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 스카이레이크, 무엇이 달라졌나?

2015.10.22 컴퓨팅 김원영 기자 : goora@noteforum.co.kr

5세대 인텔코어 프로세서 브로드웰의 출시 연기로 인해 4세대 인텔코어 프로세서인 하스웰이 브로드웰의 빈자리를 대신했다. 다른 플랫폼과 달리 하스웰의 경우 '리프레시' 와 데빌스캐년'라는 업그레이드 버전이 발표되며 새로운 플랫폼을 바라는 유저들을 만족시켰다.


얼마전 5세대 인텔코어 프로세서 기반의 데스크탑용 프로세서가 출시되어 판매되고 있긴 하지만 유저들에게는 '브로드웰=모바일' 이라는 인식이 강하게 각인되어 기존 프로세서 대비 판매량이 저조한 실정이기도 하다. 아직까지도 스카이레이크 이전의 프로세서로 하스웰을 언급하는 유저들이 대부분이다.


이런저런 이유로 새로운 플랫폼을 바라는 유저들이 점점 늘어났으며 인텔에서는 이런 유저들의 바람을 해결하기 위해 6세대 인텔코어 프로세서 '스카이레이크'를 발표했다.


그래픽 성능과 저전력 등의 업그레이드가 중심이었던 기존 프로세서와 달리 6세대 인텔코어 프로세서 에서는 많은 변화가 느껴지고 있다. 프로세서나 내장 그래픽의 성능 향상, 저전력 설계는 여전하며 새롭게 DDR4 메모리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USB 3.1 등을 지원하는등 유저들을 만족시킬 만한 새로운 기술들을 여기저기에서 감지할 수 있었다.


이번 시간에는 기존 프로세서 대비 6세대 인텔코어 프로세서의 달라진 점을 살펴볼 예정이다. 얼마나 업그레이드 되었는지 하나하나 확인해 보도록 하자.



▲ 6세대 인텔 코어 프로세서 다이(die)


인텔은 틱-톡 전략에 의해 제품이 출시된다. '틱'은 제조 공정의 미세화를 뜻하며 '톡'은 아키텍처가 새롭게 변경되는 완전히 새로운 프로세서라 할 수 있다. 6세대 인텔코어 프로세서는 '톡' 공정을 기반으로 해 출시된 제품으로 브로드웰 과 같은 14nm 공정을 지원하면서도 스카이레이크 마이크로 아키텍처를 적용해 향상된 성능을 구현하고 있다.


특히 내장 그래픽 성능의 향상은 눈부시다 할 수 있다. 5년정도 된 구형 PC대비 약 30배 가량의 성능 향상이 이루어져 온라인 3D 게임을 내장 그래픽 만으로도 충분히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상단의 결과값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 전작인 하스웰과 비교해도 분명한 성능 차이가 감지되고 있다. 하스웰에서 사용된 HD4600 의 경우 온라인 3D 게임을 즐기려면 그래픽 옵션을 중하로 설정 했던데 반해 스카이레이크의 HD530 에서는 상위 옵션에서 게임을 부드럽게 즐길수 있다.



소켓의 변화도 눈에띄는 부분이다. LGA 1150을 사용하던 전작과 달리 스카이레이크 에서는 LGA 1151 소켓이 새롭게 사용되어 상호 호환되지 않는다. 물론 프로세서만 구입해 업그레이드 하려는 유저들에는 분명 아쉬운 부분일 수 있으나 DDR4 메모리 지원하고 같은 새로운 기술들이 추가되었기 때문에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다.



전작인 하스웰과 동일 환경에서 벤치마크 테스트를 진행한 모습으로 (4GB x 2) 확연한 성능 향상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DDR4 메모리는 더 적은 소비전력으로 발열을 줄였을 뿐만 아니라 DDR3 대비 많은 클럭당 대역폭을 제공하는등 퀄리티 면에서 확연한 장점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인텔 100 시리즈 칩셋을 사용하는 것 또한 차별화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기존 9시리즈 칩셋이 PCIe 2.0을 지원했던데 반해 PCIe 3.0을 지원해 스토리지의 대역폭이 향상될 예정이다.


여기에 M.2 / SATA 익스프레스 장치를 3개 까지 지원해 더 많은 PICe SSD 사용이 가능하며 더 많은 USB 3.0 포트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USB 3.1을 지원해 확연히 빨라진 데이터 전송속도를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DMI 3.0을 지원해 칩셋과 프로세서 간의 데이터 이동이 초당 4GB 까지 가능해 더 빠른 속도를 경험할 수 있으며 UHD 미디어의 고압축이 가능한 HEVC 코덱 지원으로 멀티미디어 성능 또한 업그레이드 되었다.




인텔의 리소그래피 기술을 통해 기본적인 성능 향상은 물론, 높은 전력효율 및 안정성을 높인 점 또한 주목할 부분이라 할 수 있다. 84W TDP를 지원했던 i5-4690 과 달리 i5-6600 에서는 65W 의 TDP를 지원하는 등 전력 효율면에서 확연한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졌다.


또한 6세대 인텔코어 프로세서에서 새롭게 적용된 저전력 기술 스피드시프트 (SpeedShift) 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인 PC의 CPU가 동작하는 액티브 모드 (P스테이츠) OS가 일시정지된 아이들 모드 (C스테이츠) 로 나뉘는데 프로세서는 필요에 따라 액티브와 아이들을 반복하며 소비 전력을 최소화 한다.


4세대 인텔코어 프로세서에서 C7~C10 까지 저전력 아이들 스테이츠를 확장해 소비전력을 줄였으며 스카이레이크는 이 뿐만 아니라 P스테이트의 전력을 줄이기 위한 동작을 추가했다. 스피드시프트는 클럭 주파수와 구동 전압으로 동적으로 변경해 소비전력을 절감하는 인텔 스피드 스탭의 연장선상에 있는 기술로 기존과 달리 클럭 주파수와 전압의 변동을 하드웨어가로 제어한다.


인텔 프로세서에 장착된 전원관리 하드웨어 PCU (Power Control Unit)의 업그레이드를 통해 소비 전력 및 성능의 최적 밸런스를 PCU 가 계산하면서 동작하게 되며 터보 부스트로 관리된 부분까지도 포함하기 때문에 기존대비 효율적인 전력 관리가 가능한 것이다.



6세대 인텔코어 프로세서 '스카이레이크' 는 단순히 성능의 업그레이드에 그치는 모델이 아니다. 새로운 마이크로아키텍처가 적용된 모델답게 다양한 신기술이 적용되어 전반적인 PC변화를 이끌고 있기 때문이다. 상단에서 확인했던 것과 같이 전작과는 비교되는 높은 확장성과 메모리, 스토리지 속도 향상을 위한 관련기술 지원등, 메이저 업그레이드로 써 부족함이 없다.


도입부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확연히 향상된 내장 그래픽의 퍼포먼스와 다양한 기술이 더해진 저전력 설계가 돋보이며 , 스토리지 속도 향상을 위한 설계 또한 실 사용자들에게 유용하리라 예측된다. 한층 향상된 성능과 사용성을 구현하는 PC를 구입해 사용하고자 한다면 6세대 인텔코어 프로세서를 권하고 싶다. 기대했던 것 이상의 만족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김원영 기자 goora@noteforum.co.kr


[디지털 모바일 IT 전문 정보 - 노트포럼]
Copyrights ⓒ 노트포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동영상리뷰

HOT REVIEW

LASTEST REVIEW

NOTEFORUM
노트포럼 대표 김원영 사업자번호 : 635-02-00945 주소 : 서울시 용산구 효창원로 94, B1 등록번호 : 서울 아04916 제호 : 영테크
발행·편집인 : 김원영 등록 : 2018.01.09 발행 : 2018.01.09 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원영 이메일 : master@noteforum.co.kr
2006-2025 NOTEFORUM. Co. All Rights Reserved.

02-711-2075

월-금 09:00-18:00 / 주말,공휴일 휴무
News 52,634 Review 3,424
2006-2025 NOTEFOR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