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LG전자는 3가지의 색다른 MP3P를 발매하며 다른 MP3P제조사들을 위협하고 있다. FM35의 성공을 바탕으로 FM33, FM37, T50등을 출시하며 그동안 지지부진하던 MP3P 분야에 힘을 쏟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형재 중에 가장 최근에 출시된 T50은 전작인 FM35와 크게 다르지 않지만 그동안 단점으로 지적되 오던 문제를 해결하고 각종 기능들을 추가시킨 마이너 업그레이드 모델이라 할 수 있다. 최근 출시되어 유저들에게 사랑받고 있는 D2나 mini, miniDX 등과 비교하여 어떤 장점을 가지고 있을지 리뷰를 통해 하나하나 알아보도록 하자.
색상 | Black / White |
메모리 | 1GB / 2GB |
무게 | 88g (배터리
포함) |
사이즈 | 52 x 96 x 14mm |
배터리/전압 | 내장형 리튬이온 배터리 DC3.7V, 950mAh |
재생 시간 | Audio : 40시간 / Video : 8시간 / DMB : 4시간 |
디스플레이 | 2.4인치 26만 컬러 TFT LCD |
USB | USB 2.0 |
파일 포맷 | Video: LG AVI
(MPEG4, 320x240@30fps) Audio: MP3, WMA,OGG, ASF 기타 : BMP, JPG, TXT |
출력 |
18mW + 18mW |
신호대 잡음비 |
85dB 이상 |
채널 분리도 |
35dB(1kHz) 이상 |
주파수 범위 |
20Hz ~ 20kHz |
EQ | EQ : Normal/
Auto EQ/ User EQ/ Live/ Dance/ Classical/ Jazz/ Hiphop-Rap/ R&B-Soul/ Rock /
POP 음장 : 3D Expander/ Stadium/ Concert Hall/ Club/ Room/ Bass Boost/ X-Live Mode지원 |
부가기능 | MTP/MSC 모드
지원 WM-DRM 10, X-Sync 2.0 DRM지원 |
제품 구성 |
본체, 이어폰, USB케이블, 사용설명서 |
지원운영체제 | Device 지원 :
Windows 98SE/ME/2000/XP Media Center : Windows 2000/XP Lyrics Center : Windows 98SE/ME/2000/XP |
FULL KIT의 모습으로 FM35와 같이 박스가 상당히 멋스럽다. 본체와 USB케이블, 이어폰, 사용설명서 등이 동봉되어 있어 악세사리를 최소화 한 것을 알 수 있다. 언제나 그렇듯 너무 단촐한 악세사리가 아닌가 생각된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사용설명서의 표지를 좀더 세련된 것으로 교체했으면 좋겠다. 기존 LG의 전자제품에 들어있는 설명서의 표지와 동일하여 최신 디지털 제품의 분위기를 상당히 반감 시키고 있다.)
52 x 96 x 14mm 의 크기와 88g의 무게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아 FM35의 바디를 그대로 채용한 것을 알 수 있다. (FM35와 동일) 워낙 두제품이 흡사하기 때문에 디자인에 대한 특별한 분석은 필요 없을 듯 하다. (이름까지 다른 모델임에도 불구하고 전면 버튼을 제외하고 디자인이 동일한 것은 아쉬움이 크다.)
전면의 모습으로 2.4인치 26만 컬러 TFT LCD를 채용 하였으며 전작과 마찬가지로 선명도는 상당히 뛰어나기 때문에 시각적인 만족감이 높은 제품이다. 하단 버튼부의 경우 기존의 조그버튼 스타일에서 십자버튼 스타일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버튼의 클릭감도 뛰어나며 대부분의 컨트롤이 십자 버튼에서 가능하므로 기기의 사용은 무척 간편하다.
기기 상단의 모습으로 이어폰 연결단자와 DMB안테나가 설치되어 있다. DMB안테나는 4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6Cm로 DMB방송을 수신하는데 큰 문제는 없다. 상단의 사진과 같이 DMB나 동영상을 장시간 감상할 경우 거치대로 사용하는 센스를 발휘할 수 있다.
기기 하단의 모습으로 데이터 전송 및 충전을 위한 24핀 단자가 부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커버가 설치되어 단자를 보호하고 있으며 핸드폰용 24핀 충전기를 사용할 수 있어 호환성은 뛰어난 편이다.
기기 좌측의 모습으로 HOLD 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면과 양측면에 버튼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제품에 비해 활용도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기 우측의 모습으로 RESET버튼과 DMB바로가기 버튼이 설치되어 있으며 메뉴, EZ버튼과 재생(전원)버튼이 부착되어 있다.
기기 뒷면의 모습으로 별다른 버튼은 부착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를 채용하고 있으며 총 40여 시간의 MP3 재생이 가능하여 다른 제품에 비해서는 상당히 만족스런 편이다.
다양한 제품과의 크기비교 모습이다. 작다는 느낌은 받을 수 없으나 한손에 들어오는 크기로 휴대성에서는 큰 부담을 느끼지 않으리라 생각한다.
사용설명서 및 USB케이블, 이어폰이 동봉되어 있다. (보다 자세한 사용설명서는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아야 한다.)
기기의 디자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전면 버튼을 제외하고는 별다른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해 무척 난감하였으며 UI디자인도 사진과 같이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럼 무엇이 바뀌었단 말인가? FM35와 달라진 점이라면 왼쪽 하단의 사진과 같이 동영상이 기능이 추가 되었다는 점이다. 좀더 많은 변화를 원했던 필자에게는 실망스럽긴 하지만 다른 DMB내장 MP3P와 같이 동영상을 지원하는 것으로 위안을 삼아야 할 듯 하다.
|
|
|
전체목록의 모습으로 탐색기 기능이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빠를 것이라 생각된다. 사진과 같이 폴더가 모두 표시되며 다이렉트로 각종 파일을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파일의 이동이나 삭제 기능등은 지원하지 않는다.)
|
|
|
음악메뉴의 모습으로 다양한 재생방법을 지원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MP3나 WMA파일 이외에도 ASF, OGG 파일도 지원하는 것이 무척 마음에 든다. (홈페이지에서 LG Media Center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면 보다 쉽게 파일을 정렬할 수 있다.)
|
|
|
사진과 같이 음악 재생중 EZ버튼을 누르게 되면 설정창이 뜬다. EQ를 비롯한 다양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어떤 기기보다 재생중 기능변경이 간편한 것이 무척 인상적이다.)
전용 이어폰을 이용하여 음질을 테스트 해 보았다. FM35와 마찬가지로 EQ 선택의 폭도 넓은 편이며 3D Sound를 지원하여 다양한 음색의 표현이 가능하다. 기본적인 사운드의 퀄리티가 뛰어나기 때문에 다양한 음색을 원하는 유저라면 무척 좋은 선택이 되리라 생각한다.
|
|
|
DMB를 실행한 모습이다. DMB버튼을 이용하여 TV와 Radio 변경 이 가능하며 채널이동이 무척 간편하다. 또한 EZ버튼을 통해 화면밝기 및 채널검색을 할 수 있다.
|
|
|
방송을 청취하고 있는 모습이다. 실내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채널에서 끊킴현상 없이 방송을 재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타 제품과 비교해 볼때 수신율에 대한 문제는 전혀 발견할 수 없었다.)
다양한 DMB지원 기기들과 화질을 테스트 해 보았다. 우선 FM35와는 동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PDA보다는 훨씬 선명한 화질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다른 기기와 마찬가지로 핸드폰의 화질을 따라오지는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
|
Radio를 실행한 모습이다. 사진과 같이 DLS 및 JSS를 완벽하게 지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별다른 끊킴 현상도 발생하지 않았으며 원할하게 라디오를 청취할 수 있었다.
|
|
|
T50의 새로운 기능이라 할 수 있는 동영상 재생화면의 모습이다. 메뉴에 들어가게 되면 파일이 표시되어 쉽게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으며 EZ버튼을 통해 화면밝기나 파일정보의 확인이 가능하다.
|
|
|
LG Media Center를 이용하여 파일을 변환하여 동영상을 테스트 해 보았다. (파일의 변환은 무척 간편하다. Media Center에서 포맷변환기를 선택한 후 파일을 추가하여 확인 버튼만 누르면 변환이 이루어진다.) 동급의 다른 26만 컬러 제품들과 비교해 볼때 LCD가 무척 선명하여 동영상 재생시 전혀 불편함을 느끼지 않았다. 약간의 계단현상이 발생하긴 했지만 다른 제품과 비교해 보았을 때 상당히 양호한 수준이며 특히 암부에서 화면이 깨지지 않는 것이 가장 마음에 든다. (필자 개인적으로는 무척 만족스럽다.)
|
|
|
이미지를 재생하는 사진 메뉴의 모습이다. 미리보기 기능을 지원하기는 하지만 FM35와 마찬가지로 촌스런 느낌을 지울 수 없다. 멀티테스킹을 지원하여 음악을 들으면서 사진을 감상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 간격이나 화면 밝기의 설정이 가능하다.
|
|
|
사진의 재생 모습이다. 3000픽셀 이상의 원본 파일도 원할하게 재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미지도 대체적으로 선명한 편이다. 하지만 3000픽셀 사진의 경우 약간의 깨짐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
|
|
텍스트 뷰어의 실행 모습이다. 1MB이상의 파일도 인식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사진 메뉴와 마찬가지로 음악을 들으면서 E-BOOK을 감상할 수 있다. EZ메뉴에서는 자동 페이지 이동이나 화면 밝기의 설정이 가능하다.
|
|
|
설정 메뉴의 모습이다. 다양한 메뉴가 제공되며 설정 변경이 무척 간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
|
|
음악설정 메뉴의 모습이다. EQ 및 3D Sound설정이 가능하며 재생속도 조절, 페이드 인, ID3태그, 스크롤 속도 등의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배경사진 설정 기능을 제공하여 자신만의 특색있는 기기를 만들 수 있다.
|
|
|
사진메뉴에서는 슬라이드 쇼 간격 설정이 가능하며 텍스트 메뉴에서는 문자색 및 자동페이지 시간설정을 할 수 있다.
|
|
|
사진과 같이 자동화면꺼짐 및 전원꺼짐 설정을 통해 배터리를 능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
|
|
취침예약 및 시간 설정이 가능하며 알람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
|
|
|
일반설정 메뉴의 모습이다. 리쥼설정 및 설정초기화 기능을 제공하며 사진과 같이 시스템 정보의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다양한 언어 (10개 언어)를 지원하여 외국인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USB 설정이 가능하다. MSC를 선택하면 일반적인 이동식 디스크로 인식하며 MTP로 설정하면 Mobile장치로 인식하여 WMP10 과 호환된다.
FM35의 성공을 바탕으로 다양한 제품을 비슷한 시기에 출시하여 MP3P 시장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자 하는 느낌을 강하게 받을 수 있었다.
기기의 컨트롤이 무척 쉬운 것이 가장 만족스럽다. 전면에 부착된 십자버튼을 통해 대부분의 컨트롤이 가능한 것을 확인 하였으며 메뉴나 설정 버튼이 우측에 따로 배치되어 전혀 복잡하다는 느낌을 받지 못했다. 또한 동급의 다른 제품들과 비교하여 LCD가 상당히 선명하여 DMB나 동영상을 감상하는 것이 무척 즐겁다. 또한 사운드 설정도 무척 다양하기 때문에 다양한 음색을 원하는 유저들에게는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하지만 현재 경쟁 기종이라 할 수 있는 D2나 miniDX와 같이 외장 메모리 슬롯을 지원하지 않아 저장용량의 한계를 느껴야 하는 것이 무척 안타깝고 동영상을 제외하고는 FM35와 큰 변화를 느낄 수 없어 기존 유저들에게 어필하는 것은 어려우리라 생각된다.
FM35와 마찬가지로 전체적인 기기의 완성도는 상당히 뛰어난 편이다. 동영상 기능도 상당히 뛰어나기 때문에 다양한 기능을 원하는 유저들에게 환영 받을 만한 기기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