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를 구입한 후 자잘한 사고한번 없이 여기저기 잘 타고 타니던 필자는 얼마전 사고를 내고 말았다. (주차된 차를 들이받아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다. 보험사에 신고하여 깔끔하게 일처리를 하긴 했는데 내년부터 오를 보험료를 생각하면 눈물이 앞을 가린다.) 사고가 한번 나고나니 운전대만 잡으면 긴장하고 되어 다시 초보가 된 기분까지도 들고 있다.
만약 필자가 보험사에 신고를 하지 않고 그냥 도망갔다면 피해 차량들은 어떻게 되었을까? 만약 목격자가 있었다면 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었겟지만 그렇지 않았다면 고스란히 피해를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요즘은 여기저기 CCTV가 설치되어 도움을 받곤 하지만 대부분 피해자들은 아무런 물질적 보상을 받지 못하는 것 또한 현실이다.)
이런 이유로 최근 블랙박스라 불리우는 차량용 영상 기록장치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운행중 차량사고는 물론 주차중 사고에도 반응하여 녹화를 해 주기 때문에 최근 영업용 택시들이 필수적으로 블랙박스를 장착하고 있으며 일반 오너드라이버 들도 보험을 든다는 생각으로 블랙박스를 설치하고 있다.
운전을 하고 있는 필자 또한 블랙박스에 대해 궁금한 점이 무척 많았는데 마침 현대모비스 블랙박스 HDR-1300 Series 가 입고되어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을 듯 하다. (현재 출시되고 있는 제품들과 달리 성능이나 기능에서 진일보한 제품이라는 이야기를 들어 더욱 기대가 크다.) 리뷰를 통해 블랙박스가 어떻게 활용되는지 살펴보고 HDR-1300 Series 만의 차별화 된 장점을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제품명 | 현대모비스 블랙박스 HDR-1300 Series | |
카메라 | 카메라 해상도 | 1280 x 960 |
이미지 센서 | 130만 화소 CMOS | |
카메라 화각 |
90° ~ 120° | |
최소 조도 | 1 Lux | |
저장 | 비디오 압축 | MPEG-4 |
녹화 해상도 | 640 x 480 | |
저장 시간 | 10초 ~ 60초 | |
저장 속도 | 30 fps | |
연속 녹화 | 4시간 녹화 (4GB 기준), 8시간 녹화 (8GB 기준) | |
이벤트 | G센서, 긴급녹화 | |
G센서 | 3축값 저장, 충격/김속/가속 정지 | |
수동 저장 | 수동 동영상 촬영기능 (최대 200분 저장) | |
TV 출력 | 기능 | 녹화영상 화면보기 |
기타 | GPS | GPS 모듈 장착 |
오디오 | AAC (Advanced Audio Cording) | |
선택 사양 | SD Card | 4GB, 8GB (최대 32GB) |
OBD 커넥터 | 속도, RPM, 브레이크, TPS 등 | |
재생 | 전용 프로그램 | 속도, 위치, 3축값, 플레이어 지도 연동, 영상재생, 감도 조절 |
플레이어 | 일반 동영상 뷰어 | |
전원 | 12V | |
보조 배터리 | 200mA/h | |
제원 | 무게 | 140g |
크기 |
132 x 47 x 56mm | |
A/S | 1:1 무료교환 서비스 |
FULL KIT 의 모습으로 다양한 액세서리가 기본 제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체를 비롯하여 사용설명서, 거치대, Card Reader, SD Card 등이 지원되며 차량용 전원 케이블 및 AV-OUT 케이블도 포함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용 S/W 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다.)
@ HDR-1350 의 경우 차량용 전원케이블 (시거잭) 대신 OBD 커넥터가 제공된다. (OBD 연결을 통해 속도, RPM, 브레이크, TPS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테스트 부분에서 자세히 알아볼 예정이니 참고하기 바란다.)
132 x 47 x 56mm 의 크기와 140g 의 무게로 부담스럽지 않은 크기와 무게를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운전중 가장 신경쓰이는 요소로 시야방해를 들 수 있다. 현대모비스 블랙박스 HDR-1300 Series 의 경우 날렵한 디자인으로 구성되어 자동차에 장착시 시야에 불편을 주지 않으리라 예상된다.) @ 물론 시중에 더 작고 가벼운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긴 하지만 성능에서 큰 차이를 보여주기 때문에 단순한 비교는 할 필요가 없을 듯 하다.
디자인은 엄지손가락을 들어주고 싶을만큼 만족스러웠다. 블랙 컬러에 하이그로시 UV코팅을 적용하여 고급스러운 느낌을 강조한 것은 물론 특유의 사이버틱한 외형으로 디자인을 중요시 하는 유저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을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저장 항목 |
단위 |
정밀도 |
해상도 |
데이터 측정범위 |
저장시간 |
저장주기 | ||
최소치 |
최대치 | |||||||
자동차운동 정보 |
속도변화 |
Km/h |
±5% |
1 |
-100 |
100 |
0~0.25 |
100 |
속도변화 |
Km/h |
±5% |
1 |
-100 |
100 |
0~0.25 |
100 | |
자동차 작동 정보 |
차량 속도 |
Km/h |
±1 |
1 |
0 |
200 |
-5~0 |
2 |
스로틀 |
% |
±5 |
1 |
0 |
100 |
-5~0 |
2 | |
브레이크 |
on/off |
. |
. |
. |
. |
-5~0 |
2 |
@ 국가 표준화 KRS5076 제정항목
현대모비스 블랙박스 HDR-1300 Series 의 가장 큰 장점을 말씀드릴 때가 온 것 같다. 대부분의 유저들이 블랙박스의 녹화 동영상만 있으면 법적인 증빙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하고 있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현재 출시되는 제품들의 경우 국가 표준화 제정항목을 완벽하게 충족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단순한 참고 자료로만 활용할 수 있을뿐 법적인 증빙자료로 활용하기에는 애로사항이 있는데 반해 현대모비스 블랙박스 HDR-1300 Series 의 경우 5개 항목의 필수사항과 가속도외 28개 항목의 선택항목을 모두 만족하여 법적 인정을 받을 수 있다. (현재 법적인정을 받을 수 있는 제품은 현대모비스 블랙박스 HDR-1300 Series 가 유일하다.)
기기 하단부의 모습으로 정품임을 표시하는 현대 모비스 홀로그램이 중앙에 부착되어 있으며 좌측에는 전원 LED, 우측에는 REC LED 가 장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하단에는 음성 녹음을 위한 내장 마이크도 지원되고 있다.
@ POWER LED를 통해 전원공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REC LED의 경우 상시 데이터 저장시에는 ON 상태를 유지하며 Event 가 발생했을 경우 깜빡이게 된다. 운전을 하면서도 이벤트 데이터 저장상황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었다.
기기 전면부의 모습으로 광각렌즈가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280 x 960 해상도의 130만 화소 이미지 센서가 내장되어 있으며 640 x 480@30fps 의 해상도로 레코딩 된다.) @ 중저가형 제품들과 달리 GPS 모듈도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으며 설치된 G센서를 통해 3축값 저장이 가능하며 충격/감속/가속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기기 우측면의 모습으로 시거잭이나 OBD 커넥터 등을 연결할 수 있는 미니 5핀 데이터 단자가 부착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외부 모니터와 연결할 수 있도록 A/V OUT 단자를 지원하고 있다. (상단에는 전원 입력단자가 부착되어 있다.)
@ 시거잭을 개조하여 OBD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일반 DC 단자에 연결하지 않고 DATA IN 단자를 사용한다.
처음 기기를 설치한 후 노출이나 앵글, 선명도 등이 정확히 맞는지 걱정할 유저들이 많으리라 생각한다. HDR-1300 Series는 일반 제품들과 달리 AV-OUT 기능을 지원하고 케이블도 제공되어 상단의 사진과 같이 사용하고 있는 내비게이션을 통해 녹화화면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시중에 출시되는 내비게이션이나 외부 모니터의 단자부가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 제공되는 케이블은Female 타입의 RCA 단자로 구성되어 있다. 필자와 같이 자신에 맞는 연결케이블을 구입 후 사용하기 바란다. (일반적인 제품의 경우 Male RCA to 3.5파이 케이블을 구입하면 될 듯 하다.)
현대, 기아 차량 전용으로 출시되는 HDR-1350 의 경우 사진과 같이 휴즈박스 하단부에 설치된 OBD (자가진단장치) 단자부에 기본 제공되는 OBD 커넥터만 연결하면 속도, RPM, 브레이크, TPS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별도의 시거잭을 연결할 필요가 없다. OBD 단자부에서 전원까지 지원되기 때문에 상시 전원을 자동으로 구현한다.)
또한 일반 시거잭이 제공되는 HDR-1300 의 경우 사진과 같이 케이블을 잘라 개조후 OBD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HDR-1350 이 지원되지 않는 대우나 삼성 등의 차량에서 OBD 정보를 저장하고 싶을 경우 개조가 필요하다.) @ 시거잭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내장 배터리를 통해 200시간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도 Event 발생시 레코딩이 진행된다.
기기 좌측면의 모습으로 데이터 저장을 위해 메모리 슬롯이 제공되며 (4GB 메모리가 기본 제공된다.) 수동녹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REC 버튼이 지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REC 버튼을 3초정도 누르고 있으면 메모리가 자동으로 포맷된다. 일일이 PC에서 메모리를 초기화 해야 하는 제품들과 달리 무척 간편하게 메모리를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제품이다. (블랙박스의 경우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일반 메모리와 달리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월 1회 정도 포맷을 해 주기 바란다.)
기기 상단부의 모습으로 카메라 케이스가 설치되어 있으며 중앙에 거치대 연결을 위한 마운트 홀이 지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단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크기는 적당한 수준이다. 한손으로 쥘 수 있을만 하며 일반적인 디지털 제품들과 비교해도 큰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준중형급 차량에 기기를 설치한 모습으로 룸미러 측면에 손쉽게 부착할 수 있었다. 상단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시야방해는 전혀 없었으며 기본 제공되는 거치대가 상화좌우로 자유롭게 회전하여 각도 조절도 무척 손쉬웠다. (거치대 바닥면의 접착력이 무척 강하기 때문에 충격이 발생해도 기기가 떨어질 일을 없을 듯 하다.)
HDR-1300 시리즈의 차별화 된 장점으로 A/S를 말씀드리고 싶다. 고장시 기기를 수리하는 대부분의 제조사와 달리 HDR-1300 시리즈는 1:1 교환 방식을 적용하여 지루하게 기다릴 필요없이 간편하게 새로운 기기를 받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국 165개 현대모비스 AS 센터에서 교환을 받을 수 있어 기기 고장시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지방 출장이나 여행 중 기기가 고장났을 경우 대부분의 제품들은 서비스센터로 기기를 보내거나 서울과 같은 대도시로 가야한다. 하지만 HDR-1300 시리즈는 전국 어디서나 교환을 받을 수 있는 편의성을 자랑하고 있다.)
@ 또한 지속적인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실시할 예정이다. 한번 물건을 팔고 나몰라라 하는 몇몇 중소 제조사와는 확연히 차별화 되는 모습이라 할 수 있다.
사진과 같이 다양한 액세서리가 기본 제공된다. (HDR-1350 은 상단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OBD 커넥터가 기본 제공된다.)
기기의 디자인 및 특징을 살펴 보았다. 이번에는 실제 주행 테스트를 통해 원할히 작동되는지 확인해 보고 화질 및 차별화 된 기능, S/W를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테스트 차량에 기기를 장착한 모습이다. 우선 거치대를 사진과 같이 룸미러 측면에 부착한 후 (룸미러와 유리에 간격이 넓다면 룸미러 부분에 부착해도 되겟지만 LED를 통해 이벤트 상황을 파악할 수 있어 측면에 부착했다.) 기기를 거치대에 결합하면 1차 작업이 끝나게 된다.
@ OBD 커넥터에 연결한 모습 (HDR-1350)
기기 장착을 마치면 시거잭이나 OBD 커넥터를 연결해야 한다. (OBD 커넥터에 연결할 경우 자체 전원을 공급하기 때문에 별도로 시거잭을 추가할 필요가 없다.) 단자에 케이블을 연결한 후 유리와 지붕 사이의 틈에 케이블을 넣어 숨김처리 하고 측면부는 A필러 틈으로 집어넣으면 깔끔하게 배선처리를 할 수 있다. (평소 차량의 DIY 에 관심은 많지만 직접해본 것은 별로 없는 필자도 간단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었다. 절대 어려운 작업이 아니므로 돈을 들여 자동차 튜닝업체에 방문하지 말기 바란다.) @ LED가 점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만으로 설치 작업은 끝나게 된다.
기기를 장착한 후 주야간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이다. (원할하게 촬영이 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내비게이션과 연결한 후 테스트를 진행했다.) 자동차가 주행을 하게되면 자동으로 전방이 10초 단위로 녹화되어 메모리에 저장되며 사고나 기타 이벤트가 발생했을 경우 (과속 방지턱 등을 넘어 기기에 흔들림이 발생했을 경우 등등) 별도의 폴더에 파일화 되어 녹화된다. @ GPS 가 내장되어 있어 촬영 화면에 시간 및 날짜가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GPS 가 내장되지 않은 일반 제품은 수동으로 입력해야 한다.)
기본 제공되는 VideoBlackBox S/W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자세히 분석할 수 있다. 상단의 사진은 메인 화면의 모습으로 좌측 상단에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고 하단에는 각종 메뉴아이콘이 지원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우측면에는 촬영된 동영상 파일이 정렬되며 하단에는 각종 운행정보가 표시되는 그래프 출력화면이 지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촬영된 동영상을 PC에서 확인할 경우 차량번호와 같은 주요 정보가 정확하게 분석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HDR1300 은 현대모비스에서 데이터 정밀분석을 대행해 주고 분석한 자료를 경찰서나 보험사에 증빙자료로 제출해 주기 때문에 사고시 보다 정확한 조치를 받을 수 있다. (단순 참고사항 으로만 활용하는 일반 블랙박스 와는 확연한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OBD 커넥터로 연결하면 보다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사진과 같이 속도 뿐만 아니라 RPM, Throttle Position (공회전, 가속, 감속, 전부하 상태), Fuel Injection (연료 분사), Brake 정보등을 확인할 수 있어 사고 발생시 더욱 명확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급발진 등이 발생했을 때 차량정보를 정확히 파악하고 법적인 증빙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OBD 커넥터를 사용할 경우 다양한 차량정보가 제공된다. 사고시 증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것 뿐만 아니라 자기 차량의 전반적인 상태를 확인하는 부분에서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Throttle Position 이나 Fuel Injection 만 봐도 차량의 상태 확인이 가능하다.)
도로 상황이나 운전 습관에 따른 데이터를 완벽하게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HDR-1350 을 통해 디테일한 정보를 저장할 경우 사고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운전 습관을 들이는 것으로도 활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2005년 이후 출시된 2,000cc 이상의 차량은 브레이크 정보까지 완벽하게 지원된다. 하지만 2,000cc 이하의 몇몇 차량은 브레이크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다. 참고하기 바란다.
기본 제공되는 리더기를 이용하여 메모리를 PC에 연결한 모습으로 3개의 폴더와 S/W 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단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S/W 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다. 메모리 포맷을 하고자 할 경우 반드시 프로그램을 PC에 저장해 두기 바란다.) @ NormalRecord 폴더에는 운행중 기본적으로 촬영되는 동영상이 저장되며 EventRecord 에서는 사고와 같이 기기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이를 인지하고 별도로 동영상을 저장한다.
데이터 출력구간 설정을 지원하는 제품으로 사진과 같이 날짜 및 시간 선택이 가능하여 원하는 날짜나 시간의 데이터를 손쉽게 파일목록에 출력한 후 동영상을 확인하고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촬영된 데이터의 양이 엄청나기 때문에 기기를 사용할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이라 할 수 있다.)
메인화면 중앙에 있는 기능아이콘을 통해 다양한 정보확인 및 기능 설정이 가능하다. 상단의 사진은 지도출력 아이콘을 누른 모습으로 사진과 같이 동영상이 촬영된 장소가 지도 및 위성으로 표시된다. (어떤 장소에서 촬영이 되었는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GPS가 지원되는 고급형 제품다운 기능이라 할 수 있다.)
@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듯 구글맵과 연동된다. 단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지 않을 경우 맵이 활성화 되지 않는다.
환경설정 아이콘을 누른 모습으로 SD 카드에 데이터 기록 환경을 설정하고 이후 동작시 설정된 조건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GMT 시간 설정을 지원하며 G센서의 민감도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날짜 출력 형식의 지정이 가능하며 이벤트 데이터의 저장 시간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컬러나 밝기, 선명도 등의 다양한 영상 설정도 지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아이콘을 누르게 되면 우측의 화면과 같이 전용창이 표시된다. 원하는 폴더를 선택한 후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게 되면 자동으로 PC에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사진과 같이 전체저장 메뉴도 지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자세하게 동영상을 확인하고 싶을 경우 영상확대 아이콘을 눌러주면 된다. (사진과 같이 별도의 창에 동영상이 표시되며 원하는 사이즈로 화면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 상단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날짜 및 시간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프린터 출력 기능을 지원하여 정지된 상태의 영상화면을 간편하게 프린트 할 수 있다.
저장된 동영상은 전용 프로그램에서만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동영상 변환 기능을 지원하여 간단한 작업 만으로도 PC에서 원할하게 촬영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변환 하고자 하는 파일을 선택한 후 동영상 변환 버튼을 누른 후 저장경로만 지정하면 자동으로 인코딩 되어 저장된다.)
[주간 촬영 동영상]
[야간 촬영 동영상]
주/야간 촬영 동영상의 모습으로 가까이 있는 차량의 번호판 정보는 충분히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선명한 영상을 구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단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AVI 변환 기능이 제공되어 PC나 웹에서 손쉽게 촬영된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 동영상 파일을 편집하고 변환하는 과정에서 다소 화질이 저하 되었음을 알아주기 바란다.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만 작동하는 일반 제품들과 달리 현대모비스 블랙박스 HDR-1300 Series 는 200mA/h 용량의 내장 배터리를 지원하여 사진과 같이 수동녹화를 할 수 있다. (운행중에 배터리가 자동으로 충전된다.) 기기를 가볍게 흔들게 되면 G센서가 이상을 감지하고 자동으로 화면을 레코딩 하게 되어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현장기록을 남길 수 있다. (사고를 대비하여 카메라를 가지고 다니는 사람이 그리 많지 않다. 폰 카메라의 경우 화질이 떨어져 정확한 상황을 인지하는데 부족함이 있는데 반해 현대모비스 블랙박스 HDR-1300 Series 의 경우 선명한 영상으로 레코딩 되어 사고 상황을 완벽하게 기록할 수 있다.) @ 대부분의 블랙박스는 휴즈박스에 연결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거쳐야 한다. 하지만 HDR-1300 Series는 그러한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수동 촬영 동영상]
[현대모비스 블랙박스 HDR-1300 Series 디자인 & 구동 동영상]
차량 사고가 발생하면 목소리 큰 사람이 이긴다는 이야기가 있다. 차량 사고와 관련되어 다양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 유저라면 차분하게 대응할 수 있지만 여성들이나 초보 운전자 들의 경우 멀 어떻게 해야할지 몰라 피해자 임에도 불구하고 가해자로 몰리는 경우가 무척 많다. (필자의 경우도 주차된 차량을 살짝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허둥지둥 어찌할 바를 몰랐던 기억이 난다. 사고가 나게되면 당황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블랙박스만 있다면 이런 걱정은 접어도 좋을 듯 하다. 특히 현대모비스 블랙박스 HDR-1300 Series 는 법적인 효력까지 인정되는 제품이기 때문에 사고 상황에 완벽하게 대비할 수 있다.
상단에 말씀드린 것처럼 이 제품의 가장 큰 장점은 단연 국가 표준화 제정항목을 만족시키는 완벽한 기능 구현이라 할 수 있다. 단순 참조용으로 활용할 수 밖에 없는 일반 블랙박스와 달리 사고의 법적인 증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어 사고 발생시 완벽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요일제 차량의 경우 올 1월부터 OBD 단말기를 사용할 경우 보험료를 할인 받을 수 있어 경제적인 면에서도 좋은 선택이 될 듯 하다. 보험기간 만료 후 OBD에 저장된 운행기록을 보험회사에 보내고 요일제 준수 여부가 확인되면 납입 보험료 중 할인액을 되돌려 받을 수 있다.)
세련된 디자인도 무척 만족스러웠으며 예상외로 설치도 무척 간편하였다. 뿐만 아니라 내장 배터리를 지원하여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도 충격을 인지하고 자동 녹화하는 기능이나 수동 녹화가 가능한 점 또한 인상적이었다. 또한 고장시 기기를 수리하는 일반 제품들과 달리 1:1 교환으로 A/S 가 진행되는 것 또한 유저들에게 만족감을 주기에 충분해 보인다.
녹화된 영상의 품질도 양호한 수준이며 이벤트 녹화 뿐만 아니라 상시녹화 기능도 지원되어 운행중 모든 상황을 추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설치 방법도 무척 간단할 뿐만 아니라 가격도 부담스럽지 않아 유저들에게 큰 인기를 끌 수 있으리라 보여진다. (기본 제공되는 S/W 의 다양한 기능또한 무척 인상적이었다.)
내비게이션과 하이패스 하이패스에 이어 블랙박스가 차량용 필수 액세서리로 자리잡을 날도 멀지 않을 듯 하다. 시중에 출시되는 일부 저가형 제품들과는 성능이나 기능에서 비교가 되지 않을만큼 뛰어난 제품으로 합리적인 가격에 최고급형 블랙박스를 구입하고 싶은 유저들에게 추천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