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U 를 현명하게 선택하는 방법.
2부. 강력한 퍼포먼스를 위한 선택, Core-i5, i7 Series
저번 시간에는 보급형 PC에서 사용되는 Core i3 시리즈의 특징 및 활용 방법을 살펴 보았다. (뛰어난 가격대 성능비를 보여주며 유저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으며 최근 어려운 경기 상황 때문인지 Core i3를 선택하는 유저들이 부쩍 늘어났다.)
이번에는 뛰어난 성능을 구현해 유저들에게 큰 사랑을 받고 있는 Core i5 및 최고 성능을 구현하고자 하는 유저들을 위한 Core i7 을 살펴볼 예정이다.각 프로세서의 특징을 살펴보고 어떤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유저들에게 가장 인기있는 라인업 답게 종류도 무척 다양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듀얼채널을 지원했던 Core-i3 와 달리 4개의 코어가 장착된 쿼드코어를 기본 지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6MB 의 레벨 3캐시 지원으로 보다 쾌적한 PC 환경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보 부스트 지원으로 한층 강화된 성능을 경험할 수 있다. 내장 그래픽은 Core-i3 와 같이 HD2500을 지원하며 (3570K 제외) TDP 도 다소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Core i5-3570K 는 3570 과 동일한 클럭을 지원하지만 그래픽이 HD4000 으로 업그레이드 되어 있으며 배수락을 풀어 오버클럭에 보다 능동적인 장점이 있다. (Z77 메인보드와 조합해 오버클럭이 가능하다. 가격은 3570 에 비해 다소 높지만 사용자의 능력에 따라 성능을 높일 수 있어 하이엔드 유저들 위주로 판매되고 있다.)
최근 발표되는 게임들의 경우 최적화가 잘 되어있어 보급형 PC에서도 원할하게 작동하긴 하지만 보다 화려한 그래픽을 체감하기 위해서는 Core-i5 정도의 프로세서를 탑재하는 것이 좋다. 물론 본격적인 게이밍 PC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메모리의 용량도 8GB로 늘리고 외장 그래픽 카드를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지만 기본적인 연산 속도가 빠른 Core-i5를 사용할 경우 보다 부드럽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일반적인 FULL HD 동영상은 Core-i3 에서도 충분히 구동할 수 있다. 하지만 60프레임 이상을 지원 하거나 4-5GB 이상의 대용량, 고화질 영상을 재생할 경우 음성과 싱크가 어긋나는 현상이 발생하곤 한다. 보다 부드럽게 고화질 동영상을 즐기고자 하는 유저하면 Core-i5 시리즈가 좋은 선택이 될 것이다.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대부분의 동영상을 버벅임 없이 즐길 수 있을 것이다.
고화질의 JPG 파일이나 RAW 파일 등의 편집이 필요할 경우 Core-i5 가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물론 이에 걸맞는 메모리가 지원 되어야 한다.) 많은 사진을 띄어 두어도 버벅임이 없을 뿐만 아니라 포토샵 등의 전문 편집 프로그램을 버벅임 없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업무의 효율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아이비 브릿지 최상위 라인업인 Core-i7 시리즈의 모습으로 두 제품 모두 HD4000 이 지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터보부스트와 하이퍼스레딩 기술을 제공해 4코어 8스레드의 뛰어난 퍼포먼스를 체감할 수 있으며 8MB 의 레벨3캐시로 안정적인 다중 작업 및 전문 작업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
@ Core-i5 와 같이 K 버전이 출시되는데 클럭 속도가 다른 것이 눈에 띈다. 배수락이 풀려 있을 뿐만 아니라 좀더 빠른 속도를 구현하며 이에 비례해 높은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다. (3570 과 3570K 는 5만원 정도의 가격 차이를 보이고 있다.)
대부분의 게임은 Core-i5 만으로도 충분히 소화할 수 있다. 하지만 크라이시스와 같이 최고 성능을 필요로 하는 게임을 즐길 경우 Core-i7을 권장해 드리고 싶다. (물론 이에 걸맞는 고용량의 메모리와 외장 그래픽카드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CPU 는 게임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PC 성능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핵심적인 부품으로 Core-i7 시리즈를 사용할 경우 어떤 게임도 문제없이 구동할 수 있는 환경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전문적인 디자인을 하는 경우 대용량의 소스 및 PSD 파일등을 다루기 때문에 쾌적한 업무 환경이 무척 중요하다. Core-i7 시리즈는 뛰어난 연산 능력으로 대용량의 파일을 빠르게 로딩할 수 있어 만족스런 작업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Core-i7 시리즈에 인텔 SSD 정도만 더하게 되면 대부분의 디자인 작업을 불편없이 실행할 있을 것이다.)
동영상 인코딩이나 동영상 편집, 캐드 사용자, 3D 개발자 등의 경우 특히 PC의 스펙이 중요하다. (PC의 성능이 좋으면 좋을수록 작업 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이다.) Core-i7 시리즈는 일반 유저들 보다 전문적인 S/W를 활용하는 유저들을 위한 프로세서로 완벽한 성능의 조화를 통해 쾌적한 사무환경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 다시한번 말씀 드리지만 Core-i7 프로세서 만으로는 최고 성능을 구현할 수 없다. 이에 걸맞는 메모리, 그래픽, SSD 등이 추가로 지원 되어야 최고의 퍼포펀스를 구현할 수 있다.
Core-i5가 심플한 PC 환경을 위한 모델이라면 Core-i5와 Core-i7 은 좀더 전문적인 사용성을 요하는 유저들을 위한 제품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을 것이다. (간단하게 이해하기 바란다. 비싸면 비쌀수록 새로운 기능이나 기술이 적용되어 뛰어난 성능을 구현하게 된다.)
필자의 경우 헤비 유저가 아니기 때문에 Core-i3 만으로도 PC를 사용하는데 불편이 없지만 간간히 집에서 포토샵 작업을 할 때 버벅임이 느껴져 조만간 Core-i5로 업그레이드를 계획중에 있다. 자신의 PC를 어떤 용도로 사용하는지 파악한 후 완제품PC를 구입하거나 조립을 한다면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만족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김원영 기자 goora@noteforum.co.kr
[디지털 모바일 IT 전문 정보 - 노트포럼]
Copyrights ⓒ 노트포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