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세야코리아, '윈도우 7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체크리스트' 발표
마이크로소프트의 MS 윈도우 XP 서비스팩 3에 대한 지원 기한은 2014년 4월에 종료된다. 이에 많은 기업이 윈도우 XP 운영체제를 대체할 수 있는 다른 플랫폼의 운영체제(예: Linux, MacOS, WebOS 등)로의 전환 또는 가상화 기반의 인프라스트럭쳐를 고려할 수도 있지만, 기존 애플리케이션의 운영 호환성과 비용 측면에서 현실적인 대안이 되지 못한다면 결국 MS 윈도우 7으로의 마이그레이션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계획 및 실행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최근 윈도우 7 마이그레이션 계획은 피할 수 없는 당면 과제로 떠오르고 있으며, 향후 2년 내에 리스크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윈도우 7으로의 마이그레이션 계획을 수립해야만 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문제는 그간 많이 사용되고 안정화되었던 윈도우 XP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은 윈도우 7 기반으로 쉽게 업데이트되지 않으며, 사용자 데이터 및 시스템의 환경 설정 등을 모두 백업한 후 복구해야 하는 등 간단한 작업이 아니라는 점이다. 특히나 전사적으로 HW 및 SW 업그레이드 관련 테스트 및 설정, 시스템 백업 복구 계획 등을 포함하여 윈도우 7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 과 실행 마스터 플랜을 작성하지 않으면,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상을 초과하는 비용을 지불해야만 하는 사태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에 IT 자동화 관리 서비스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는카세야코리아(지사장 이인구, www.kaseya.co.kr)는 오늘, 기업 고객들이 적은 비용과 인력을 투입하여 좀 더 자동화된 관리 프레임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윈도우 7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6가지 체크리스트'를 발표했다.
카세야코리아가 발표한 '윈도우 7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6가지 체크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1. 윈도우 7 지원을 위한 하드웨어 사양을 정확히 파악하여, 교체 일정 수립 및 실행 계획을 구체화 하라: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시한 윈도우 7 시스템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전체 시스템에 대한 하드웨어 사양의 호환성 및 지원여부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하고, 교체 일정 및 방법론에 대한 세부적인 계획이 수립되어야 하며, 교체 및 업그레이드에 필요한 비용 또한 산출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데스크톱, 랩탑(노트북)의 CPU, HDD, 메모리 등의 하드웨어 사양 파악, 프린터, 스캐너 등의 주변 사무기기에 대한 윈도우7 드라이버 지원 여부 등을 면밀히 파악해야 한다.
2. 윈도우 7 운영 체제를 선택하여 설치 계획을 세워라: 윈도우 7 은 다양한 버전의 운영체제를 제공하고 있으며, 향후 효율적인 IT 관리를 위해 기업 업무에 가장 적합한 운영체제 버전을 선택해야 한다. 또한 초기 운영체제를 어떻게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것인지에 대한 방안 및 사용자 별 시스템 환경 설정에서부터 관리하고 지원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한다.
3. OS를 설치했다면, 이후 설치될 애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는지 테스트하고 전체 사내 PC에 재 배포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라: 기업에서 별도로 개발한 윈도우 기반의 업무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기반 애플리케이션이 윈도우 7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각도의 호환성 테스트 및 개발 과정이 추가되어야 하며, 사용자의 업무 공백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업무 생산성을 극대화 시키도록 최단 시간 이내에 배포 및 설치를 지원하는 안정적인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4. 시스템 백업뿐만 아니라, 데이터 백업 및 복구 계획도 철저히 수립하라: 윈도우 XP에서 윈도우 7 으로의 설치 과정은 업데이트 과정을 제공하지 않으며, 포맷 이후 완전히 새로운 운영체제를 설치하는 단계이므로 기존 사용자 시스템의 중요한 업무 데이터와 시스템 환경 설정의 백업 및 복구 과정이 필수 과정으로 계획되어야 한다. 이러한 작업은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데, 작업 시간을 최소화 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업무 공백을 최소화 시키는 방안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더불어 모든 데이터를 백업하기 보다는 업무에 필수적인 데이터만 필터링하고 백업함으로써 자원 소모를 최소화 시키는 방안도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5. 모든 마이그레션 작업을 완료했다면. 이제 실제와 같은 파일럿 테스트(Pilot Test)를 진행할 일정을 잡고 테스트 적용 범위에 대해서도 계획을 수립하라: 윈도우 7 마이그레이션 계획에 대한 철저한 검증 및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해서, 별도 시스템 그룹을 대상으로 하는 파일럿 테스트 기간을 설정하고 구체적인 검증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6. 윈도우 7 마이그레이션의 원활한 수행을 위한 자동화된 IT 프레임워크(Framework) 기반의 기술 및 선택하라: 윈도우 7 마이그레이션 프로젝트는 전사적인 IT 관리를 위한 기술적인 방법론이 다양하게 검토되어야만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IT관리 인력에 의해 수동으로 처리되어야 하는 부분과 자동화된 IT 시스템 관리 솔루션에 의해 자동화하여 작업할 수 있는 부분을 세분화시킨 후, 프레임워크 기반의 유연한 IT 관리 소프트웨어를 도입 및 활용한다면 시간,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이면서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다.
카세야코리아 이인구 지사장은 "기업의 IT 관리자들은 이번 윈도우 7 마이그레이션 작업을 진행하면 기업 내 모든 데스크톱 표준화, 애플리케이션 표준화 및 보안 표준화 방법론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운영체제 및 애플리케이션 등의 시스템 안정성과 보안을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노하우를 쌓을 수 있을 것이다"라며, "무엇보다 자동화된 IT 관리 프레임워크를 도입하면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면서도 장기적인 관점에서도 최적의 IT관리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질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윈도우 7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6가지 체크리스트'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카세야 코리아(전화: 02-6007-2431)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규빈 기자 nazo@noteforum.co.kr
[디지털 모바일 IT 전문 정보 - 노트포럼]
Copyrights ⓒ 노트포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