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C미디어, 디지털 옥외미디어 사용자 인식 조사 결과 발표
최근 첨단 옥외광고 미디어로 주목 받고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이하 디지털 OOH)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보고서가 공개되었다.
디지털 미디어 컨버전스 기업 DMC미디어(대표 이준희, www.dmcmedia.co.kr)는 전국 1,27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디지털 OOH 미디어 및 광고에 대한 사용자 인식 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다양한 디지털 OOH 미디어에 대한 접촉 경험(매체별, 연령별, 성별), 접촉횟수, 미디어 선호도(성별, 연령별), 인터렉티브 경험 및 선호 서비스 등 등에 대한 설문이 진행되었다.
DMC미디어 권영준 컨텐츠사업실 실장은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또는 디지털 아웃오브홈미디어(OOH)라 불리는 디지털 옥외미디어는 최근 영상과 네트워크가 결합해 운영되는 형태가 대세를 이루며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이번 조사자료가 앞으로 디지털 OOH를 활용하고자 하는 마케터들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지하철라이브TV 가장 많이 접하고, 선호도 역시 1위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73.6%가 지하철 라이브 TV를 가장 높은 빈도로 접촉한 것으로 답했다. 다음으로는 다음 디지털뷰(43.7%), 편의점.매장 외부 라이브 스크린(42.8%), 마트.매장 내 라이브TV(41.7%), 건물 내부 DID(39.6%)로 등의 순서를 보였다.
특히 대부분의 디지털OOH가 접촉 빈도에 비해 선호도가 하락했지만 극장로비 가상현실 플랫폼의 경우 접촉 경험이 36.8%로 6위를 기록했던 것과는 달리 선호도에서 40.5%로 두 번째로 높은 선호도를 나타났다.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주요 접촉 미디어 달라
모든 연령대에서 지하철라이브TV를 제일 많이 접촉했지만 라이프스타일과 동선에 따라 주요 접촉 미디어 분포는 다르게 나타났다. 10대는 편의점(매장) 외부 라이브 스크린이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었고, 20대는 편의점/매장 외부 라이브 스크린과 건물내부 DID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40대는 마트.매장 내 라이브 TV(42%)가 눈에 띄게 높게 나타났고, 50대는 극장로비 가상현실 플랫폼(52.8%)이 압도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인터렉티브 미디어 활용…티켓예매 1위
특히 쌍방향 디지털 OOH, 인터렉티브 미디어를 통해서는 티켓 예매 및 발권(63.9%), 주변지역 및 건물 내부 지도보기(55.7%), 지하철 및 버스 노선 검색(51.8%) 등 실생활과 밀접한 정보성 인터렉티브를 주로 활용했다. 성별로는 남성은 가상현실 체험 경험이 여성보다 높았고, 여성은 티켓 예매 및 발권과 사진 촬영 및 메일 전송의 비율이 남성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엔터테인먼트 보다 필요한 정보 제공하는 것이 중요
특히 경험해 본 디지털 OOH 인터렉티브 만족도 조사에서 티켓 예매 및 발권(59.0%), 주변지역 및 건물 내부 지도 보기(46.0%), 지하철 및 버스 노선 검색(43.2%), 사진촬영 및 메일 전송(15.7%) 등의 순으로 나타나 엔터테인먼트 보다는 사용자가 해당 시점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했다.
1주에 1~2회 이상 디지털 OOH 접해
대부분의 응답자는 1주일에 1~2회 이상 디지털 OOH를 접하고 있으며, 지하철 라이브 TV(31.1%), 편의점/매장 외부 라이브 스크린 (25.9%), 다음 디지털뷰(24.1%)의 경우 거의 매일 접하는 디지털 OOH로 꼽히며 영향력을 확인했다.
여성들의 디지털 OOH에 선호도가 남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으로 지하철라이브TV의 경우 여성은 75.5%, 남성은 70.1%의 선호도를 보였으며, 다음 디지털뷰 역시 여성은 45.2%, 남성은 40.8%의 선호도를 나타냈다. 기타 옥외 미디어에서도 비슷한 현상을 보였다.
이 밖에도 사용자들의 디지털 OOH 선호도와 사용패턴에 관한 결과를 파악할 수 있는 이번 설문 결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DMC리포트(www.dmcmedia.co.kr)'에서 무료로 다운로드 후 확인 할 수 있다.
디지털 마케팅 지식포털 'DMC리포트'는 광고와 마케팅에서 필요로 하는 소비자(Consumer), 매체(Media), 광고데이터 및 사례 연구(Study), 시장조사자료(Survey)를 중심으로 전문적이고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한 결과를 서비스하고 있다.
이규빈 기자 nazo@noteforum.co.kr
[디지털 모바일 IT 전문 정보 - 노트포럼]
Copyrights ⓒ 노트포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