낡은 PC는 가라, 인텔 스카이레이크의 시대가 왔다.

2015.10.30 컴퓨팅 김원영 기자 : goora@noteforum.co.kr


유저들의 기대를 한몸에 받고 출시된 6세대 인텔코어 프로세서 (코드명 : 스카이레이크) 가 PC 시장을 빠르게 장악하고 있다. 기본적인 성능 향상은 물론 온라인 3D 게임을 부드럽게 즐길 수 있는 높은 3D 퍼포먼스, 여기에 다양한 저전력 기술이 더해져 새롭게 PC를 조립하거나 완제PC를 구입하는 유저들의 경우 스카이레이크 탑재 모델을 선호하고 있다.


특히 샌디브릿지와 같은 구형 프로세서를 사용하고 있을 경우 확연한 퍼포먼스 차이를 경험할 수 있어 PC의 업그레이가 예정된 유저들을 중심으로 꾸준히 판매량을 늘려가고 있는 형국이다.


스카이레이크는 단순 프로세서의 변화 뿐만 아니라 DDR4 메모리 사용가능 및 PCIe 3.0 지원을 통한 대역폭 향상, USB 3.1 지원등 메인보드나 부가기능에서도 확연한 업그레이드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사용성이나 편의성을 고려하더라고 구형모델 대비 큰 매리트를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번 시간에는 스카이레이크의 기본적인 특징을 살펴보고 샌디브릿지와의 스펙 및 성능 비교를 통해 왜 업그레이드가 필요한지 살펴볼 예정이다. 그럼 이제부터 하나하나 확인해 보도록 하자.



22nm 공정의 4세대 인텔코어 프로세서 하스웰과 달리 스카이레이크는 14nm 기반의 새로운 마이크로 아키텍쳐로 설계되어 향상된 성능을 실현했다. 특히 도입부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기존 프로세서와 마찬가지로 지속적인 3D 성능 업그레이드를 통해 굳이 외장 그래픽을 사용하지 않더라고 부드럽게 온라인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DDR4 메모리를 정식 지원하는 것 또한 스카이레이크 만의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DDR4 메모리는 더 적은 소비전력으로 발열을 줄였을 뿐만 아니라 DDR3 대비 많은 클럭당 대역폭을 제공하는등 전반적인 PC퍼포먼스를 올려주어 더 만족스런 PC라이프를 즐길 수 있다.


여기에 PCIe 3.0을 지원해 스토리지의 대역폭이 향상 되었으며 PCIe SSD 사용이 가능해 SATA 인터페이스 대비 빠른 속도를 즐길 수 있다. 또한 DMI 3.0을 지원해 칩셋과 프로세서 간의 데이터 이동이 초당 4GB 까지 가능해 더 빠른 속도를 경험할 수 있다.


전력효율 면에서도 기존 프로세서와는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리소그래피 기술을 통해 기본적인 성능 향상은 물론, 높은 전력효율 및 안정성을 높였으며 65W 의 TDP를 지원해 84W TDP를 지원했던 하스웰 (i5-4690) 대비 매리트를 느낄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필요에 따라 액티브와 아이들을 반복하며 소비 전력을 최소화 하는 스피드시프트 (SpeedShift) 기술도 제공되며 더 높은 전력효율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2011년에 발표된 샌디브릿지 i5-2500 과 스카이레이크 i5-6600 의 스펙을 비교하고 있는 모습으로 기본 클럭은 3.3GHz 로 동일하지만 제조공정은 2배 이상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32nm 공정으로 개발된 샌디브릿지와 달리 스카이레이크는 14nm 공정으로 개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95W 의 높은 TDP를 지원하던 샌디브릿지 대비, 65W 의 TDP를 지원하는 것도 인상적이며 오랜시간이 흐른만큼 다양한 명령어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씨네벤치를 이용해 프로세서와 내장 그래픽의 성능을 확인하고 있는 모습으로 프로세서의 경우 충분히 체감할 수 있는 수준의 업그레이드가 이루어 졌으며 내장 그래픽의 경우 약 8배 정도의 성능 향상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동영상 인코딩 시간또한 변화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분 후반대의 인코딩 시간을 보였던 샌디브릿지와 달리 동일 환경에서 스카이레이크는 3분 21초를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문작업시 좀더 빠른 처리속도를 원한다면 좋은 선택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내장 그래픽을 이용한 게임 테스트를 진행한 모습으로 샌디브릿지는 보통옵션에 해상도를 1440 x 900 으로 설정했을 때 평균 80프레임 정도를 보여 주었던 반면 스카이레이크는 최상위 옵션과 1920 x 1080 해상도 설정에서 평균 145 프레임을 보여 주었다. 비교조차 되지 않는 큰 성능차이로 내장 그래픽을 운용하고자 할 경우 큰 만족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2011년 발표된 샌디브릿지는 획기적인 제품이라는 말을 들었을 정도로 유저들을 만족시키는 높은 성능을 구현했던 프로세서 지만 시간이 흐르며 최신 프로세서와 점점 성능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 형국이다.


특히 최신 프로세서인 스카이레이트는 샌디브릿지와 비교시 약 30% 정도의 프로세서 성능향상과 8배 정도의 내장 그래픽 성능 향상을 가져왔다. 여기에 DDR4 메모리 및 PCIe SSD 사용이 가능한 것 까지 감안한다면 더 큰 성능차가 발생할 것이다.


지원 기술 뿐만 아니라 성능적인 측면에서도 업그레이드의 필요성은 충분하다 할 수 있다. 샌디브릿지 이하의 프로세서가 장착된 구형PC를 사용하거나 펜티엄, 셀러론 등의 보급형 프로세서를 사용하지만 고성능PC가 필요한 유저들이라면 스카이레이크를 강력히 추천하고 싶다.


높은 성능과 댜양한 신기술이 적용된 스카이레이크를 통해 훨씬 높은 생산성과 만족스런 멀티미디어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김원영 기자 goora@noteforum.co.kr


[디지털 모바일 IT 전문 정보 - 노트포럼]
Copyrights ⓒ 노트포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동영상리뷰

HOT REVIEW

LASTEST REVIEW

NOTEFORUM
노트포럼 대표 김원영 사업자번호 : 635-02-00945 주소 : 서울시 용산구 효창원로 94, B1 등록번호 : 서울 아04916 제호 : 영테크
발행·편집인 : 김원영 등록 : 2018.01.09 발행 : 2018.01.09 청소년 보호 책임자 김원영 이메일 : master@noteforum.co.kr
2006-2025 NOTEFORUM. Co. All Rights Reserved.

02-711-2075

월-금 09:00-18:00 / 주말,공휴일 휴무
News 52,634 Review 3,424
2006-2025 NOTEFOR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