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P3P 시장을 차지하려는 경쟁이 그 어느때 보다 치열하다. 올 상반기 본격적으로 출시된 코원 S9은 아이팟을 넘어서는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으며 소니의 프리미엄 MP3P X1050 또한 차별화된 사운드와 기능으로 매니아를 더욱 늘리고 있다. 또한 프리미엄 라인업에서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이던 삼성도 M1 이라는 야심작을 출시하며 다소 높은 가격임에도 불구하고 큰 사랑을 받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야말로 MP3 플레이어의 춘추전국시대라 할 수 있다. 이번에 리뷰를 진행 할 MicroSoft ZUNE HD는 아이팟의 가장 강력한 경쟁자로 일컬어 지는 제품으로 눈을 사로잡는 세련된 UI와 부드러운 터치감이 인상적인 제품으로 프리미엄 제품답게 스펙도 무척 화려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에서는 쉽게 찾아보기 힘들기 때문에 zune HD에 대해 궁금해 하는 유저들이 무척 많았다. 리뷰를 통해 제품의 장단점 및 차별화된 기능등을 파악해 보도록 하자.
@ 리뷰를 진행하는 zune HD 의 경우 국내에 출시되지 않았으며 추후에도 출시될 가능성은 상당히 희박한 모델이다. 이점 염두해 주기 바란다.
☆ 본제품은 테스트 용 기기로 실제 판매 제품과 스펙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FULL KIT 의 모습으로 국내 제품들과 마찬가지로 심플하게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체를 비롯하여 데이터 싱크 케이블 및 퀵메뉴얼 등을 제공하며 이어폰 및 3종류의 이어폰 솜이 동봉된 것을 알 수 있다.) @ AV Dock 과 같은 관련 액세서리 들도 판매되고 있다.
52.7 x 102.1 x 8.9mm 의 크기와 74g 의 무게로 휴대성은 대단히 만족스러운 제품이다. 다른 프리미엄 제품들과 비교하여 가벼울 뿐만 아니라 9mm를 넘지 않는 슬림함으로 손에 감기는 맛도 상당히 만족 스러우며 크기도 부담스럽지 않아 주머니에 간편하게 보관하며 사용할 수 있다. (스트랩고리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목에걸고 다닐 수 없는 것이 아쉽다.)
기기의 디자인도 고급스럽고 사이버틱한 느낌을 충분히 살린 것을 알 수 있다. 심플하고 간결한 전면부와 프리즘을 연상시키는 후면부가 눈에 띄며 실버라인을 측면부에 적용하여 단조로움을 탈피한 것 또한 무척 만족스럽다. (소니의 제품을 연상시킬 정도로 사이버틱한 느낌을 살린 것에 좋은 점수를 주고 싶다.) @ 단순한 메탈 재질이 아닌 산화피막 처리된 알루미늄 재질의 케이스를 사용하여 내구성을 높인 것 또한 유저들에게 큰 만족감을 주리라 생각한다.
기기 전면부의 모습으로 3.3형의 디스플레이를 장착하여 좁다는 느낌없이 다양한 컨텐츠를 즐길 수 있으며 정전압 방식의 OLED를 탑재하여 최상의 선명도와 터치감을 느낄 수 있다. (OLED의 장점은 일일이 설명할 필요가 없으리라 생각한다. 일반적인 TFT LCD와는 확연히 차이나는 선명한 영상을 구현하고 있다. 동영상 프리뷰에서 시야각 등을 테스트 할 예정이다.) @ 멀티터치도 지원되는 제품으로 인터넷 등을 사용할 때 보다 편하게 컨트롤 할 수 있다.
복잡하게 버튼이 나열된 중저가형 제품과 달리 버튼을 최소화한 제품으로 전면에는 하단 중앙에 HOME 버튼만이 설치된 것을 알 수 있다.
기기 상단부의 모습으로 중앙에 전원 버튼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스마트 폰 방식의 전원버튼이라 이해하면 될 듯 하다. 길게 눌러 전원을 끌 수 있는 것은 물론 짧게 눌러 화면을 끄고 터치를 HOLD 상태로 만들 수 있다.)
기기 하단부의 모습으로 3.5파이 이어폰 단자가 설치되어 기본 제공되는 이어폰 뿐만 아니라 사용하고 있는 이어폰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중앙에는 충전 및 데이터 싱크를 위한 단자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용 케이블로 PC와 연결할 경우 3시간의 충전시간이 소요된다.)
기기 좌측면의 모습으로 상단에는 상단에는 미디어 컨트롤 버튼이 부착되어 있으며 (어떻게 사용되는 지는 UI 부분에서 설명드릴 예정이다.) 하단에는 'Hello From Seattle' 이라는 문구가 세겨진 것을 알 수 있다. @ zune HD를 설계한 시애틀을 (MS 본사) 위트있게 표현한 것 같다.
기기 후면부의 모습으로 대부분의 제품들과 마찬가지로 내장형 배터리 방식을 취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660mAh 용량의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으며 33시간의 음악재생 및 8.5시간의 동영상 재생이 가능하다.) @ 기기 구입시 요청에 따라 각인 서비스를 무료로 해 주고 있다. 테스트 용 제품 또한 레이져를 이용하여 후면부를 각인했다.
한손안에 쏙 들어올 정도의 크기를 가진 제품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슬림하고 각진 후면부 때문인지 그립감이 상당히 색다르다. 또한 손에 쥐었을 때의 차가운 느낌이 상당히 좋았다.)
최근 인터넷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 아이폰, 삼성의 프리미엄 MP3P M1 과의 비교 모습으로 디스플레이나 제품의 크기는 아이폰보다 작으며 M1과는 거의 흡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제 크기는 삼성 P3와 거의 비슷하다.) @ 많은 유저들이 동의하지 않겠지만 필자는 디자인이나 활용성, 편의성 등을 고려할때 M1이 가장 마음에 든다. 아이폰의 경우 아무리 기기가 좋다해도 현지화를 전혀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별 관심이 없다. (zune HD 의 경우 국내에 정식으로 출시된 후 평가가 이루어 져야 할 것 같다.)
기본 액세서리의 모습으로 퀵 매뉴얼 및 데이터 전송 케이블, 이어폰, 이어폰 솜 등이 제공된다.
기기의 디자인이이나 전체적인 하드웨어 구성은 국내에 출시되는 제품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UI 인터페이스 및 지원 기능은 국내 출시제품들과 다른 모습을 보여주리라 예측된다. 기본 지원되는 다양한 기능을 살펴보고 테스트를 통해 기기의 성능을 확인해 보도록 하자.
기기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우선적으로 zune Software를 살펴보아야 할 것 같다. 가장 중요한 파일전송 기능 뿐만 아니라 음악이나 동영상 등의 플레이어 기능을 지원하여 마켓 플레이스를 통해 음악이나 동영상, 어플리케이션등을 구입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다소 무겁다고 평가되는 아이튠스와 달리 PC에 별다른 부담을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단의 사진은 zune Software를 실행한 후 QUICKPLAY를 실행한 모습으로 새로 저장했거나 재생했던 음악, 동영상 등의 컨텐츠를 표시해 주어 일일이 파일을 찾을 필요 없이 간편하게 선택 후 재생할 수 있다. (상단에 말씀드린 것과 같이 플레이어 기능도 제공된다.)
PC에 저장된 음악을 재생하고 있는 모습으로 화려한 비쥬얼이 눈을 사로잡고 있다. 유저가 가지고 있는 음악 파일을 저장했을 때 마켓 플레이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단의 사진과 같이 등록되어 있는 앨범아트가 모자이크 방식으로 배경에 깔리게 되며 (시간이 지나면 랜덤으로 변하게 된다.) 마켈플레이스에서 음악을 구입했거나 마켓플레이스에 등록된 음악 파일일 경우 하단의 사진과 같이 전용 배경화면을 제공한다. @ 하단의 백그라운드는 zune Software 뿐만 아니라 기기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음악 재생 및 동영상에서 자세히 알아볼 예정이다.
HDD 에 저장된 다양한 컨텐츠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주는 COLLECTION 메뉴의 실행 모습으로 음악의 경우 아이스트, 앨범, 노래 등이 3단으로 정렬되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곡을 재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측 하단에 빨간색 아이콘으로 드래그 하여 곡을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각종 컨텐츠를 손쉽게 구입할 수 있도록 MARKETPLACE 메뉴를 제공하고 있다. 음악에 특화된 zune HD 답게 다양한 음악이 판매되고 있으며 동영상의 경우 완전히 구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 기간동안만 재생할 수 있는 랜탈 서비스도 제공된다. 또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및 팟캐스트 등을 구입하여 기기를 보다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SOCIAL 메뉴의 실행 모습으로 마켓 플레이스에서 구입한 컨텐츠의 사용빈도를 분석하고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싱크를 통해 컨텐츠를 기기에 저장하고 있는 모습이다. (프로그램에서 자동으로 파일의 재생여부를 판단해 준다. 다이렉트로 재생되는 컨텐츠의 경우 별다른 과정없이 빠르게 저장되며 변환이 필요한 컨텐츠의 경우 자동으로 변환된 후 저장된다.)
music 메뉴를 살펴보기 전에 메인 UI를 확인해 보도록 하자. 사진과 같이 백그라운드 화면이 제공되며 (손가락으로 밀어 올려주면 메인 UI가 표시된다.) 사진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국내에 출시되는 제품들과는 메뉴가 상당히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좌측면의 다양한 메뉴를 통해 보다 빠르게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플레이 되고 있는 음악이 표시되며 재생중 화면을 길게 눌러 Pins 등록이 가능하다. 또한 히스토리가 표시되며 새롭게 저장된 컨텐츠도 확인할 수 있다.)
폴더검색을 지원하는 제품들과 달리 철저하게 DB검색만을 지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태그정리는 zune Software로 가능하며 태그가 적용된 컨텐츠를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티스트, 플레이리스트, 노래, 장르, 앨범 등의 검색방식을 지원하며 심플하지만 화려한 맛을 느낄 수 있다. @ 노래 메뉴를 이용하고 곡을 선택할 경우 관련 정보를 등록된 친구에게 전송할 수 있다.
곡을 선택 후 재생하고 있는 모습으로 별도의 배경이 없는 음악 파일의 경우 앨범아트 및 곡 정보만 표시되는데 반해 배경을 지원하는 파일의 경우 사진과 같이 백그라운드로 배경이 설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단에는 뒤로가기 버튼이 지원되며 하단에 있는 3개의 버튼을 이용하여 랜덤, 반복, 선호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스크린세이버 기능을 제공하여 음악재생 후 일정시간 기기를 작동하지 않을 경우 사진과 같이 다체로운 영상이 재생된다. 동영상을 통해 확인하기 바란다.)
전용 이어폰을 이용하여 음질을 테스트 해 보았는 상당히 만족스러운 저음을 느낄 수 있었으며 각 음역대가 상당히 선명했다. 기본적인 음질은 만족스런 수준이었지만 국내 제품들과 달리 음장설정은 상당히 부실한 것이 아쉽다. (설정 메뉴에서 EQ를 지정할 수 있다.)
화면을 더블클릭 하거나 MEDIA 버튼을 누르게 되면 사진과 같이 재생 설정창이 표시되어 볼륨이나 다음/이전곡 등을 손쉽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재생중 곡 제목을 누르게 되면 앨범의 리스트가 표시되어 간편하게 원하는 음악을 선택할 수 있으며 화면을 길게 눌러 퀵 플레이 및 플레이 리스트 설정이 가능하다.
동영상 기능을 실행한 모습으로 저장된 모든 파일이 가지런히 정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썸네일을 지원하여 간편하게 파일을 확인할 수 있다.) @ 썸네일을 누르면 자동으로 이어보기가 실행되며 파일명을 클릭할 경우 우측의 사진과 같이 이어보기와 처음부터 보기 아이콘이 표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OLED를 지원하는 제품답게 선명도에서는 전혀 부족함을 느낄 수 없었다. (음악과 같이 더블클릭이나 MEDIA 버튼을 누르면 볼륨 및 전체화면설정, 재생관련 창이 표시된다.) 엔비디아의 테그라 칩셋을 사용한 제품답게 1280 x 720 의 HD 동영상 (MP4/AAC 로 인코딩 후 저장) 을 완벽하게 재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빠르고 부드러운 움직임이 상당히 인상적이었다. @ HD 동영상을 재생하는 것은 성능면에서 볼때 상당히 만족스럽다. 하지만 다른 동영상과 HD 동영상의 화질 차이가 크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무변환 동영상 재생을 지원하지 않아 실용성 측면에서는 좋은 점수를 주고 싶지 않다. 단, AV Dock을 구입한 후 HDMI를 통해 디지털 TV와 연결하여 동영상을 감상할 경우 매리트를 느낄 수 있다.
pictures 기능을 실행한 모습으로 폴더 및 날짜 검색을 지원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미리보기를 지원하여 간편하게 파일을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백그라운드 설정을 지원하며 멀티터치 통해손쉽게 사진을 확대/축소 할 수 있다. (G센서가 내장되어 기기의 기울임에 따라 사진이 자동으로 회전된다.)
FM Radio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중앙의 주파수를 밀어주면 자동으로 방송을 찾아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프리셋 등록 및 확인 기능도 제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국내 출시 제품은 아니지만 라디오를 청취하는데 전혀 불편함은 없었다. 채널 검색도 빠르고 실내에서도 깨끗한 사운드를 재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HD Radio도 지원되는 제품이다. (국내에서는 테스트 하지 못하는 점 양해 바란다.)
zune Software 뿐만 아니라 기기에서도 마켓 플레이스를 이용하여 음악이나 어플리케이션 등을 구입할 수 있다. (단, wifi가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상단의 사진은 음악을 선택한 모습으로 새로 출시된 앨범들이 표시되며 장르를 선택하여 등록된 앨범을 살펴볼 수 있다. 앨범->곡을 선택하면 사진과 같이 곡이 재생되며 카트 아이콘을 누르면 구매가 완료된다.
음악 뿐만 아니라 각종 어플리케이션도 판매되고 있다. (게임 및 유틸리티 등을 다운로드 받아 기기에서 즐길 수 있다.) @ zune 패스를 구입했을 경우 음악이나 어플리케이션을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패스의 가격은 한달에 15불 정도 지불해야 한다.)
wifi를 통한 공유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social 메뉴를 제공하고 있다. zune 홈페이지에서 자신의 이메일을 등록한 후 wifi를 통해 같은 기기를 사용하는 사람들 끼리 정보를 주고 받거나 음악을 들을 수 있다. (다운로드나 업로드 개념은 아니다. 친구로 등록된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도구라 이해하기 바란다.) @ 테스트 제품에는 친구가 등록되지 않아 메시지가 표시되지 않았다.
wifi를 지원하는 제품답게 인터넷 사용도 가능하다. 사진과 같이 풀브라우징을 지원하며 멀티터치 및 G센서를 완벽하게 지원하여 인터넷을 사용하는데 큰 불편을 느끼지 않았다. (속도도 무척 빠르기 때문에 해상도로 인한 답답함 없이 원할하게 웹서핑을 즐길 수 있었다.) 또한 소프트 쿼티 키보드를 지원하여 간편하게 URL을 입력할 수 있으며 (당연히 한글은 지원하지 않는다.) 즐겨찾기도 지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코드 문제로 인해 대부분의 한글사이트 에서는 한글이 깨지는 현상이 발생했으며 플래시도 지원되지 않았다. 하지만 몇몇 모바일 사이트의 경우 한글이 깨지지 않았다. (최근 스마트폰 유저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는 박스웹 사이트의 한글은 깨지지 않았다.)
마켓 플레이스에서 다운로드 받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모습으로 계산기와 같은 유틸리티 뿐만 아니라 다양한 게임을 자유롭게 즐길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설정 메뉴를 확인해 보도록 하자. 상단의 사진은 WIRELESS 설정의 모습으로 무선랜 활성화/비활성화를 지원하며 무선 네트워크 검색 및 연결이 가능하다. (맥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DISPLAY 설정에서는 TV-OUT 설정 (전용 AV DOCK을 구입하면 HDMI 및 COMPOSITE 연결이 가능하다.) 및 화면꺼짐, 밝기, 화면회전, 스크린 세이버 설정이 지원되며 MUSIC 설정에서는 EQ (ACOUSTIC, CLASSICAL, ELECTRONIC, HIP HOP, JAZZ, POP, ROCK) 설정 및 아티스트 (ALBUM ONLY, SONG AND ALBUM) 설정을 지원한다.
RADIO 설정에서는 국가 설정 (미국, 유럽, 일본) 이 지원되며 탐색 및 프리셋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CLOCK 에서는 12/24시간 설정을 지원하며 시간을 등록할 수 있다.
SCREEN LOCK 에서는 백그라운드 이미지를 초기화 할 수 있으며 암호입력을 지원한다. 또한 INTERNET 설정에서는 히스토리를 삭제할 수 있고 데스크탑/모바일 컨텐츠 설정이 가능하다. (쿠키 및 스크립트 설정도 지원하고 있다.)
KEYBOARD 설정에서는 태그관련 문자 수정 기능을 제공하며 (자동으로 대문자로 입력된다.) LANGUAGE에서 영어 및 프랑스어, 스페인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ABOUT를 통해 기기의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MicroSoft zune HD 디자인 & 구동 동영상]
국내에서 출시되는 제품들과는 기본적으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어 리뷰를 쓰는데 상당히 애를 먹었다. (부족한 영어 실력 때문에 문장을 해석하는 것도 무척 힘들었으며 비슷한 인터페이스의 아이팟을 사용하지 않아서인지 이것저것 테스트 해 보느라 상당히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없었다.) 하지만 고생한 만큼 많은 공부를 한 것 같아 개인적으로 무척 뿌듯하기도 하다.
이 제품의 가장 큰 장점은 성능이라 말씀드리고 싶다. 아이팟과 비교해도 전혀 부족함이 없는 완벽한 터치감을 느낄 수 있었으며 테그라 칩셋을 사용한 제품답게 HD동영상도 버벅임 없이 완벽하게 재생하였다. 또한 wifi를 통해 인터넷을 실행했을 때 기존에 사용하던 스마트 폰 과는 비교되지 않을 정도로 빠르게 구동되는 것에 놀랐다. (어떤 기능을 실행하던 버벅임이 없다고 생각하면 될 듯 하다.)
또한 다소 심플하게 느껴지는 국내 제품들의 UI와 달리 음악을 실행할 경우 눈을 사로잡을 정도로 화려한 모습을 볼 수 있었으며 보다 편하게 기기를 작동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 UI 인터페이스가 상당히 인상적이었다. (뒤로가기 아이콘이 작은 대부분의 제품들과 달리 zune HD의 경우 상단부만 눌러주면 뒤로가기가 가능하다. 테스트 내내 '머리를 잘썻구나' 라고 생각했던 부분이다.)
지상파 DMB, 폴더검색, 자유로운 데이터 저장, 무변환 파일재생 등이 지원되는 한국형 MP3 플레이어를 선호하는 필자의 입장에서 본다면 결코 만족스런 제품이 아니다. 하지만 전용 프로그램 사용에 익숙하고 화려한 비쥬얼을 좋아하는 유저들에게는 더할나위 없이 좋은 제품이 되리라 생각한다.
MS zune HD를 테스트 하며 국내 제조사에서도 배우고 적용해야 할 부분이 많은 것을 다시금 느낄 수 있었다. (완벽한 터치감도나 , 화려하고 터치를 고려한 UI 인터페이스 등등) 국내에 판매될 예정은 없지만 구매대행 등을 통해 기기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유저들이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추후 정식출시를 통해 보다 많은 유저들이 zune HD를 경험할 수 있었으면 좋겟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