시벨은 팬소음을 뜻하는 것이 아니고 팬소음을 포함한 사무실 전체의 생활소음을 뜻한다. 3DMARK를 실행 했음에도 팬소음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이 상당히 인상적이었다.



아이들시 온도와 소비전력 등을 확인하고 있는 모습으로 20도 초반의 온도를 보여 주었으며 소비전력도 12W 정도에 불과했다. 또한 표면 온도도 상당히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DMARK를 실행한 상태에서 온도를 측정한 모습으로 60도 초반까지 온도가 올라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비전력은 150W 초반대 까지 올라갔으며 표면온도가 상승했지만 과도하게 올라가지는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DMARK를 이용해 성능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으로 전작인 RTX 4060 대비 성능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TX 4060 파스 그래픽 스코어 약 31000, 타스 그래픽 스코어 약 11000) 얼마전 리뷰를 진행한 RTX 5060 Ti 와는 살짝 낮은 스코어지만 최신 게임을 즐기는데 불편은 없을 것이다.




614 TOPS를 지원해 AI 용으로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상단의 사진은 긱 벤치AI를 이용해 테스트를 진행한 모습으로 높은 스코어를 보여주었다. 또한 패스마크를 이용해 그래픽 스코어를 확인했는데 상당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RTX 5060 Ti 3DMARK 스코어 28409)



오버워치2를 최상 옵션에서 플레이 하고 있는 모습으로 4K 해상도에서도 144Hz 게이밍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는 높은 프레임을 보여주었다. 해상도나 옵션에 상관없이 편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을 것이다.



배틀그라운드를 울트라 옵션에서 플레이 하고 있는 모습으로 (연습모드) 4K 해상도의 경우 옵션 조정이 필수적이며 QHD 는 옵션을 살짝 만져주면 게이밍 모니터를 활용하는데 문제 없는 성능을 보여주었다.



디아블로 4를 매우높음 옵션에서 플레이 하고 있는 모습으로 NATIVE 와 DLSS 간의 성능차가 상당히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QHD 해상도 까지는 여유로운 플레이가 가능하며 4K 는 DLSS를 활성화 하면 원활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



P의 거짓을 최고 옵션에서 플레이 하고 있는 모습으로 대부분의 해상도에서 높은 프레임을 보여주어 부드럽게 게임을 즐길 수 있었다. (4K 의 경우 디아블로4 와 마찬가지로 DLSS를 활성화 하기 바란다.)



팰월드를 최고 옵션으로 플레이 하고 있는 모습으로 모든 해상도에서 원활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 (4K 에서는 반드시 DLSS를 활성화 해야한다.)



몬스터 헌터 월드 벤치마크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으로 VRAM 때문에 울트라 옵션 설정이 불가했다. 이런 이유로 높음 옵션에서 테스트를 진행했는데 60프레임 이상을 보여주어 해상도와 상관없이 원활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 (QHD에서 DLSS를 사용한 플레이를 추천한다.) @ 참고로 옵션이 커스텀인 것은 높음 옵션에서 업스케일링 모드를 성능 최우선으로 설정했기 때문이다.



높은 성능을 필요로 하는 검은신화 오공 게임의 벤치마크를 실행한 모습으로 다른 게임과 달리 해상도별 프레임 변화가 크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단 DLSS를 적용하면 프레임이 유의미하게 상승하기 때문에 꼭 DLSS를 사용해 게임을 즐기기 바란다. (4K 게이밍은 무리해 보인다. QHD & DLSS 적용을 추천한다.)



싸이버펑크 2077 벤치마크를 실행한 모습으로 QHD 까지는 여유로운 게임 플레이가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포르자 호라이즌 5 벤치마크를 최고 높음으로 실행한 모습으로 모든 해상도에서 높은 프레임을 보여주었다. 단, 최고 높음 모드에서는 8GB VRAM의 부족함이 느껴지기 때문에 옵션을 낮춰 플레이 하기 바란다.






100만원을 훌쩍 넘어가는 RTX 5070 이상급의 그래픽카드들과 달리 50만원 초반이면 구입이 가능해 가성비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유저들에게 큰 사랑을 받으리라 예상된다. 현재 RTX 4060 시리즈의 재고 이슈로 인해 가성비 그래픽카드 구입이 쉽지 않은데 RTX 5060 모델이 출시되어 메인스트림급 그래픽카드 시장이 빠르게 안정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성능 향상이 극히 미미 하리라던 일부 예상과 달리 성능도 체감할 수 있을 정도로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K 게임까지는 무리가 있지만 QHD 에서는 옵션 조정을 통해 대부분의 게임을 부드럽게 플레이 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특히 이 제품은 DLSS 4 라는 강력한 무기를 가지고 있어 프레임 확보가 필수적인 게이밍 모니터 사용 유저들도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MSI 지포스 RTX 5060 게이밍 OC D7 8GB 트윈프로져는 OC가 적용된 MSI 의 고급형 라인업 모델이기 때문에 경쟁사들의 보급형 모델들과의 비교해 성능차도 분명할 것으로 예상된다. RTX 5060 그래픽카드를 구입하고 싶지만 좀더 나은 품질과 성능의 제품을 원한다면 좋은 대안이 될 것이다.


고가의 그래픽카드에서 적용되는 다양한 쿨링 기술을 적용해 저발열과 저소음을 실현한 것도 아주 마음에 든다. 게임을 실행하거나 3DMARK를 실행했을 때 온도가 60도 초반으로 동작했을 뿐만 아니라 팬소음의 변화가 거의 없어 테스트중 전혀 불편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았다.


낮은 소비전력으로 전기세 걱정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파워 서플라이 선택도 자유로운 점 또한 매력적인 부분이다. 800W 이상의 파워 서플라이를 사용하는 RTX 5070 이상급의 그래픽카드 장착 PC와 달리 500~600W 정도면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크기가 상당히 작아 미니PC를 선호하는 유저들에게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SFF-Ready Enthusiast GeForce Card 크기 가이드를 충족시키는 사이즈를 가진 제품으로 대부분의 PC케이스에 제약없이 설치할 수 있다.


전용 S/W 지원으로 편의성을 높인점도 칭찬하고 싶다. MS 스토어 등에서 MSI 센터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해 주면 시스템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주파수 조정을 통해 성능을 더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팬속도 조절도 가능하고 조명 효과도 임의대로 설정할 수 있다.


100만원에 육박하는 고가의 그래픽카드 가격에 부담을 느끼는 유저들이나 FHD 나 QHD 게이밍 모니터를 사용하는 유저들에게 추천한다. 최신 게임을 부드럽게 즐길 수 있는 강력한 성능의 그래픽카드로 만족스럽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김원영 기자 : goora@noteforum.co.kr


[디지털 모바일 IT 전문 정보 - 노트포럼]

Copyrights ⓒ 노트포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동영상리뷰

HOT REVIEW

LASTEST REVIEW

NOTEFORUM
노트포럼 대표 김원영 사업자번호 : 635-02-00945 주소 : 서울시 용산구 효창원로 94, B1 등록번호 : 서울 아04916 제호 : 영테크
발행·편집인 : 김원영 등록 : 2018.01.09 발행 : 2018.01.09 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원영 이메일 : master@noteforum.co.kr
2006-2025 NOTEFORUM. Co. All Rights Reserved.

02-711-2075

월-금 09:00-18:00 / 주말,공휴일 휴무
News 52,634 Review 3,424
2006-2025 NOTEFOR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