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은 성능을 필요로 하는 게이밍 PC를 구성하고자 할 경우 일반 PC 대비, 많은 비용이 소모되기 때문에 부품 선택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 가격대비 최상의 퍼포먼스가 구현 되도록 부품 선택에 신중할 필요가 있으며 각 부품간의 호환성 등도 고려해야 할 대목 중 하나이다.
그래픽 카드와 함께 게이밍 PC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프로세서의 경우 예전부터 Core i5 시리즈를 선호해 왔다. Core i3 이하의 프로세서는 부족한 캐시와 떨어지는 클럭 등으로 인해 높은 스펙이 필수적인 게임 실행시 원하는 만큼의 퍼포먼스를 구현하기 힘들고 Core i7 이상의 프로세서는 성능 면에서 100% 만족감을 경험할 수 있지만 Core i5 대비 부담스런 가격으로 인해 주로 하드코어 게이밍 유저나 전문 프로그램 사용 유저들을 중심으로 사용되고 있다.
Core i5 프로세서는 인텔을 대표하는 메인스크림 급 모델 답게 발전에 발전을 거듭했다. 최근에는 하스웰 리플레시 Core i5-4690 이 발표되며 다시한번 앞서가는 모습으로 보여 주었으며 대부분의 조립형 게이밍 PC에 Core i5-4690 이 사용될 정도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번 시간에는 높은 가격대 성능비를 보여주는 하스웰 리플레시 Core i5-4690을 이용한 게이밍 PC를 구성해 볼 예정이다. 하나하나 살펴보도록 하자.
인텔의 최신 프로세서 Core i5-4690 은 기본 클럭이 3.5GHz 이며 터보부스트 작동시 3.9GHz 로 동작한다. 전작인 i5-4670 과 비교해 0.1GHz 클럭이 향상되었으며 최적화를 통해 9 시리즈 메인보드와 결합시 좀더 뛰어난 성능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이슈화 되고 있는 차세대 SSD 규격인 PCI Express M.2 인터페이스가 프로세서 차원에서 지원되며 기본 동작클럭을 향상시키면서도 84W 의 저전력 TDP를 지원하고 있다.
더욱 높아진 클럭과 최적화를 통해 게임에서 좀더 높은 퍼포먼스를 경험할 수 있으며 터보부스트 지원 및 리얼 쿼드코어를 통해 대부분의 게임을 부드럽게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기존 4세대 인텔코어 프로세서 i5-4670 과 같이 22nm 공정으로 만들어 졌으며 6MB 의 넉넉한 L3 캐시를 지원하고 있다. 여기에 듀얼채널의 DDR3 메모리를 지원하며 기존 8시리즈의 메인보드를 사용할 수 있는 등, 호환성에서도 신경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현재 시장에서 가장 많은 판매량을 보이는 모델이 B85 칩셋을 사용한 메인보드 지만 하스웰 리플래시 와의 궁합을 생각한다면 9 시리즈의 메인보드를 선택하는 것이 현명하다. Z 시리즈의 경우 K 가 붙은 오버클럭 등에 최적화 되어 있으며 다소 가격적인 부담이 있기 때문에 높은 가격대 성능비를 보여주는 H97 메인보드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하고 싶다.
특히 일부 모델들의 경우 게임에 최적화 된 다양한 기능 및 S/W 등을 지원하고 있다. 순간적인 게임상의 랙 들을 제거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술을 비롯해 M.2 슬롯을 통한 빠른 데이터 전송, 현장감을 높이는 사운드 기술 등이 적용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보드를 선택시 이런 부분까지 고려한다면 게임에 만족감을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가장 무난한 구성은 DDR3 PC3-12800을 이용한 듀얼코어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메모리의 용량 또한 상당히 중요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4GB x 2 메모리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4GB x 4 나 8GB x 2 등의 구성도 추천하고 싶다. 메모리의 경우 많으면 많을수록 해가될 것은 전혀 없기 때문에 최소 8GB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을 추천하고 싶다.
또한 좀더 강력한 퍼포먼스를 구현하고자 한다면 PC3-17000 이나 PC3-19200 등의 메모리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물론 대중화 된 PC3-12800 대비 가격차가 상당하긴 하지만 좀더 높은 성능을 구현하고자 한다면 좋은 선택이 될 것이다.
그래픽 카드의 경우 게이밍 퍼포먼스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으로 선택의 폭 또한 상당히 다양하다. 최근 GTX750 대비 향상된 퍼포먼스로 유저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는 GTX750Ti 가 가장 무난한 선택이 되리라 보여지며 라데온 R9 270 도 좋은 선택이라 생각한다. 단, 높은 성능이 필수적인 게임을 즐기는 유저라면 GTX760 이나 GTX770 등도 고려해 보기 바란다.
그래픽 카드의 경우 PC에서 가장 많은 전력을 소모하는 부품이기 때문에 어떤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파워의 선택도 달라질 수 있다. 최소 정격출력 600W 이상의 모델을 권하며 높은 전력효율을 발휘하는 브랜드 및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게이밍 PC를 구성한다면 스토리지에서 SSD 는 필수라 할 수 있다. 물리적으로 동작하는 HDD 의 경우 프로세서나 그래픽, 메모리의 빠른 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전체적인 속도 저하의 주범으로 지목받고 있기 때문에 대용량 HDD 는 데이터 저장용으로 활용하고 메인 스토리지는 SSD 로 구성해야 한다. 특히 빠른 로딩이나 움직임이 필수적인 게임에서는 HDD 대비 큰 성능 차이를 느낄 수 있다.
최근 SSD 의 대중화로 가격이 상당히 내려갔기 때문에 128GB 보다는 256GB 용량의 모델을 추천한다. 10기가를 훌쩍 넘어가는 3D 게임을 설치하다 보면 용량의 부족함을 느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브랜드 별로 성능이나 안정성 등이 천차만별 이었던 예전과 달리 상향 평준화가 이루어 졌기 때문에 가격과 속도, 인기상품 정도만 확인하고 제품을 선택해도 큰 문제는 없을 것이다.
고성능 게임을 즐기면서도 합리적인 가격에 최상의 퍼포먼스를 구현하고 싶은 유저들에게 Core i5-4690을 이용한 게이밍 PC 구성을 추천하고 싶다. 높은 클럭과 리얼 쿼드코어, 다양한 기술이 적용된 최신 프로세서를 사용한다면 기존 프로세서 대비 성능면에서 큰 만족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필자가 상단에 설명드린 부품 조합의 경우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모델들을 이용한 기본적인 가이드 일 뿐, 사용자의 스타일에 따라 부품 마음대로 변경할 수 있다. 기본적인 예산을 고려한 후 프로세서-그래픽-메모리-SSD 순서로 비용을 책정해 구입한다면 만족스럽게 PC를 조립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각종 법규 때문에 게임 시장에 타격이 있긴 했지만 여전히 게임 시장은 뜨겁기만 하다. 자신의 PC가 최신 게임에 적합하지 않은 스펙이라면 Core-i5 4690을 이용한 PC 구성을 고려해 보기 바란다. 기존과는 달라진 퍼포먼스를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김원영 기자 goora@noteforum.co.kr
[디지털 모바일 IT 전문 정보 - 노트포럼]
Copyrights ⓒ 노트포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