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셔널 세미컨덕터의 SolarMagic 파워 옵티마이저,
엄격한 시스템 안정성 및 내구성 테스트 통과
고효율 아날로그 및 혼합 신호 반도체를 공급하고 있는 내셔널 세미컨덕터 코리아(대표 최충원, NYSE:NSM)는 오늘, 자사 제품인 SolarMagic™ 파워 옵티마이저의 엄격한 내부 안정성 테스트 결과를 발표하였다. 테스트 결과 SolarMagic은 445시간이라는 업계 최고의 MTBF(mean time between failures: 평균 무고장 시간)를 지원하는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20년간 품질보증을 고려한다면 내셔널의 SolarMagic 파워 옵티마이저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제품 중 가장 안정적인 전자 광전지(PV) 시스템 제품 중 하나로 꼽힌다. SolarMagic은 차광 효과와 이물질, 패널 노화 등과 같은 실제 환경 조건에 의한 영향이 존재할 때 태양 전지판의 출력을 향상시켜 준다.
내셔널의 기술 안정성을 담당하고 있는 프래서드 차파라라(Prasad Chaparala) 이사는 "내셔널 세미컨덕터는 우주항공, 군수 및 자동차 부문에서 매우 수요가 높은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고성능 아날로그 및 전력 관리 제품 개발과 제작을 통해 수년간 품질과 안정성 측면에서 높은 평판을 유지해 왔다. 이제 내셔널은 PV 산업에서 성능 수준을 한층 더 높이기 위해 시스템 안정성에서 그 동안 축적한 전문 기술력을 적용하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지난 수십 년간 쌓아온 아날로그 및 전력 관리 집적 회로(IC)의 설계와 제작 기술을 기반으로 내셔널은 SolarMagic에서 고도의 안정적인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입증하였다. 현재 내셔널은 연간 수십억에 달하는 아날로그 및 혼합 신호 IC를 생산하고 있으며, 1 DPPM(defective part per million) 미만의 매우 낮은 불량률을 기록하고 있다.
내셔널은 적절한 구성부품 디레이팅, 확장된 안정성 FMEA(Failure Modes and Effects Analysis: 고장유형 및 영향 분석), 열 분석, 사전 자격심사 안정성 테스트 등을 결합하여 매우 높은 안정성을 지닌 SolarMagic를 구현하였다.
내셔널의 SolarMagic 파워 옵티마이저는 PV 모듈 등급심사에 사용되는 습기-열 노출, 가습 동결 사이클링 및 열 사이클링과 같은 엄격한 환경 요건 테스트를 통과하였다. 이와 함께 고온 작동 수명 테스트, 전력 온도 사이클링 및 HALT(Highly Accelerated Life Tests: 고가속 수명 테스트)와 같은 전자 시스템 안정성 요건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거쳤다. SolarMagic 파워 옵티마이저에 대한 2,000시간 이상의 안정성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는 445시간 MTBF로 나타났다.
내셔널은 자체 웨이퍼 제조 공장과 조립 시설에서 SolarMagic 파워 옵티마이저에 사용되는 주요 아날로그 IC 부품을 제조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조 공정은 향상된 품질 제조 흐름에 따라 이루어진다. 또한 파워 옵티마이저는 시스템 조립 과정 중 철저한 품질 관리를 거치게 된다. 모든 생산 공정에서 실제로 제품 수명을 단축할 수 있는 요소를 제거하기 위해 종합적인 3중 온도 테스트와 고온검사가 수행된다.
엄격한 내부 테스트 외에 캘리포니아 산타클라라에 기반을 둔 옵스 알라카트테 LLC(Ops a La Carte LLC)사 가 산타클라라에 위치한 HALT 및 HASS 연구소에서 내셔널의 SolarMagic 파워 옵티마이저에 대한 안정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옵스 알라카르테사 는 안정성 부문에서 오랫동안 높은 인지도를 얻고 있으며 항공우주, 자동차, 의료, 이동통신, 군수 및 에너지(연료 셀, 오일, 태양열 포함) 산업에 대한 광범위한 안정성 테스트를 실시하고 있다.
전체 태양전지 설치에서 분산형 전자장치를 사용함으로써 SolarMagic은 실제 환경 조건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분의 최대 57%까지 회복시켜준다. SolarMagic 파워 옵티마이저는 2009년 5월말 북미와 유럽 고객을 대상으로 판매가 시작될 예정이며,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금년 말 판매 될 예정이다. SolarMagic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www.solarmagic.com 에서 확인할 수 있다.